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부음] 이길중 한양광학 대표 外

    ▶李吉中씨(한양광학 대표)별세=28일 오전 2시 서울중앙병원, 발인 30일 오전 6시,3010-2291 ▶李錫培씨(전 주택은행 지점장)별세, 李瑛華(동양공전 교수).正浩씨(삼성HT

    중앙일보

    2001.10.29 00:00

  • 대하기획 시리즈 '양자강1만리'를 끝내고

    중국문화의 모태로 불리는 양자강의 문화예술을 총체적으로 파헤친 컬러 대하기획 「양자강 1만리」가 지난주 50회로 대단원의막을 내렸다.광복 50주년및 중앙일보 창간 30주년 기념사업

    중앙일보

    1996.08.04 00:00

  • 「학부모회」 학교운영 참여/학생선도·행사도 협의/교육부

    ◎현육성회 개편 내년 시행 교육부는 3일 교육자치시대를 맞아 학교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참여를 활성화 하기 위해 기존의 육성회를 개편,학교운영에 학부모가 적극 참가하는 「학부모회」(

    중앙일보

    1991.07.04 00:00

  • 대학교육 심의위원/교육부 15명을 위촉

    교육부는 11일 대학교육정책 자문기구인 「대학교육심의회」 위원 15명을 위촉했다. 임기 2년인 위원에는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과 노태우 대통령의 손위처남인 김익동 경북대 총장 등이

    중앙일보

    1991.02.11 00:00

  • 중앙교육심의회 위원장/이원설총장 선출

    문교부장관의 교육정책자문기구인 중앙교육심의회는 27일 오후 서울 부암동 하림각에서 전체회의를 갖고 제2기위원장에 한남대 이원설총장(60)을,부위원장에 서울대 하두봉교수(59)를 선

    중앙일보

    1990.08.28 00:00

  • 도의 교육 통해 「건강한 사회」 건설

    흙을 통한 농촌지도자 육성과 국민 정신 교육의 요람으로 성장해온 사단법인 복지 농도원 (원장 윤진수·43)이 최근 사라져 가는 윤리관 정립과 도덕성 회복을 위해 도의 교육을 실시하

    중앙일보

    1990.07.27 00:00

  • 새 중교심위원 위촉/7개위 등 총67명

    문교부는 7일 교육정책에 대한 문교부장관 자문기구인 중앙교육심의회 제1기 위원의 2년 임기가 지난달 29일 끝남에 따라 교육이념분과위원회 등 7개분과위원 60명과 연구위원 7명을

    중앙일보

    1990.06.07 00:00

  • 국사편찬위원 위촉

    문교부는 1일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의 임기가 6월말로 만료됨에 따라 한림대 고병익교수등 13명의위원을 새로 위촉했다. 임기3년의 새위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고병익 ▲김영하(경북대

    중앙일보

    1988.07.02 00:00

  • 중앙 교육심의회 발족

    교육개혁사업 추진과 교육정책 수림에관한 정부자문기구인 「중앙교육심의회」가 구성돼 30일 오전 정부 제1종합청사 대회의실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학계및 교육계·유관단채등에서 위촉된

    중앙일보

    1988.05.30 00:00

  • 한남대 이원설총장도

    문교부는 15일는 한남대초대총장에 이원설박사(56. 현학장)의 치임을 승인했다. 이총장약력:황해장연출생, 미오하이오노던대졸업, 미케이스 웨스턴 리서브법학박사, 경희대교수, 경희대대

    중앙일보

    1986.01.16 00:00

  • 한남대학장 이원설씨

    【대전=연합】대전기독학원(이사장 한완석) 은 22일 대전한남대 이사장실에서 제20차 임시 이사회를 열고 공석중인 한남대 학장에 이원설 한국교원대학 사학과 교수를, 대전 간호전문대

    중앙일보

    1985.02.23 00:00

  • 파고다와이즈맨구 회장

    ◇이원설교수(경희대)가 최근 지역사회봉사활동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 봉사단체인 파고다와이즈맨클럽 초대회장으로 선출됐다.

    중앙일보

    1984.04.07 00:00

  • (94) 광주이씨

    광주이씨는 조선조에서 상신(영·좌·우의정) 5명, 대재학 2명, 청백리 5명, 공신 11명을 낸 명문이다. 세종이후 5조에 걸쳐 「출장입상」했던 명신 이극배(영의정), 폭군 연산의

    중앙일보

    1984.01.21 00:00

  • 안치열 경희대총장 사표

    경희대 안치열총장(60)이 12일 사퇴서를 냈고, 보직교수 8명이 최근 1주일동안 계속되는 교내학생소요와 관련, 이날 사퇴했다. 경희대재단이사회(이사장 조영직)는 이문제와 관련,

    중앙일보

    1982.10.12 00:00

  • 인류의 장래는 비관적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상당수가 전쟁발발 위험성을 걱정하고 있으며 그 대상지역으로 중동과 아시아 지역을 꼽고있다. 경희대 국제평화연구소(소장 이원설 교수)가 최근 서울 시내 6개 대학

    중앙일보

    1981.07.07 00:00

  • 경희대 부총장 부활|이원설 교수를 임명

    경희대는 18일 부 총장직 제를 부활. 이원설 교수(사학과)를 새 부총장에 임명했다. 경희대는 또 대학원장에 심상칠 교수(원예학과), 도서관장에 조진하 교수(경제학과)를 임명했다.

    중앙일보

    1981.04.18 00:00

  • 새 에너지원의 개발이 인구의 행·불행을 좌우|「기술사회와 인간의 지위」학술대회

    『기술사회에서 인간과 지위』를 모색하는 학술대회가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원장 김기형)주최로 3일 상오 경희대도서관에서 열렸다.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창립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이번

    중앙일보

    1976.06.04 00:00

  • 한국신화 심포지엄

    한국신화학회는 19일하오 5시 신문회관에서 신화가 현대사에 끼친 영향(현대정치사를 중심으로)을 주제로 제2회 심포지엄을 갖는다. 발표자는 이원설교수(경희대).

    중앙일보

    1970.06.18 00:00

  • 2000년을 향한 한국의 지표

    미래연구에 관한 한국최초의 심포지엄이 19일 경희대주최로 열렸다. 『2천년대의 세계 속의 한국』을 주제로 한 이 학술 심포지엄은 20세기의 마지막 30년을 앞둔 현시점에서 한국의

    중앙일보

    1970.05.20 00:00

  • 대학연극회 곧 발족

    문교부는 대학교육의 제도 및 교육내용 전반을 다룰 대학연구회를 장관의 자문기관으로 두기로 결정, 오는 3월에 발족키로 했다. 문교부는 건국이래 갈피를 잡지 못하고 문란해진 대학행정

    중앙일보

    1966.02.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