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뉴올리언스 세인츠 "홈 이재민에게 용기를 … "

    뉴올리언스 세인츠 "홈 이재민에게 용기를 … "

    ▶ 휴스턴 텍산스 쿼터백 데이비드 카(左)가 버펄로 빌스의 런던 플리처의 태클을 피해 터치다운을 시도하고 있다. [뉴욕 로이터=연합]▶ 마이애미 돌핀스와 덴버 브롱코스의 경기에서

    중앙일보

    2005.09.13 04:12

  • 부시 모친 바버라, 이재민 비하 구설수

    부시 모친 바버라, 이재민 비하 구설수

    조지 W 부시의 모친인 바버라 부시(사진)가 카트리나 이재민들을 비하한 말로 구설에 올랐다. 바버라 부시 여사는 이재민들이 수용된 텍사스주 휴스턴 애스트로돔을 둘러본 5일 '마켓

    중앙일보

    2005.09.08 04:31

  • 우리말 바루기 546. 원상 복구/원상 복귀

    "삶이 물에 잠겼다"는 뉴올리언스 주민들의 절규가 전 세계인의 가슴을 울리고 있다.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강타한 도시를 원상 복구하고, 도시를 떠난 사람들이 원상 복귀하는 데는 많은

    중앙일보

    2005.09.05 17:37

  • [허리케인에 찢긴 미국] "여긴 제3세계 … 미국이 부끄럽다"

    [허리케인에 찢긴 미국] "여긴 제3세계 … 미국이 부끄럽다"

    ▶ 허리케인 이재민들이 3일 적십자사가 마련한 미 휴스턴 임시 대피소 게시판에서 가족을 찾는 사연이 적힌 쪽지를 살펴보고 있다. [휴스턴 AFP=연합뉴스]▶ 허리케인 카트리나를 피

    중앙일보

    2005.09.05 04:52

  • 미국, 주 방위군에 난동자 사살권

    미국, 주 방위군에 난동자 사살권

    ▶ 텍사스주 휴스턴의 대형 실내경기장 애스트로돔으로 피신한 뉴올리언스 이재민들이 간이침대에 짐을 풀고 있다. [휴스턴 AP=연합뉴스] 초대형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할퀴고 간 미국 루

    중앙일보

    2005.09.02 19:09

  • [카트리나 참사 르포] "홍수보다 사람이 더 무서웠다"

    [카트리나 참사 르포] "홍수보다 사람이 더 무서웠다"

    ▶ "물이 차오르고 있습니다. 제발…." 1일 건물 옥상으로 대피한 뉴올리언스 주민들이 초조한 표정으로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헬기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조 요청 문구를 커다랗

    중앙일보

    2005.09.02 19:03

  • 뉴올리언스 100만 명 피난

    뉴올리언스 100만 명 피난

    ▶ 수퍼돔에 피신한 2만6000여 명의 뉴올리언스 시민들이 28일 밤(현지시간) 비좁은 관중석 의자에 앉거나 누운 채 휴식을 취하고 있다. [뉴올리언스 AP=연합뉴스]▶ 미국 남부

    중앙일보

    2005.08.29 20:42

  • 쓰나미 경보 완벽한 일본 '다로' 마을

    1960년 일본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쓰나미)이 동북부 지역에 닥쳤을 때 작은 어촌 다로에선 사망자가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인근 마을들에서는 199명이 사망했다. 다로 마을의

    중앙일보

    2005.01.07 08:15

  • [남아시아 대재앙] "전염병 피해 쓰나미만큼 심각할 것"

    [남아시아 대재앙] "전염병 피해 쓰나미만큼 심각할 것"

    ▶ 해일이 들이닥치는 순간. 미국의 위성방송인 APTN이 한 영국인 관광객으로부터 입수한 비디오 테이프의 한 장면. 지난 26일 스리랑카의 남서쪽 베루웰라의 에덴 리조트에 대형 파

    중앙일보

    2004.12.28 18:18

  • "전염병 피해 쓰나미만큼 심각할 것"

    쓰나미가 할퀴고간 남아시아 지역이 장티푸스.콜레라.설사 등 수인성(水因性) 전염병 때문에 또 다시 커다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고 유엔이 경고했다.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

    중앙일보

    2004.12.28 16:14

  • [사진] 푸켓의 난민들

    [사진] 푸켓의 난민들

    27일 태국 푸켓 시청에 마련된 대피소에 이재민들이 누워 있다. [푸켓 로이터=연합]

    중앙일보

    2004.12.27 19:15

  • 필리핀 세살배기 '기적의 생환'

    지난 2주일간 네 차례의 태풍이 할퀴고 간 필리핀에서 기적이 일어났다. 마닐라에서 동쪽으로 70㎞ 떨어진 레알 시(市)에서 매몰된 실종자 중 네 명이 건물 잔해 속에서 열흘 만에

    중앙일보

    2004.12.10 19:18

  • 사흘째 380차례 '흔들'… 니가타 주민 여진 공포

    사흘째 380차례 '흔들'… 니가타 주민 여진 공포

    ▶ 25일 일본 북서부 야마코시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23명이 사망한 가운데 헬기가 고립된 재난 지역에서 한 노인을 구조하고 있다. [야마코시 AP=연합] 일본 니가타(新潟)현

    중앙일보

    2004.10.25 18:09

  • [생각 뉴스] 이재민

    #1. 아논도는 꿈 많은 여덟살. 가난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행복하다는 방글라데시의 소년. 아논도는 방글라데시어로 '희망'이란 뜻이란다. 가진 것은 없어도 두 눈에 가득 찬 푸른 하

    중앙일보

    2004.08.18 18:18

  • 8식구가 라면 4개로 한끼 때워

    7번 국도가 임시 개통돼 강원도 동해시가 외부와 연결된 3일 오전부터 동해시 삼화동 망가진 철길 위로 피난길 같은 행렬이 이어졌다. 이들은 생수와 라면·휴대용 가스레인지·화장지

    중앙일보

    2002.09.04 00:00

  • 콩고 강진·주유소 폭발

    [고마(콩고) AP.AFP=연합] 화산 폭발로 도시가 완전 파괴된 콩고 고마시에서 21일 오전(현지시간) 니라공고 화산 분출이 재개되고 수차례 강진이 발생했다. 유엔과 고마시를 장

    중앙일보

    2002.01.22 00:00

  • [월드컵] 日 월드컵경기장, 유사시 피난처로 활용

    수만명의 관중을 수용하는 오늘날의 대형 스타디움은 여러 기능들을 갖고 있다. 특히 지진 등 자연재해가 빈발하는 일본의 경우가그렇다. 스타디움은 재해시 바로 대규모 피난처로 사용될

    중앙일보

    2002.01.18 11:36

  • [미국 테러 대전] 실종 한인 36명 살아있었다

    세계무역센터 테러 이후 연락이 끊겼던 현지 한인 55명 중 상당수가 속속 안부를 전해와 13일 오후 현재 생사가 확인되지 않은 사람은 19명으로 줄었다. 한인 피해를 접수 중인 뉴

    중앙일보

    2001.09.14 00:00

  • '애타는 실종자 가족들'

    세계무역센터 테러 이후 연락이 끊겼던 현지 한인 55명중 상당수가 속속 안부를 전해와 13일 오후 현재 23명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인 피해를 접수중인 뉴욕 총영사관은

    중앙일보

    2001.09.13 16:53

  • 붕괴위험 주택서 수재민 불안한 생활

    또다시 장대비가 내린 23일 오전 서울 관악구 신림6동 시장 내 한 식당. 지난 폭우 때 떠내려온 차량이 건물을 덮쳐 크게 기울어지고 곳곳에 금이 간 한쪽 기둥을 벽돌로 받쳐 놓았

    중앙일보

    2001.07.24 00:00

  • 지구촌 곳곳 폭염등 기상 이변

    지구촌 곳곳이 폭염과 물난리·가뭄 등 기상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 폭염〓유럽 발칸반도에선 1백여년 만에 찾아온 더위로 최고 기온이 연일 섭씨 40도를 넘나들면서 사망자가 속

    중앙일보

    2000.07.07 00:00

  • 북경 황사 먼지 년 100만톤

    축산 농민을 울리는 구제역은 정말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 때문일까. 중국의 농업부와 국가검역국은 터무니없는 억측이라며 펄쩍 뛴다. 그러나 우리의 농림부는 아직 미련을 버리지 못한

    중앙일보

    2000.04.07 00:00

  • 중국 10년동안 최악 황사

    축산 농민을 울리는 구제역은 정말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 때문일까. 중국의 농업부와 국가검역국은 터무니 없는 억측이라며 펄쩍 뛴다. 그러나 우리의 농림부는 아직 미련을 버리지 못한

    중앙일보

    2000.04.06 23:42

  • 모잠비크 수재 피해 확산 우려

    아프리카 남부 모잠비크의 홍수로 수천명의 사망자와 1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기아와 전염병, 탈수 증세 등으로 인해 희생자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

    중앙일보

    2000.03.02 0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