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한 경제를 이끈 총리 傳(8)]오직 실력으로 총리에 오른 홍성남

    [북한 경제를 이끈 총리 傳(8)]오직 실력으로 총리에 오른 홍성남

    북한의 8대 총리는 강성산이다. 강성산은 이 시리즈의 5회째에 이미 총리를 운 좋게도 두 번씩이나 한 사람으로 소개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9대 총리 홍성남(1929~2009)을 살

    중앙일보

    2017.05.25 07:00

  • [북한 경제를 이끈 총리傳(6)]'복지부동' 이근모 총리

    [북한 경제를 이끈 총리傳(6)]'복지부동' 이근모 총리

     북한의 6대 총리는 이근모다. 재임기간은 1986년 12월부터 1988년 12월까지로 2년이었다. 총리 가운데 최단명했던 박성철 보다 4개월 더 한 셈이다. 이근모는 탈북민들도

    중앙일보

    2017.05.10 12:46

  • [북한 경제를 이끈 총리傳(5)]김정일의 '눈치밥'에 기죽은 강성산 총리

    [북한 경제를 이끈 총리傳(5)]김정일의 '눈치밥'에 기죽은 강성산 총리

    북한에서 총리직을 2번 한 사람이 2명 있다. 강성산(1931~2007)과 박봉주다. 강성산은 5대 총리(1984~1986년)와 8대 총리(1992~1997년)를 지냈다. 박봉주는

    중앙일보

    2017.04.19 06:15

  • 前 러시아 대사 "北 김정은 부부 결혼식은…"

    前 러시아 대사 "北 김정은 부부 결혼식은…"

    수히닌“요즘 북한 경제개방이 진짜인지는 김정은도 대답하기 어려울 것이다.”  2006년 12월부터 5년5개월간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를 지낸 발레리 수히닌의 말이다. 지난 4월 퇴

    중앙일보

    2012.08.15 03:00

  • [분수대] 경제사령관

    [분수대] 경제사령관

    북한의 총리는 공식 권력 서열 4위다. 북한군 창건 75주년(4월 25일) 열병식 때 김영일 총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조명록 국방위 제1부위원장

    중앙일보

    2007.11.15 20:19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91.5 = 주 콩고 북한대사관 1등서기관 고영환(高英煥)씨 ▲94.5 = 강성산(姜成山) 정무원 총리 사위 강명도(康明道)씨 ▲94.7 = 김일성대학 경제학부 강사 조명철씨 ▲

    중앙일보

    2003.05.17 11:14

  • [월간중앙] ‘한반도의 뇌관’ 人間 김정일

    한반도의 절반을 통치하고 있는 북한 최고권력자 김정일. 그 김정일이 6월12일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장에서 마침내 김대중 대통령과 대좌한다. 우리의 운명을 바꿀 수도 있는 역사적 대

    중앙일보

    2000.06.02 10:19

  • [94년 7월 YS·김일성 회담 왜 깨졌나]

    지난 1994년 김영삼(金泳三.YS)대통령과 김일성(金日成)주석간에 합의됐던 최초의 남북정상회담 계획은 김일성의 급작스런 사망으로 성사 일보 직전에 무산됐다. 94년 6월 북한 핵

    중앙일보

    2000.04.11 00:00

  • 왕따→모서리 주기·구설수→말밥…'북한 특이용어집'발간

    '풋내기〓생둥이' , '젤리〓단묵' , '구설수〓말밥' …. 집단 따돌림을 뜻하는 '왕따' 는 북한에선 '모서리주기' 로 통한다. 국가정보원은 15일 북한에서 특이하게 상용되는 용

    중앙일보

    1999.10.16 00:00

  • 국정원, '북한 상용 특이 용어집' 발간

    '풋내기 = 생둥이' , '젤리 = 단묵' , '구설수 = 말밥' …. 집단 따돌림을 뜻하는 '왕따' 는 북한에선 '모서리주기' 로 통한다. 국가정보원은 15일 북한에서 특이하게

    중앙일보

    1999.10.15 16:09

  • [북한 홍성남 총리 누구인가]

    김정일 시대의 첫 내각총리인 홍성남 (洪成南.74) 은 체코 프라하 공대 출신의 전문기술관료. 24년 원산출생. 54년 노동당 중공업부 지도원을 시작으로 경제부문에서 잔뼈가 굵었다

    중앙일보

    1998.09.07 00:00

  • 송두율 파문 정가 비화 조짐

    안기부가 20일 독일 국적의 송두율 (宋斗律.55) 전 훔볼트대 교수가 북한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이라고 밝힘에 따라 충격을 주고 있다. '황장엽 리스트' 가 드디어 수면 위로 모

    중앙일보

    1998.07.21 00:00

  • 가닥 잡혀가는 북한 당·정·군 인사…김정일,세대교체 박차

    본격적인 김정일 (金正日) 시대의 출범을 의미하는 김정일의 당총비서 승계는 권력구조는 물론 당.정.군 요직의 면면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총비서 추대행사가 진행중

    중앙일보

    1997.09.29 00:00

  • 북한도 행정개혁…유사부처 통폐합

    북한은 행정부에 해당하는 정무원 (政務院) 조직을 개편했다. 양곡문제를 담당하는 양정부는 인민봉사위원회 (위원장 孔鎭泰) 직속으로 하고 핵문제를 담당하는 원자력총국 등 4개 부서는

    중앙일보

    1997.07.30 00:00

  • 북한 권력주조 변화 전망

    북한 권부가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알려진대로 북한은 최광(崔光)인민무력부장 장의위원 명단을 발표하면서 이을설 호위사령관,조명록 군총정치국장,김영춘 총참모장 등 3인을

    중앙일보

    1997.02.27 00:00

  • 북한 강성산총리 해임된듯-홍성남 부총리가 대행

    북한 정무원 총리직을 부총리 홍성남(洪成南.72)이 대리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13일까지 총리직을 맡은 것으로 확인된 강성산(姜成山.66)의 신변에 변화가 있음을 말해주는

    중앙일보

    1997.02.22 00:00

  • 북한 권력투쟁 신호탄인가-홍성남 총리代理 배경

    북한이 정무원 총리직을 홍성남(洪成南.72)부총리 대리체제로 이끌어 가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황장엽(黃長燁)비서의 망명후 확인된 북한 권력층내의 첫 변화기 때문이다. 우리

    중앙일보

    1997.02.22 00:00

  • 북한총리 강성산 당뇨로 臥病說

    북한 정무원 강성산(姜成山)총리가 지난 1년동안 공식석상에 전혀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강성산은 새해 첫날인 당.정 간부들과 김일성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기념궁전'을 참배한

    중앙일보

    1996.12.30 00:00

  • 북한 10월 대규모 인사說 떠오르는 總理후보들

    김일성(金日成)사후 지난 2년여동안 김정일(金正日)통치행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중 하나는 핵심 고위간부층에 대한 인사를 거의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인민무력부장(吳振宇)

    중앙일보

    1996.08.26 00:00

  • 上.전환기 맞은 북한체제

    8일은 김일성(金日成)사망 2년째가 되는 날이다.북한에 있어지난 2년은 생존을 위해 대내외적으로 몸부림쳐온 기간이었다.「아사자(餓死者)발생」「붕괴는 시간문제」라는 얘기가 공공연히

    중앙일보

    1996.07.06 00:00

  • 강성산 북한총리 병악화 집무불능-홍성남부총리 직무대행

    북한의 강성산(姜成山)정무원 총리가 당뇨병 등으로 이미 6개월 이상 집무를 수행하지 못해 경제담당 부총리인 홍성남(洪成南)이 총리직을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 사정에

    중앙일보

    1996.05.28 00:00

  • 북한 강성산총리 부패분자로 몰려 연금說 관측-정부관계자

    북한 강성산(姜成山.66)총리가 부패분자로 몰려 가택연금 중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20일 『강성산이 최근 김정일(金正日)에게 중국식 개방을 건의하다 「자본

    중앙일보

    1996.05.21 00:00

  • 北강성산총리 50일째 안보여

    [도쿄 로이터=연합]강성산(姜成山.64)북한 정무원총리가 지난 10월11일이후 50일째 공식석상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 있어 그의 신상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일본의 북한문제 소

    중앙일보

    1995.12.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