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설] 또 미사일 발사한 북, 무사태평한 남

    북한이 그제 서해상에서 사거리 100㎞가량의 미사일 두 발을 발사했다. 지난달 말에 있었던 동해상 발사 이후 불과 13일 만이다. 정부는 이번에도 '통상적인 군사훈련의 일환'이라고

    중앙일보

    2007.06.09 00:35

  • 서울시 "CNG 버스 충전소 확충"에 주민 "반대" … 해법 없나

    서울시 "CNG 버스 충전소 확충"에 주민 "반대" … 해법 없나

    잘 걷기 위해서는 환경이 좋아야 한다. 특히 공기가 깨끗해야 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서울시는 '걷기 좋은 맑은 서울'을 만들기 위해 서울시내 버스를

    중앙일보

    2007.06.07 04:56

  • [재산리모델링] 마흔 되기 전에 강남 인근에 아파트 마련하고 싶은 미혼인데…

    [재산리모델링] 마흔 되기 전에 강남 인근에 아파트 마련하고 싶은 미혼인데…

    Q : 30대 초반의 미혼 직장여성입니다. 마흔 살이 되기 전에 제 아파트를 마련하는 게 저의 최우선 목표입니다. 현재로선 별다른 계획 없이 저축만 해나가고 있습니다만, 이 상태로

    중앙일보

    2007.06.06 18:54

  • 서울시 "대기의 질 위해서 CNG 충전소 충분히 확보해야"

    서울시 "대기의 질 위해서 CNG 충전소 충분히 확보해야"

    서울시는 걷기 좋은 도시의 전제 조건인 맑은 대기질을 위해서는 경유 시내버스를 CNG(압축천연가스) 버스로 교체하는 사업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CNG 버스 보급을 위해서는 연

    중앙일보

    2007.06.06 17:46

  • 개미보다 베짱이가 되겠다

    ▶한 방을 노리는 데는 남녀노소가 따로 없다. 사진은 로또를 사기 위해 줄을 선 사람들. 취재차 탄 택시기사에게 “노후자금으로 10억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나. 어떻게

    중앙일보

    2007.06.05 14:22

  • "부자 되기 위해 나라가 클 필요는 없다"

    "부자 되기 위해 나라가 클 필요는 없다"

    1970년에 '미래의 충격', 80년에 '제3의 물결', 90년에 '권력이동', 2006년에 '혁명적인 부(Revolutionary Wealth)'를 써서 역사의 전환기마다 미래를

    중앙일보

    2007.06.04 19:32

  • 캐나다 BC·온타리오주 기숙학교 미국 명문대 진학률 높다

    캐나다의 명문 기숙 사립학교는 대부분 온타리오주와 브리티시 컬럼비아(BC)주에 위치해 있다. 이 학교들은 캐나다 명문대는 물론 미국 명문대에도 우수한 입학 실적을 자랑한다. 사립

    중앙일보

    2007.05.28 16:11

  • 홍준표 "'한나라당 집단 몽환' 깨기위해 출마"

    "1년 3개월만에 당사에 오는 것 같습니다.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 제가 나가고자 합니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이 27일 오전 서울 염창동 한나라당 당사에서 대선후보 경선 출마를

    중앙일보

    2007.05.27 12:00

  • “요즘은 아버지도 일본인이라 한다니…”

    “요즘은 아버지도 일본인이라 한다니…”

    역시 최장수 최고경영자(CEO), 일류 행정가 출신다웠다. 화제가 정책 분야로 옮겨가자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목소리에 탄력이 더 붙었다. 그는 의자를 바짝 책상으로 당겨 앉았다.

    중앙선데이

    2007.05.27 05:02

  • 이명박 前 서울시장과의 대화 전문

    관련기사 “날계란에 흰 쌀밥, 어릴 때 그걸 못 먹어서 요즘도…” 이명박 "요즘은 아버지도 일본인이라 한다니…" 이명박 前 서울시장 마음속 사진첩을 꺼내다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

    중앙선데이

    2007.05.27 02:56

  • 이명박 "요즘은 아버지도 일본인이라 한다니…"

    이명박 "요즘은 아버지도 일본인이라 한다니…"

    관련기사 “날계란에 흰 쌀밥, 어릴 때 그걸 못 먹어서 요즘도…” 이명박 前 서울시장 마음속 사진첩을 꺼내다 역시 최장수 최고경영자(CEO), 일류 행정가 출신다웠다. 화제가 정

    중앙선데이

    2007.05.27 02:50

  • 미국산 뼈 쇠고기 수입하게 될 듯

    LA갈비 등 뼈 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국제수역사무국(OIE) 과학위원회는 총회 사흘째인 22일 미국과 캐나다를 '광우병 위험이 통제되고 있는' 2등급 국가

    중앙일보

    2007.05.23 04:14

  • [논쟁과대안] 교수노조 법으로 보장할 것인가

    [논쟁과대안] 교수노조 법으로 보장할 것인가

    ‘교수노조 법제화’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15일 중앙일보 3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김한성 교수노조위원장, 이목희 열린우리당 의원, 강치원 강원대 사학과 교수(사회자), 강

    중앙일보

    2007.05.16 21:02

  • 조직에 정말 필요없는 사람은

    따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은 리더가 아니다.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는 사람 역시 리더가 아니다. 리더의 전제 조건은 따르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훌륭한 리더 옆에는 반드시 훌

    중앙일보

    2007.05.16 15:50

  • 통일부, 740억 대북 지원 위해 별도 조직 신설

    통일부, 740억 대북 지원 위해 별도 조직 신설

    통일부가 북한에 대한 대규모 경공업 원자재 제공사업 등을 전담할 별도 기구를 다음주 중 출범시킨다. 14일 통일부와 관련 기관에 따르면 사단법인 형태로 세워지는 '남북교류협력지원

    중앙일보

    2007.05.15 05:24

  • [BOOK책갈피] 상대가 화 돋울 때 잘 받아 치는 법

    [BOOK책갈피] 상대가 화 돋울 때 잘 받아 치는 법

    똑똑한 대화법 구트룬 페이 지음 김시형 옮김 21세기북스 200쪽, 1만원 살다보면 치사한 질문이나 억울한 비난을 받을 때가 있다. 이 때 머리에서 김이 펄펄 오르거나, 앞이 깜깜

    중앙일보

    2007.05.12 23:47

  • 세계 최강 도시 프로젝트 ‘송도 비즈피아’

    ▶송도국제도시 조감도. ■ 인천 송도매립지 1611만 평 ‘백지’ 위에 새롭게 그리는 ‘동북아 비즈니스 심장’ ■ 외국 기업에 제시할 인센티브 적어…과감히 세금 없애는 ‘규제 파괴

    중앙일보

    2007.05.12 10:47

  • "중도개혁세력 통합 추진 협의회 만들자"

    민주당 박상천 대표는 9일 "민주당은 열린우리당 내 책임 있는 인사들과 열린우리당 안팎의 중도개혁세력들을 적극적으로 만나 대통합 방안과 중도개혁정당 건설을 진지하게 논의할 용의가

    중앙일보

    2007.05.10 06:50

  • [중앙일보를읽고…] FTA 비준시켜 '바이 코리아' 이어가자

    4월 27일자 1면과 8면에 실린 '외국인 투자자 바이 코리아' 기사를 읽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이후 한국 증시가 최고치 행진을 벌이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우리

    중앙일보

    2007.05.02 05:25

  • 대학의 고객은 학생 아닌 기업

    최근 여러 대학이 교수 출신보다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출신이나 행정부처의 장을 지낸 분들을 대학 총장으로 영입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대학이 이분들을 초빙하는 목적은

    중앙선데이

    2007.05.02 01:02

  • [해외칼럼] 이란 핵 표적제재 능사 아니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최근 핵개발을 막기 위해 이란을 공격할 수도 있다고 으름장을 놨다. 그러나 그는 이란의 핵시설을 공격할 것인지, 아니면 핵개발을 묵인할 것인지에 대한

    중앙일보

    2007.04.30 20:00

  • 북한 BDA 자금 인출에 총력전

    북한 당국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에 예치된 2500만 달러의 예금을 인출하기 위해 동남아는 물론 유럽과 러시아 지역 은행까지 협력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중앙일보

    2007.04.30 17:14

  • ‘세력의 힘’ 앞에 그가 망설인다

    ‘세력의 힘’ 앞에 그가 망설인다

      “(출마 가능성은) 50대 50입니다.”26일 오후 서울대 캠퍼스의 연구실에서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을 만났다. 아직 결정된 것은 없었다. 장고(長考) 중이라는 사실만 분명했

    중앙선데이

    2007.04.30 01:52

  • 중국 ‘물권법’ 탄생 나폴레옹 법전처럼 오래갈까

    중국 ‘물권법’ 탄생 나폴레옹 법전처럼 오래갈까

      프랑스 대혁명의 적자를 자처한 나폴레옹이 1799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자마자 서두른 일은 민법전을 편찬하는 것이었다. 최초의 근대적 민법전으로 평가받는 나폴레옹 법전은 그 이

    중앙선데이

    2007.04.30 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