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前 러시아 대사 "北 김정은 부부 결혼식은…"

    前 러시아 대사 "北 김정은 부부 결혼식은…"

    수히닌“요즘 북한 경제개방이 진짜인지는 김정은도 대답하기 어려울 것이다.”  2006년 12월부터 5년5개월간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를 지낸 발레리 수히닌의 말이다. 지난 4월 퇴

    중앙일보

    2012.08.15 03:00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260) 류샤오치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260) 류샤오치

    ▲문혁이 발생하자 류샤오치는 비명횡사하고, 일가족도 수난을 당했다. 1967년 1월 6일, 칭화대학에서 열린 비판대회에 강제로 끌려나온 류샤오치의 부인 왕광메이(王光美). 197

    중앙일보

    2012.03.11 22:57

  • 먹고사는 문제 해결한 류샤오치, 일단 판정승

    먹고사는 문제 해결한 류샤오치, 일단 판정승

    문혁이 발생하자 류샤오치는 비명횡사하고, 일가족도 수난을 당했다. 1967년 1월 6일, 칭화대학에서 열린 비판대회에 강제로 끌려나온 류샤오치의 부인 왕광메이(王光美). 1978

    중앙선데이

    2012.03.11 02:15

  • 김정숙 ‘정’ 김일성 ‘일’ 따서 이름 … 일찍부터 제왕 교육

    김정숙 ‘정’ 김일성 ‘일’ 따서 이름 … 일찍부터 제왕 교육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다섯 살 때인 1947년 김일성(오른쪽)을 따라 만경대(김일성 생가)를 방문해 증조모 이보익(왼쪽)과 권총을 들고 촬영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김정일 국방위원

    중앙일보

    2011.12.20 00:43

  • 노태우, 부시에게 “북한과 대화는 우리가 한다, 미국은 여건만 만들어라”

    노태우, 부시에게 “북한과 대화는 우리가 한다, 미국은 여건만 만들어라”

    한·소 수교 3개월 뒤인 90년 12월 13일 노태우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위해 모스크바 세레메체보 공항에 도착, 메드베제프 소련 대통령위원회 위원의 영접을 받으며 3군 의장대를

    중앙선데이

    2010.11.21 13:30

  • 5년간 37개국과 수교 노태우 북방외교의 재발견

    관련기사 노태우, 부시에게 “북한과 대화는 우리가 한다, 미국은 여건만 만들어라” 바야흐로 중국의 시대다. 한국에서 중국의 시대를 연 건 1992년 노태우 대통령이었다. 그해 8

    중앙선데이

    2010.11.21 02:35

  • 총리

    총리

    국무총리는 왕조 시대의 재상에 비견할 자리다. 재상은 흔히 ‘군주를 보필하고 행정을 책임지는 2인자 자리’라고 한다. 하지만 말만 2인자일 뿐 실제로는 군주의 힘과 야심에 따라

    중앙선데이

    2009.09.06 01:09

  • [분수대] 경제사령관

    [분수대] 경제사령관

    북한의 총리는 공식 권력 서열 4위다. 북한군 창건 75주년(4월 25일) 열병식 때 김영일 총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조명록 국방위 제1부위원장

    중앙일보

    2007.11.15 20:19

  • 북한 군단장 7명 전격 교체, 4년 만에 최대 규모

    북한 군단장 7명 전격 교체, 4년 만에 최대 규모

    북한 수뇌부 위 사진은 4월 25일 열린 북한 군창건 75돌 열병식 주석단. 상단 김정일 국방위원장(가운데), 왼쪽으로 조명록(차수) 국방위 제1부위원장, 김격식(대장) 총참모장

    중앙선데이

    2007.05.27 03:23

  • 北 군단장 7명 전격 교체, 4년 만에 최대 규모

    北 군단장 7명 전격 교체, 4년 만에 최대 규모

    1993~94년 1차 북핵 위기를 다룬 북한의 다큐멘터리 소설 『역사의 대하』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수시로 찾는 군부 인사는 두 사람이다. 총참모장과 작전국장이다. 요직 중 요직

    중앙선데이

    2007.05.27 02:56

  • 북 "남한에 미군 핵무기 1000여 기 배치"

    북한은 1976년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린 제5차 비동맹회의에서 주한 미군이 1000여 기의 핵무기를 실전 배치했다고 주장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외교통상부가 4일

    중앙일보

    2007.04.05 04:58

  • 제6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12월 9일

    [제1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3월 31일] [제2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4월 25일] [제4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7월

    중앙일보

    2005.12.13 14:43

  • 김정일 측근 연형묵 사망

    김정일 측근 연형묵 사망

    북한 연형묵(73.사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겸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이 22일 사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 연 부위원장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신임을 받아온 측근으

    중앙일보

    2005.10.24 04:55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71-80]

    1971년 1. 4 : 노동당 중앙위 비서 양정섭, 최용건 병문안차 동독 향발(9일 귀환). 1.22 : 외무성, 미국이 인지 전역에서 「침략전쟁을 확대」하고 있다고 「성명」발표.

    중앙일보

    2004.10.25 13:04

  • 92년헌법

    제1장 정 치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전체 조선인민의 리익을 대표하는 자주적인 사회주의국가이다. 제2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국주의 침략자들을 반대하며 조국의 광복과 인

    중앙일보

    2004.10.22 14:33

  • 72년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5기 제1차 회의는 위대한 맑스-레닌주의자이시며 혁명의 영재이신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동지의 직접적인 지도 밑에 사회주의헌법 기초위원회가 작성하여

    중앙일보

    2004.10.22 14:25

  • 北 최고인민회의 3일 개막

    3일 열리는 북한 최고인민회의 11기 1차 회의는 김정일 정권 2기의 출범이라는 점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달 말 끝난 6자회담(남북, 미.일.중.러) 직후 회의가 열

    중앙일보

    2003.09.03 09:17

  • 北 최고인민회의 3일 개막

    3일 열리는 북한 최고인민회의 11기 1차 회의는 김정일 정권 2기의 출범이라는 점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달 말 끝난 6자회담(남북, 미.일.중.러) 직후 회의가 열

    중앙일보

    2003.09.03 06:18

  • ▲91.5 = 주 콩고 북한대사관 1등서기관 고영환(高英煥)씨 ▲94.5 = 강성산(姜成山) 정무원 총리 사위 강명도(康明道)씨 ▲94.7 = 김일성대학 경제학부 강사 조명철씨 ▲

    중앙일보

    2003.05.17 11:14

  • 한반도 군축시대 열리나

    북한이 2만∼5만명의 병력감축과 함께 군사분계선 일대에 배치된 병력의 군비(軍備)태세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7일 나오자 정부와 군 당국은 사실 여부 파악에 촉각을

    중앙일보

    2002.10.10 00:00

  • [북 시찰단장 김정일 여동생 보내는 까닭]

    북한 경제 시찰단의 남한 방문 행보(行步)에 무게가 실리게 됐다.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이 자신의 친여동생인 김경희(金敬姬.54) 노동당 경공업부장을 단장으로 파견할 것으로 알려

    중앙일보

    2000.10.02 00:00

  • [북한 경제시찰단 왜 서울 오나]

    북한 경제시찰단의 서울 방문은 경제관료.전문가 집단이 남한의 경제발전상을 직접 피부로 느끼는 게 중요하다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백문(百聞)이 불여일견(

    중앙일보

    2000.09.02 00:00

  • [남북 이산상봉] 90년이후 북한서 992명 남한 방문

    15일 이산가족 북측 방문단 1백51명이 서울을 방문함에 따라 1990년 이후 남쪽 땅을 밟은 북한사람은 모두 9백92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1990년 9월 제1차 남북 고위급회담

    중앙일보

    2000.08.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