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 실세 김원홍 보위부장, 나 떨고 있니?

    북 실세 김원홍 보위부장, 나 떨고 있니?

    북한 정찰총국 고위인사와 중국 내 북한 식당 종업원들의 탈북으로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빨간 원)의 책임론이 거론된다.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 박영식 인

    중앙일보

    2016.04.12 02:42

  • [장성택傳(끝)]'제2의 장성택'을 기다리며

    [장성택傳(끝)]'제2의 장성택'을 기다리며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고모부인 장성택이 12일 국가안전보위부원에게 목덜미가 잡힌 채 특별군사재판 법정에 들어서고 있다. 장성택은 지난 8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중앙일보

    2015.12.09 12:54

  • 백두산 이어 황해도 장산곶, 의문의 연쇄 산불

    백두산 이어 황해도 장산곶, 의문의 연쇄 산불

    김정은, 지팡이 없이 등장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 3~4일 평양에서 열린 제3차 대대장·대대정치지도원 대회에 참석했다. 지난달 14일 공개활동을 재개한 후 줄곧 지팡이

    중앙일보

    2014.11.06 00:57

  • [사진] 수갑 차고 법정 들어선 장성택

    [사진] 수갑 차고 법정 들어선 장성택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고모부인 장성택이 12일 국가안전보위부원에게 목덜미가 잡힌 채 특별군사재판 법정에 들어서고 있다. 장성택은 지난 8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

    중앙일보

    2013.12.14 01:34

  • 간첩죄 씌워 처형…北김정은 '피의 숙청' 왜?

    간첩죄 씌워 처형…北김정은 '피의 숙청' 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지난 21일 국가안전보위부(우리 국가정보원)를 방문해 김창섭 정치국장(왼쪽)과 함께 보위부원들의 환호에 답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김정은 국방

    중앙일보

    2012.11.28 00:43

  • "北 연평도 같은 도발 쉽지 않을것, 이유는…"

    "北 연평도 같은 도발 쉽지 않을것, 이유는…"

    마커스 놀랜드한반도 전문가인 마커스 놀랜드 미국 피터슨 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이 “북한의 김정은이 자신의 권력장악을 과시하기 위해 핵실험을 하거나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이

    중앙일보

    2012.02.13 01:38

  • 김정은 체제 뒷받침할 우동측의 보위부 … 조문 태도 불량한 주민·간부 엄한 추궁

    김정은 체제 뒷받침할 우동측의 보위부 … 조문 태도 불량한 주민·간부 엄한 추궁

    우동측 제1부부장김정일 사망 직후 우리의 국가정보원에 해당하는 국가안전보위부(보위부)가 김정은 체제의 전면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김정은 직할조직인 보위부가 김정일 조문

    중앙일보

    2011.12.26 00:44

  • 빈 라덴, 연락책 꼬리 잡혀 사살될때 북 간부도 중국에 심은 연락책에게…

    미국이 오사마 빈 라덴의 연락책을 추적해 빈 라덴을 제거했다. 연락책이 빈 라덴 죽음의 결정적 역할을 한 셈이다. 그런데 북한은 중국에 심어놓은 연락책에게 보위부 간부가 살해당하는

    중앙일보

    2011.05.03 16:00

  • 중국, 미국 직행 첫 허용

    중국 선양(瀋陽)의 미국 영사관으로 담을 넘어 들어가 미국행을 요구해 온 탈북자 4명 가운데 3명이 22일 미국으로 떠난 사실이 24일 확인됐다. 이들의 미국행은 정치적 망명 형식

    중앙일보

    2006.07.25 04:55

  • 호주, 2003년 나포한 북한 선박 목표물로 폭격 훈련

    호주, 2003년 나포한 북한 선박 목표물로 폭격 훈련

    마약을 운반하다 호주 당국에 압류돼 군 훈련 목표물이 된 북한 선박 봉수호가 23일 시드니 앞바다에서 호주 공군의 F-111 전폭기의 레이저 유도 폭탄에 맞은 모습(위). 그 뒤

    중앙일보

    2006.03.24 05:00

  • [삶과추억] 이수성 前 총리의 모친 故 강금복 여사

    지난 22일 90세를 일기로 별세한 이수성(李壽成)전 국무총리의 모친 강금복(姜今福)여사. 그의 일생에는 이 땅 보통 어머니들의 인고(忍苦)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는 부엌

    중앙일보

    2001.05.28 00:00

  • 식량난.탈북 도미노 북한체제-붕괴 시작됐다

    북한이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고 있다.배가 파선하기 전에 쥐들이 도망가는건 생존 본능의 발로다.북한에서 왜 연이은 탈출이 벌어지고 있는가.중국과 러시아,그리고 유럽에서 이뤄진 탈

    중앙일보

    1996.02.17 00:00

  • 13.주먹세계

    북한의 주먹세계에도 「대형(大兄)」이 있다.69년에 숙청된 김창봉(金昌奉)前민족보위상이 바로 주먹들의 정신적 지주다. 백영길씨는 『주먹세계에선 김일성보다 김창봉을 더 존경한다』며『

    중앙일보

    1995.02.23 00:00

  • 7.平祝이후 北의 변화

    제13차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평축)-. 89년7월 평양에서 열린 이 축전이 90년대 북한의 격변을 몰고왔다.6.25이후 북한에 2만명이상의 외국인이 한꺼번에 들이닥친 것은 처음이

    중앙일보

    1995.02.02 00:00

  • 4.外貨벌이에 하루가 간다

    북한은 고려청자.청동불상.조선백자.서화등 문화재급 골동품을 수집,주로 일본에 팔고있다. 백도라지재배라고 위장한 양귀비 전문농장이 양강도의 운흥.갑산.보천.백암과 함남의 장진.단천에

    중앙일보

    1995.01.24 00:00

  • 북한뉴스

    ○…북한은 지난 1일 생필품증산을 촉구하면서 『이 문제가 단순한 경제실무적 사업이 아니라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정치적 과제라고 강조해 생필품난의 심각함을 나타냈다. 북한의 「중앙

    중앙일보

    1990.04.17 00:00

  • "달라진 북한 믿기지 않는다"-김만철 씨|북한탈출 김만철 씨-방북 이찬삼 특파원 대담

    최근 북한을 다녀와 본지에「가서 본 북한」을 연재했던 중앙일보 미국 시카코 지사 편집국장 이찬삼 씨와 김만철 씨가 자리를 함께 했다. 이씨는 개방의 미풍이 북한사회에도 서서히 불고

    중앙일보

    1988.12.30 00:00

  • 사선을 넘어서|청진서 서울까지 동토탈출기|김만철|시베리아 벌목상

    표류 4일째. 청진호는 파도치는대로 곤두박질쳤다. 가족들은 추위와 멀미, 그리고 허기와 갈증으로 탈진상태. 「아직도 북한영해에서 맴돌고 있는 것은 아닐까」-. 불길한 예감이 공포를

    중앙일보

    1987.04.17 00:00

  • 사선을 넘어서|청진서 서울까지 동토탈출기(김만철)|"나는 골수공산주의자였다"

    김만철씨 일가족이 「따뜻한 남쪽나라」를 찾아 북한을 탈출한지 3개월. 김씨는 최근 중앙일보 김창욱·이덕령 기자와 3일간 만나 질곡과 좌절로 얼룩졌던 배에서의 반평생과 서울에서의 보

    중앙일보

    1987.04.15 00:00

  • 이동영도 공산주의에 회의(드라머)

    □…MBC-TV 『6·25특집극』(24일밤 9시45분)=「영웅시대」. 1, 2부. 재남침을 시작한 북괴군에 합류하여 남하하던 정치보위부원 이동영은 친한친구이자 이념의 동지였던 김철

    중앙일보

    1985.06.24 00:00

  • 볼만한 프로

    □ MBC-TV 『113수사본부』(15일 밤7시40분)=「투사들」. 6 25사변무렵 황해도 정치보위부원을 반동정치범들을 색출, 검거하는데 앞장섰던 간첩 장광식이 자수하자 수사반은

    중앙일보

    1982.10.15 00:00

  • 대부분이 숙청당하거나 몰락

    6.25때 월북한 작가 박태원(71)이 완전 실명상태에서 처가 구구을 받아 소설『갑오농민전쟁』을 집필 중에 있다는 사실이 최근 평양방송을 인용 보도됐다. 예술부재의 상태에서 예술인

    중앙일보

    1980.10.23 00:00

  • 종교를 내건 허울뿐인 단체들만|국토통일원주최 「북한의 종교실태」 학술대회

    북한은 72년이후「북조선불교도연맹」 「천도교중앙지도위원회」등의 종교단체 이름을 대외적으로 내놓고 종교의 자유가 보장돼 있는듯 허위 선전을 일삼고 있다. 1950년대 중반이후 모든

    중앙일보

    1979.12.20 00:00

  • (1292)|남북협상(32)|선우 진

    남북협상의 북행 길에는 김일성과 옛 스승 최동오씨(l892년 생·최덕신 천도교 교 령 부친·6·25때 납북행방불명)가 20여년 만에 재회하는 화제의 꽃이 피기도 했다. 김일성은 최

    중앙일보

    1975.03.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