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학 진학보다 배관공 되는 게 낫다"

    억만장자인 마이클 블룸버그 전 미국 뉴욕시장이 ‘대학에 진학하는 것보다 배관공이 되는 게 더 낫다’고 발언해 화제가 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10일(현지시간) 미국증권산업금융시장협회

    중앙일보

    2014.11.13 16:53

  • 미국 최고의 지성은 최고의 주당?

    미국 최고의 지성은 최고의 주당?

    미국 대학 캠퍼스에서 인기 최고의 음주 게임은 필시 베이루트다. 테이블 반대편에 놓인 맥주 컵 안으로 탁구공을 던져 넣는 게임이다. 한 젊은이가 클럽의 카운터에 몸을 기댄다. 턱수

    온라인 중앙일보

    2014.10.15 00:15

  • 미국도 대학 졸업생 갈 곳이 없다

    "대학 진학은 위험한 투자일 수도 있다." CNN머니는 대학 졸업자 취업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4일 보도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일자리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경제

    미주중앙

    2014.09.06 06:08

  • 주립대냐? 사립대냐? 그것이 문제로다

    여름방학이 본격적으로 들어가는 독립기념일 연휴를 맞아 자녀와 함께 대학 캠퍼스 투어를 계획하는 학부모들이 많다. 이미 한 곳 이상 캠퍼스를 방문한 이들도 있다. 캠퍼스 투어는 자녀

    미주중앙

    2014.07.01 07:33

  • 대학 졸업장 가치는 '120만 달러'

    '대학 졸업장, 아직 가치있다.' 대졸자가 고졸자보다 평생 약 120만 달러를 더 버는 것으로 조사됐다. 뉴욕연방준비은행의 제이슨 R. 아벨과 리처드 데이츠 연구원이 최근 펴낸 보

    미주중앙

    2014.06.27 06:56

  • 손 큰 미국 스타벅스 … 직원 13만5000명 대학 학비 지원

    손 큰 미국 스타벅스 … 직원 13만5000명 대학 학비 지원

    ‘공짜 학사’를 새로운 직원 복지책으로 내건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회장. [사진 블룸버그] 스타벅스가 직원들이 온라인 강좌로 대학 학위를 딸 수 있도록 4년간 학비를 지원한다. 애

    중앙일보

    2014.06.17 00:01

  • 정상 가는 길 다양 … 학생에게 쉽고 훈훈한 방법 가르쳐라

    정상 가는 길 다양 … 학생에게 쉽고 훈훈한 방법 가르쳐라

    사진 어맨다 리플리 국립대 통합 네트워크 구상은 6·4 지방선거에서 대거 당선한 진보 교육감 당선자들의 공약이다. 또 혁신학교를 4년 내에 1700개로 늘린다고 한다. 지난 대선

    중앙선데이

    2014.06.14 23:38

  • [시론] '이매지니어'를 아십니까

    [시론] '이매지니어'를 아십니까

    김화종강원대 교수컴퓨터정보통신공학 메기효과라는 말이 있다. 메기 한 마리를 미꾸라지 어항에 넣으면 미꾸라지의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어항에 생기가 더해진다는 의미의 말이다. 삼성의 이

    중앙일보

    2014.03.26 01:03

  • [삶의 향기] 쓰레기에 관한 명상

    [삶의 향기] 쓰레기에 관한 명상

    유승훈부산박물관 학예연구사 주말이면 어김없이 집 근처의 굴암산에 올라간다. 굴암산은 정상에 서면 남해 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어 부울경의 산꾼들에게 제법 알려져 있다. 이런 산이

    중앙일보

    2013.12.19 00:19

  • "영농지식 바탕으로 지역 농가에 활력 불어넣겠습니다"

    "영농지식 바탕으로 지역 농가에 활력 불어넣겠습니다"

    제6기 천안시농업대학을 졸업한 졸업생들이 성무용 학장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천안시] "열심히 배운 영농지식을 바탕으로 지역 농가에 활력을 불어넣도록 하겠습니다.”

    중앙일보

    2013.12.10 00:02

  • 조선인 징용자들 넋 위로하는 마음이 내 컬렉션의 밑바탕

    조선인 징용자들 넋 위로하는 마음이 내 컬렉션의 밑바탕

    1 기부의 철학이 만들어진 통학길. 아키타 센슈 공원의 계단에 서 있는 하정웅씨. 2 모교 아키타공업고등학교에 기증한 도서관을 둘러보고 있다. 3 이우환의 ‘점으로부터’(1974

    온라인 중앙일보

    2013.11.24 00:02

  • 조선인 징용자들 넋 위로하는 마음이 내 컬렉션의 밑바탕

    조선인 징용자들 넋 위로하는 마음이 내 컬렉션의 밑바탕

    1 기부의 철학이 만들어진 통학길. 아키타 센슈 공원의 계단에 서 있는 하정웅씨. 2 모교 아키타공업고등학교에 기증한 도서관을 둘러보고 있다. 한두 점도 아니고 1만 점이다. 평

    중앙선데이

    2013.11.23 17:05

  • "배움이 거래가 된 지금 … " vs "인성도 학원에 맡길텐가"

    "배움이 거래가 된 지금 … " vs "인성도 학원에 맡길텐가"

    직업인으로 사는 김 교사 "인성교육 현실 모르는 소리 나조차도 바르게 못 사는데" “인성교육? 웃기고 있네.”  김 교사는 참고서를 펼치며 신경질적으로 내뱉었다. 새로 부임한 교장

    중앙일보

    2013.09.25 00:44

  • 사생아·동성애자 20대, 가장 두려웠던 건…

    사생아·동성애자 20대, 가장 두려웠던 건…

    소설가 김혜나에게 요가는 또 다른 전환점이었다. 소설가란 꿈이 삶의 방향을 바꿨다면 요가는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알려줬다고 했다. 자신을 바로 세우자 글도 자유롭게 쓸 수 있었다고

    중앙일보

    2013.01.22 00:05

  • 좋아하는 일에 미래 걸었다, SW에 미친 고교생 둘

    좋아하는 일에 미래 걸었다, SW에 미친 고교생 둘

    최제필(한국애니메이션고 컴퓨터게임제작과 3)군과 전우성(한국디지털미디어고 웹프로그래밍 2)군은 친구들 사이에서 ‘미래의 빌 게이츠’로 불린다. 초·중학생 때부터 컴퓨터 소프트웨어

    중앙일보

    2012.11.21 03:10

  • 회식때 "임원이 꿈" 했더니 "근데, 고졸 아냐?" 수군덕

    회식때 "임원이 꿈" 했더니 "근데, 고졸 아냐?" 수군덕

    기업들의 ‘학력파괴’ 채용이 늘어나면서 고졸로 대기업에 입사했다가 한계를 느끼고 조기 퇴사해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고교 졸업 직전인 지난해 말 CJ제일제당에 들어

    중앙일보

    2012.07.25 03:00

  • [서소문 포럼] 미국발 온라인 대학 교육의 침범

    [서소문 포럼] 미국발 온라인 대학 교육의 침범

    강홍준논설위원 서배스천 스런(Sebastian Thrun)을 알게 된 건 행운이었다. 그는 지난해까지 미국 명문 스탠퍼드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였다가 그 좋다는 교수직을 때려쳤다. 세

    중앙일보

    2012.07.20 00:59

  • [책꽂이] 들뢰즈 개념어 사전 外

    [인문·사회] 들뢰즈 개념어 사전(아르노 빌라니·로베르 싸소 책임편집, 신지영 옮김, 갈무리, 504쪽, 3만5000원)=프랑스 현대철학자 질 들뢰즈의 사상을 87개의 핵심 키워드

    중앙일보

    2012.03.31 00:00

  • “밀실혁신 시대 가고 개방혁신·공동창조 시대 왔다”

    “밀실혁신 시대 가고 개방혁신·공동창조 시대 왔다”

    이상문 미 네브래스카 주립대 석좌교수가 2010년 말 대전 우송대에서 명예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기념촬영을 했다. [가이드포스트 제공] 관련기사 이상문 교수가 말하는‘오픈

    중앙선데이

    2012.03.11 02:43

  • [j Biz] 교황부터 레이디 가가까지 옷 입힌 남자, 디자이너 카스텔바작

    [j Biz] 교황부터 레이디 가가까지 옷 입힌 남자, 디자이너 카스텔바작

    고(故)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가수 레이디 가가. 이 둘을 관통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패션 디자이너 장샤를 드 카스텔바작(Jean-Charles de Castelbajac·6

    중앙일보

    2011.11.19 01:30

  • [세설(世說)] ‘반값 등록금’보다 심각한 ‘반값 졸업장’

    [세설(世說)] ‘반값 등록금’보다 심각한 ‘반값 졸업장’

    서승직인하대 교수·건축공학과 반값 등록금 요구는 원칙 없는 대학교육 정책에서 비롯된 혼란이다. 지금의 상황은 수십여 년 동안 마치 ‘언 발에 오줌 누는 식’의 조치로 병을 키워

    중앙일보

    2011.06.23 00:20

  • [김환영의 시시각각] 불확실성의 가치

    [김환영의 시시각각] 불확실성의 가치

    김환영중앙SUNDAY 사회에디터 사람을 불안하게 만드는 불확실성도 그 가치가 발휘될 때가 있다.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좋은 게 나올 수 있다. 예컨대 자본주의나 우리나라의

    중앙일보

    2011.06.15 00:29

  • [경제 view &] 잡스·게이츠·저커버그가 대학서 배운 것

    [경제 view &] 잡스·게이츠·저커버그가 대학서 배운 것

    김홍선안철수연구소 대표이사 1980년대 중반 미국 유학 시절 얘기다. 컴퓨터 작업으로 거의 밤을 새우고 이른 새벽에 학생 라운지에 들어섰다. 중년의 건장한 남자가 혼자 콜라를 마

    중앙일보

    2011.06.13 00:18

  • [경제 view &] 한국도 ‘20 언더 20 사업’눈여겨 봐야

    [경제 view &] 한국도 ‘20 언더 20 사업’눈여겨 봐야

    매튜 디킨한국HSBC은행장 한국인들의 교육열은 정말 대단하다. 얼마 전 한국 고교 졸업생들의 2010년 대학 진학률이 80%에 이른다는 보고서를 접한 적이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중앙일보

    2011.06.10 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