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본전다방 등 8개 영업정지

    21일 상오 서울시는 중구 충무로2가 23번지 「본전」다방 등 시내의 굵직한 8개업소에 대해 위생감찰을 실시한 결과 불량으로 판정, 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씩의 영업정지처분을

    중앙일보

    1966.06.21 00:00

  • 무방비 식품위생|불결해질 여름 앞둔 그 실태

    여름철의 식품위생실태는 어떠한가? 우리 나라의 식품제조 및 판매업소는 접객업소를 합쳐 유허가만 해도 40여 업종에 5만3천여 개소를 헤아린다. 그밖에 무허가가 많다. 당국은 무허가

    중앙일보

    1966.06.16 00:00

  • 사회악의 만연

    서울시경은 만연 일로에 있는 이른바 무허가직업소개소의 실태와 사기방법, 그리고 그로 인한 피해상황 등을 조사하고 10일부터 일제 단속에 착수했다고 들린다. 무직자와 연소자들을 대상

    중앙일보

    1966.06.11 00:00

  • 「군정의 유산」에 묶인 72인

    정치활동정화법은 군정이 남긴 유산의 하나이다. 개정법 미 해금자는 72명→ 10일의 국무회의는 이중에서 장면 전국무총리를 해금하기로 낙결했다. 공화당은 정정법 해제를 민정의공약으로

    중앙일보

    1966.05.10 00:00

  • 물가 등귀와 화차·전력의 부족

    그 동안 물가등귀의 요인을 에워싸고 관민간에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사실상의 물가는 심상치 않은 양상을 띄어가고 있다.「시멘트」등 건재 값이 오르고 쌀값도 불안정하며 5월1일부터「버

    중앙일보

    1966.04.25 00:00

  • 인상될 버스삯 뒤따르겠다|각종 협정 요금 들먹들먹

    목욕 값·쇠고기 값을 올리려다 서리를 맞은 협정 요금이 이번에는 다방 차 값·설렁탕 등 음식값 그리고 이발 값이 각각 10원 내지 20원씩 오를 기세를 보이고 있다. 5윌1일부터

    중앙일보

    1966.04.23 00:00

  • 서울 시내 접객업소-거의 업태 위반

    서울 시내 9개 보건소의 부정을 전면적으로 수사하고 있는 공무원 범죄 특별 수사반 (반장 정익원 부장 검사)은 15일 서울 시내의 다방, 「호텔」, 여관, 「바」, 「카바레」, 요

    중앙일보

    1966.03.15 00:00

  • 이번에 가짜 양유

    7일 상오 서울 서대문경찰서는 가루우유와 당원으로 가짜 양유를 만들어 버젓이 등록상표까지 붙여 팔아온 유시탁(26·용산구 서부이촌동290)등 4명을 상습사기 및 식품위생법위반으로

    중앙일보

    1966.03.07 00:00

  • 「시청 직원의 단체」라는 「서울 시청론」|그 부정의 지변

    흔히들 서울시를 복마전이라고 부른다. 어수룩한 곳이 많다는데서 경성부 시절부터 불려온 이름이다. 그러나 지금의 서울시는 「시청 직원을 위한 공무원 자치 단체」라고 표현하는 측도 있

    중앙일보

    1966.02.26 00:00

  • 다방의 매력|임천순

    다방이 왜 자꾸 늘어만 가는지는 모르지만, 영업치고는 매력도 대단한 모양이다. 세 집 건너 다방이요, 고층건물만 세워지면 으레 다방이 하나 생기게 마련이다. 실내도 아담하게 차려놓

    중앙일보

    1966.02.18 00:00

  • 일인 등친 4명 검거

    서울시경 수사과는 14일 밤 김종필 공화당의장을 팔아서 일본인을 등쳐먹은 예비역 육군대령 한광원(43)과 한의 일당 김태선(48·금광업), 고종각(38·기독교 자활원 지도회 부회장

    중앙일보

    1966.02.15 00:00

  • 한강 모래값도 오른다

    서울시 당국은 도로 등 공공용지 점용료를 2∼5배로 올리고 한강 등 개천에서 나오는 모래를「루베」(1입방미터)당 현 4원80전(업자 측 계산)에서 20∼80원으로 올릴 것을 국무총

    중앙일보

    1966.02.08 00:00

  • 「비데」를 씁시다

    일본사람들은 목욕은 자주해도 옷은 잘 갈아입지 않고 거꾸로 한국사람들은 목욕은 잘 안 하는 대신 옷은 자주 갈아입는다. 그런데 중국사람들은 어떤가? 그들은 목욕도 하지 않고 옷도

    중앙일보

    1966.02.01 00:00

  • 마구 부는 일본바람 항도 부산

    【부산】한·일 협정발효이후 약1개월이 되는 요즘 국제항구도시인 부산에는 일본월간지나 신문들이 마구 밀어닥쳐 시내 번화가에서 판매되고 있는가하면 시내일부 요정·음식점·다방 등 소위「

    중앙일보

    1966.01.13 00:00

  • 15일부터 일제 단속

    서울시는 14일상오 「카바레」·「터키」탕·욕탕·「바」·요식업·숙박업·다방업·음악감상실등에 대해 15일부터 시경과 합동으로 일제단속에 나선다. 이들 업자들에게 지시된 사항은 영업시간

    중앙일보

    1965.12.14 00:00

  • 여자 농구

    학년말이 다가오고 졸업기가 가까워지자 체육계에는 해마다 홍역처럼 치르는 「스카우트 」의 선풍이 다시 불기 시작했다. 언제부터 비롯된 것인지 기원조차 뚜렷치 않은 추문과 잡음 속의

    중앙일보

    1965.11.27 00:00

  • 불청하자 이럴 수 있나? 신당 노선에 험한 고갯길

    ○…19일 아침 안국동 윤보선씨 댁에서는 탈당한 전 의원회의가 있었으나 서민호씨만은 초청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날 하오 종로 S다방에서 정일형씨를 만난 서민호씨는 『이럴 수 있느냐

    중앙일보

    1965.11.20 00:00

  • 내가 설땅은 과연 어디냐

    민중당안의 강·온건파는 지난 1일 민중당 정화동지회의 이탈선언으로 완전히 갈라섰으나 민중당에 남지도 떠나지도 못하고 있는 것이 송원영·함종윤·유연국씨등 10여명의 일부 소장층들.

    중앙일보

    1965.11.06 00:00

  • 폭력배 일제 소탕

    서울시경은 최근 한·일 협정비준반대「데모」이후 갑자기 발호하고 있는 각종 폭력배를 소탕하기 위해 23일부터 전수사력을 동원했다. 시경은 수사제2계장을 단장으로 하여 일선서에 폭력퇴

    중앙일보

    1965.10.23 00:00

  • (2)공약

    가난을 숙명으로 지고 가는 사람들-. 농촌은 이 한마디로 표시된다. 역대 정권마다 내걸었던 중농정책도 이 숙명을 바꾸지 못했다. 강원도 농촌은 지금 풍성한 가을이라기보다 빚 갚기

    중앙일보

    1965.09.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