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기습폭우에 허 찔린 한강치수 47년만의 대홍수…그 수방대책의 문제점

    18일 한강범람의 대홍수는 한강연안의 수해대책에 대한 안이와 요행의 허를 찔렀다. 한강은 항상 마음놓을 수 없게 수도서울과 그 일대를 위협하고있다. 중부지방에 대한 강우량의 특성으

    중앙일보

    1972.08.21 00:00

  • 사망·실종 496명

    한때 위험수위를 돌파, 11m24cm까지 물이 불어 서울을 위협했던 한강의 홍수는 19일 밤 9시를 고비로 줄기 시작, 21일 정오 현재 경계수위(8·50m)를 훨씬 내려간 7m2

    중앙일보

    1972.08.21 00:00

  • 수해복구에 10억원

    서울시 재해대책본부는 21일 「18 대홍수」피해복구대상 지역을 4백38개소로 정하고 복구작업에 나섰다. 4백38개소를 모두 복구하려면 10억1천9백40만원의 자금이 필요하다. 서울

    중앙일보

    1972.08.21 00:00

  • 위험 오르내린 한강주변 43시간|수위 따라 고조된 긴장과 초점

    한강인도교의 수위가 이번에 11m24cm를 기록한 것은 1925년(을축년) 이래 47년만의 것이었다. 서울시 기록으로는 당시 인도교의 수위가 12m26cm. 뚝섬은 12m20cm,

    중앙일보

    1972.08.21 00:00

  • 제방 3백여m 유실 신앙촌 공장 등 침수

    【의정부】18일 하오부터 19일 상오 11까지 의정부시를 중심한 한수 이북지방에 3백22·5㎜의 집중호우가 내려 의정부시 의정부3동 중랑천의 신곡 교 옆 둑3백여m가 유실되고 의정

    중앙일보

    1972.08.19 00:00

  • 새벽 폭우…침수 소동-서울

    4일 새벽부터 내린 폭우로 서울 시내 곳곳이 침수되어 교통이 끊기는 등 물난리를 내고 있다. ▲이날 상오 11시20분쯤 5·16 광장의 도로가 침수돼 교통이 두절, 차량들은 여의도

    중앙일보

    1972.08.04 00:00

  • 제주피해액만 12억 감귤 50% 감수예상

    【제주】제주도 재해대책본부는 27일 태풍 「리터」호로 배가 침몰, 15명이 실종되는 등 익사 및 실종 16명, 부상 7명, 선박파괴 또는 유실 55척, 가옥침수 2백90채, 건물파

    중앙일보

    1972.07.27 00:00

  • 사망·실종 30여명

    제주를 스쳐 우리 나라 서해안을 따라 몰아쳐 오던 제7호 태풍 「리터」호는 사망 8명, 실종 25명 등 33명의 인명과 2억9천여 만원의 재산피해를 내는 등 큰 상처를 내고 경기만

    중앙일보

    1972.07.27 00:00

  • 남부에 폭우피해

    장마전선의 북상과 함께 3일 전국에 내린 폭우로 낙뢰 및 축대가 붕괴, 6명이 죽고 10명이 부상했으며 물이 불어난 하천을 건너던 노파와 하학길의 어린이 등 2명이 실종됐다. 4일

    중앙일보

    1972.07.04 00:00

  • 사망·실종 모두 12명

    29일과 30일 새벽사이에 영·호남과 중부지방일대에 내린 집중 호우로 모두 7명이 죽고 5명이 실종, 7명이 부상하고 가옥붕괴 22동, 침수 2백 7동등으로 모두 1천 3백 93명

    중앙일보

    1972.03.31 00:00

  • 서산에 해일

    【대전】2일 하오4시30분쯤 서산군 남면 신온리2구 앞바다에서 해일이 일어나 이 마을 금창무역주식회사(대표 김대규·45)의 꽃게 수집장의 제방 1백20m가 무너져 일본으로 수출하기

    중앙일보

    1971.12.03 00:00

  • 서해안에 해일

    【대전·예산】6일하오6시부터 이날하오9시30분 사이 서해안 당진·예산·아산군 등지에서 해일이 일어나 제방2백여m가 유실되고 논1백30여 정보가 침수, 논3백여 평이 매몰되는 피해를

    중앙일보

    1971.10.07 00:00

  • 인재의 되풀이 호우피해

    25일부터 26일 새벽사이에 충청지방과 호남지방을 강타한 폭우로 말미암아 27일 상오까지 사망64명·실종5명·부상44명 등의 인명피해가 집계되었고, 2천5백명의 재민들이 이틀째 고

    중앙일보

    1971.07.28 00:00

  • 밤새 5개 마을이 물바다로|금강 하류 범람 새벽의 물난리

    【부여=본사임시취재반】지난26일의 폭우로 충청·호남지역은 곳곳에 물난리를 일으켜 막심한 피해를 냈다. 이날 금강이 부분적으로 범람하는 바람에 충남일대는 완전히 물바다를 이루었으며

    중앙일보

    1971.07.27 00:00

  • 서울은 물에 약하다

    지리한 장마가 계속되고 있다. 비만 오면 서울시내는 항상 물난리를 겪고 곳곳에서 축대와 건물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일으키며 낮은 지대에서는 침수소동이 일어난다. 위험한 건물이나

    중앙일보

    1971.07.13 00:00

  • 벼락 동반 호우…21명 사망

    1일과 2일의 벼락을 동반한 호우로 전국에서 21명이 죽고 6명이 실종, 16명이 부상하는 등 모두 43명의 인명 피해를 냈고 건물 1천4백42동이 침수, 이재민 3백명을 내는 등

    중앙일보

    1971.07.02 00:00

  • 예산 3억5천만원

    서울시는 26일 ①수해 등의 재해를 예방하고 ②재해가 발생했을 때의 기동성 있는 응급조치와 구호 ③긴급복구 등 3억4천9백90만원의 예산으로 올해 재해대책을 마련했다. 서울시의 올

    중앙일보

    1971.02.26 00:00

  • 실의에 잠긴 황금평야

    영남과 호남의 황금평야를 할퀴고 간 수해는 농민들에게 아물 수 없는 큰 상처를 안겨다주었다. 한창 자라는 벼가 흙탕물 속에 1주일씩이나 잠겨 벼농사를 망쳤다는 농민들의 한숨 섞인

    중앙일보

    1970.07.24 00:00

  • 수해 복구 대책

    6월15일 이후 7월22일까지 한달 남짓한 장마피해는 73억4천98만8천원에 달하며 인명 피해는 사망 90명, 실종 30명, 이재민수는 4만6백22명에 달한다 한다. 이번 장마로

    중앙일보

    1970.07.23 00:00

  • 전국이 폭우권에 곳곳서 물난리

    지난 15일 저녁부터 전국에 내린 폭우로 전국 곳곳에 또 물난리를 일으켜 7명이 죽고 2명이 실종, 9명이 부상하는 등 18명의 인명 피해와 7백 여명의 이재민, 7억9천9백36만

    중앙일보

    1970.07.17 00:00

  • 사망 38·실종 14명

    태풍 「올가」호가 동반한 폭우는 지난 4일부터 6일 사이에 영동과 영남지방을 물바다로 만든 다음 전국에서 38명 사망, 14명 실종, 72명 부상, 2천5백80명의 이재민과 함께

    중앙일보

    1970.07.07 00:00

  • 천여 정보 침수

    【울산】지난 4일 밤 9시부터 5일 상오 9시까지 울산·울주 지방에 1백59·5mm의 집중호우가 내려 1천5백여 정보의 전답이 침수 또는 유실, 매몰되고 제방 길 등이 무너져 약

    중앙일보

    1970.07.06 00:00

  • 장마 예보

    장마철이 다가온 것 같다. 관상대의 장기예보에 의하면 장마는 이달 말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은 오랜 가뭄으로 식수난, 농업용수난등으로 허덕이고

    중앙일보

    1970.06.19 00:00

  • 장마철의 연례 풍수해, 그 대책을 살펴보면

    해마다 여름철이면 연중행사처럼 치르는 풍수해는 올해도 이미 들이닥쳤다. 지난 15일 새벽부터 몰아친 강풍과 폭우로 8일까지 1명이 죽고 2명이 부상당하는 인명피해와 4백2동의 건물

    중앙일보

    1970.06.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