검색결과
  • '토성' 7년 항해 끝 '환상의 별' 도착

    '토성' 7년 항해 끝 '환상의 별' 도착

    ▶ 오는 크리스마스에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낙하산을 이용해 착륙할 ‘호이겐스’호의 개념도. 1997년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미국과 유럽이 33억달러를 들인 탐사선 하나가 발사됐다

    중앙일보

    2004.06.23 17:25

  • 세계 최고 성능 자기심장검사장치 국산화

    심장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신호를 측정해 각종 심장질환을 진단하는 '자기(磁氣)심장검사장치'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연세의료원에 설치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체자기계측센터의

    중앙일보

    2004.05.20 09:00

  • [사이언스 브리핑] 한국천문학회 外

    [사이언스 브리핑] 한국천문학회 外

    ▶한국천문학회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는 오는 23일 오후 7시부터 서울 한강공원 잠실지구에서 '달.행성.혜성 축제'를 연다. 이 축제는 달과 4개의 행성(금성.화성.목성.토성), 니

    중앙일보

    2004.05.19 18:09

  • 혜성 탐사선 '로제타'호 떴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혜성을 탐사하는 유럽의 우주선 '로제타'가 10년간의 긴 여정을 시작했다. 지난 2일(현지시각)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 우주기지에서 아리안5 로켓에 실려서 발

    중앙일보

    2004.03.10 15:08

  • 국제 우주정거장에 '마네킹 우주인' 첫 발

    국제 우주정거장에 '마네킹 우주인' 첫 발

    우주 공간에서 지내야 하는 우주 비행사들에게 방사능은 오랫동안 골치 아픈 존재였다. 빅뱅 후 남겨진 에너지 입자인 '우주광선'에서 강한 방사능이 나오기 때문이다. 지구에선 자기장

    중앙일보

    2004.02.18 15:43

  • 中·유럽 공동 위성 27일 발사

    중국과 유럽의 공동 우주탐사 계획인 '더블 스타'에 따라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가 27일 중국 남부에 있는 기지에서 발사된다고 영국 BBC방송 인터넷판이 23일 보도했다. 이 위

    중앙일보

    2003.12.24 18:25

  • [과학과 미래] "우리 땅밑에 지진의 눈 있다"

    [과학과 미래] "우리 땅밑에 지진의 눈 있다"

    지진은 지구 내부의 급격한 지각변동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맨틀의 대류현상으로 떨어져 있는 지각이 충돌하거나 하나의 지각이 갑자기 쪼개지면서 생긴 에너지가 지표면에 전달되는 것이

    중앙일보

    2003.12.17 15:21

  • [과학과 미래] "여기는 태양계 끝" 다왔다 26년 걸려

    [과학과 미래] "여기는 태양계 끝" 다왔다 26년 걸려

    이달 초 천문학계는 한동안 가벼운 흥분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1977년 발사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보이저(Voyager)1호'가 태양계 경계 지역을 넘어섰다는

    중앙일보

    2003.11.26 15:58

  • 강력 자기폭풍 '경보'…통신·전기 장애 우려

    태양의 강력한 활동이 지구를 둘러싼 자기장(磁氣場)을 교란해 24일(한국시간 24일 오후부터 25일 오후 사이)에 전파통신과 전기공급이 교란될 수 있다고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

    중앙일보

    2003.10.24 06:20

  • [과학과 미래] 올해 노벨물리학상 '초전도체'는 기차를 띄우고 암도 찾아내

    올 노벨물리학상이 초전도체 이론을 완성한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1911년 초전도 현상이 발견된 이후 약 1세기 만에 이를 이용한 뇌자도(腦磁圖) 측정장치와 핵자기공명장치(MRI).

    중앙일보

    2003.10.15 15:32

  • 공중 분해된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의 '유산'

    지난 21일 오후 6시 57분(세계표준시간) 목성탐사 우주선 갈릴레오가 장엄한 최후를 맞았다. 목성의 대기권에 진입해 뜨거운 마찰열로 공중분해된 것이다. 갈릴레오의 임무는 원래 2

    중앙일보

    2003.09.24 16:12

  • 태양 폭발…지구 괴롭히는 심술쟁이

    태양은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세차례 가장 센 폭발을 일으켰다. 이달 들어서만도 세차례나 발생했다. 태양의 흑점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2000년 이후에 나온 기이한 현상이다. 이

    중앙일보

    2003.06.25 14:55

  • [과학과 미래] 과학계 '평행 우주론' 확산

    올 초 전 세계 과학자들의 시선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쏠렸다. 당시 NASA의 우주 전파망원경은 우주 곳곳에서 나오는 특수한 전자기파를 탐색하고 있었다. 현대 우주론에 따

    중앙일보

    2003.05.28 15:18

  • [과학으로 문화읽기] 영화 '코어'의 상상력

    여름이 다가오면 화려한 볼거리의 할리우드산 초호화 블록버스터 SF 영화들이 줄줄이 개봉을 기다린다. 올해도 예외는 아닌데, 그 첫 테이프는 영화 '코어(CORE)'가 끊었다. 영화

    중앙일보

    2003.05.21 14:38

  • [새영화] '코어'

    SF 영화 '코어(The Core)'에서 굳이 새로운 걸 꼽자면 소재다. 우주.외계인 등 주로 지구 밖 세계에 눈을 돌렸던 종전의 SF 영화와 달리 '코어'는 지구의 중심(코어)으

    중앙일보

    2003.04.10 17:35

  • 과학위성 1호 조립 완료…6월 발사

    천문대는 왜 대부분 산꼭대기에 있는 것일까. 먼지 없이 깨끗한 대기 아래에서 별자리 관측이 좀더 쉽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별 구경하기 힘든 이치와 같다. 그렇다면 대기를 벗어나면

    중앙일보

    2003.02.19 16:01

  • 2003년 주목받을 '우주 미스터리' 10選: 지구 생명체는 외계서 ?

    2002년은 우주의 비밀을 밝혀내려는 전세계 과학자들의 연구가 활발했던 한해다. 과학전문 인터넷 사이트인 스페이스닷컴은 26일 내년에도 과학계의 화두가 될 대표적인 '우주 미스터

    중앙일보

    2002.12.28 00:00

  • 산타 얼굴을 한 태양?

    산타 얼굴을 한 태양?

    태양과 SOHO로부터 온 선물 - 좋은 연말연시 되세요! [특집] 연말연시 잘 보내기'간 큰 아이들'을 위한 엽기적 선물들 '산타 = 빈 라덴' 논쟁미 가족계획협회 카드 '신성모

    중앙일보

    2002.12.27 10:31

  • 경외할 수밖에 없다

    □…신기한 세상 별난 톱10-놀라운 자연현상 톱10(Q채널·CH25 오후 3시)=지구에 현존하는 신비한 자연 현상 열 가지를 꼽아본다. 2위는 에베레스트산. 1위는 태양폭풍이 지구

    중앙일보

    2002.12.21 00:00

  • 유령 모양 오로라들 가을 하늘을 채우다

    유령 모양 오로라들 가을 하늘을 채우다

    주하 킨누넨이 핀란드 북쪽의 라플란드 상공에서 이 유령 모양 오로라를 포착했다. 화보유령 모양 오로라들 정보과학-우주 섹션은하 충돌, 거대한 흔적 남겼다-[사진-충돌 흔적] 우주왕

    중앙일보

    2002.11.04 09:54

  • 초전도체 素子 2020년엔 90조 市場 예고 정부 연구비 지원 올 7억원뿐

    반도체 소자나 구리 전선이 사라지고 초전도체가 대신 쓰이는 시대가 올 것인가.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없어지는 물질. 이 때문에 초전도 전자소자는 반도체

    중앙일보

    2002.10.10 00:00

  • 우주 무기 시대 멀지 않았다

    "2020년 9월. 적군이 공격용 미사일에 연료를 채우는 장면을 미국의 정찰 위성이 포착했다. 미국 우주사령부 상황실의 전자 지도에는 적군의 기지를 나타내는 부분에 빨간 불이 들

    중앙일보

    2002.09.12 00:00

  • 전기저항 없어지고… 개구리가 허공에 둥둥… '극한 物性 연구' 활발

    지구 자기장보다 2만배쯤 강한 자석 위에 개구리를 놓으면 어떻게 될까. 자석에 붙지도, 밀려나지도 않는 개구리지만 이 때는 마치 무중력 상태에라도 있는 듯 자석 위에서 둥둥 떠다

    중앙일보

    2002.06.20 00:00

  • 치매 조기 진단시대 '성큼'

    치매 조기 진단시대 '성큼'

    33주된 태아에게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려주면 0.15초 뒤부터 태아의 뇌 활동이 아주 활발해진다. 태아가 음악에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아름다운 장미꽃을 볼 때 뇌의 활동이 어떤

    중앙일보

    2002.04.11 0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