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사] 대법원 外

    ◇대법원▶대법원 재판연구관 김종호 김학준 서경환 안정호 윤종구 천대엽▶사법연수원 교수 김수일 김환수 박정화 여미숙 이원형 임복규 전주혜 정효채 조휴옥 하현국▶서울중앙지법 김기정 김

    중앙일보

    2008.02.16 05:32

  • [과학칼럼] 미래자동차와 인공두뇌

    지난 연휴에 한국인이 제일 원한 것은 스스로 운전해서 목적지까지 가는 자동차다. 고속도로가 주차장으로 변해도 운전은 자동차에 맡기고 영화를 보거나 잠을 자며 편히 고향에 갈 수 있

    중앙일보

    2008.02.15 18:42

  • [과학칼럼] MP3로부터 귀를 보호하자

    이비인후과 의사가 제일 좋아하는 사람은 MP3 이어폰을 귀에 꽂고 다니는 젊은이다. 미래의 고객이니까. 웃자고 만든 말이지만, 반은 사실이다. 사람의 귀는 매우 넓은 가청영역을 가

    중앙일보

    2008.02.01 18:57

  • [과학칼럼] 문화 차이가 뇌를 바꾼다

    동양인의 뇌와 서양인의 뇌는 다른가. 동양과 서양, 같은 동양에서도 한국·중국·일본은 각기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문화 차이가 뇌를 바꾸고, 다른 뇌가 다른 문화를 만든다.

    중앙일보

    2008.01.25 19:02

  • [과학칼럼] 뇌과학 뇌공학 뇌산업

    뇌과학은 인류에게 남은 마지막 미개척 영역이며, 두뇌산업은 21세기의 블루오션이다. 뇌과학의 연구결과는 치매 등 뇌질환의 극복을 위한 뇌의약학이나, 정보기술(IT)·나노기술(NT

    중앙일보

    2008.01.18 18:42

  • [과학칼럼] 인공두뇌와 지능로봇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로봇은 영화의 단골 주인공이다. 때로는 인간의 믿음직한 친구로, 때로는 인간의 멸망을 시도하는 적으로 나타난다. 인간이 되고 싶어 하나 인간으로 대우받지

    중앙일보

    2008.01.11 18:49

  • 경기고 총동창회장 허광수씨

    경기고 총동창회장 허광수씨

    경기고 총동창회(회장 이수영 경총 회장)는 10일 오후 6시30분 서울 프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정기총회 및 신년교례회를 열고 허광수(62·사진) 삼양인터내셔날 회장을 2년 임기

    중앙일보

    2008.01.09 05:27

  • 빨리 핀 꽃은 정녕 일찍 지는가

    빨리 핀 꽃은 정녕 일찍 지는가

    최근 4~5년 사이 재계에서는 ‘혜성’이 명멸하고 있다. 화려하게 ‘조직의 별’에 오른 30대 임원이 그들이다. 과장이나 차장을 할 나이에 혜성처럼 등장한 그들은 ‘별’이 되기도

    중앙일보

    2008.01.07 11:11

  • [과학칼럼] 창의적 두뇌와 ‘유레카’

    천재들의 두뇌는 일반인의 두뇌와 얼마나 다를까. 아인슈타인의 뇌를 240개로 나누어 연구할 만큼 뇌과학자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흥미로운 질문이다. 비록 공개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았

    중앙일보

    2008.01.04 19:05

  • BUSINESS LEADER NEWS

    BUSINESS LEADER NEWS

    “비바람과 벌레의 공격을 견뎌야 땡감이 달콤한 홍시가 된다.”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 28일 종무식에서 “외부 시련과 급격한 환경 변화를 잘 견뎌내야 한다”며“나라를 위해서는 새

    중앙선데이

    2007.12.30 17:33

  • [과학칼럼] 생체시계 자연시계 사회시계

    해마다 연말이 되면 구세군의 자선냄비가 나타나고 징글벨 음악이 들린다. 이런 사회적 현상은 지구와 해와 달의 움직임에 기반한 자연시계에 동기화돼 나타난다. 생체시계는 자율신경계에

    중앙일보

    2007.12.28 19:06

  • 당선자에 바란다 100자 릴레이

    당선자에 바란다 100자 릴레이

    박수철(45) 국회 법제실 부이사관 국민이 혐오하고 멀리하는 정치가 아니라 국민이 더 가까이 다가서는 정치를 펼치기 바란다. 국민 위에서 당리당략으로 갈등과 대립을 양산하는 소모

    중앙일보

    2007.12.25 04:44

  • [과학칼럼] 성심껏 듣는 대통령

    보통 사람은 듣고 싶은 것만 듣는다. 그러나 동서를 막론하고 예로부터 “임금은 하늘이 정한다”고 했으며, 특별한 능력을 요구받아 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다양한 백성의 말을 성심

    중앙일보

    2007.12.21 19:16

  • [과학칼럼] 등급제, 영재교육과 뇌과학

    머리카락이 많은 사람에게서 머리카락 하나를 뽑으면 대머리가 아니다. 계속 하나씩 뽑아 민머리가 될 때까지 뽑아도 대머리라고 말할 기회는 없다. 대머리와 아닌 것의 차이가 머리카락

    중앙일보

    2007.12.14 18:47

  • [과학칼럼] 외우는 뇌, 생각하는 뇌

    암기 능력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침팬지가 화제다. 그러나 이는 놀랄 일이 아니다. 인간의 두뇌 구조는 단순 암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단순 기억에서는 이미 인간이 만든 컴퓨터에 추월당

    중앙일보

    2007.12.07 19:23

  • [과학칼럼] 보고 싶은 것만 보는 뇌

    ‘아내’라는 이름의 그림이 있다. 어떻게 보면 사랑스러운 젊은 여인으로 보이고, 또 어떻게 보면 마귀 할멈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한 가지만으로 보는데, “이것이 코고

    중앙일보

    2007.11.30 19:27

  • [사진] 평온 … 놀람 … 화남 … 표정 바꾸는 로봇

    [사진] 평온 … 놀람 … 화남 … 표정 바꾸는 로봇

    "아, 깜짝이야" "나 화났어." 로봇이 화를 내는 시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30일 대전 구성동 교내 체육관에서 개최한 'SEE-KAIST 2007 전시회'. 여기

    중앙일보

    2007.10.31 05:58

  • 한국건축문화대상 휩쓴 부경대 건축학부

    한국건축문화대상 휩쓴 부경대 건축학부

    2007 한국건축문화대상 공모전에서 수상한 부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 전공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대상을 받은 이수영(5학년), 우수상을 받은 오수희(5학년).김성산(4학년)

    중앙일보

    2007.10.08 04:52

  • 박경림 결혼식 코믹 축가로 웃음바다

    박경림 결혼식 코믹 축가로 웃음바다

    박경림(29)이 결혼식 도중 아버지에게 안겨 끝내 눈물을 보이고 말았다. 15일 오후 12시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한 살 연하의 회사원 박정훈씨와 화촉을 밝힌

    중앙일보

    2007.07.15 19:04

  • 박경림 결혼식에 히딩크 감독님도 오셨네

    박경림 결혼식에 히딩크 감독님도 오셨네

    15일 오후 12시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방송인 박경림의 결혼식이 열렸다. 국내 대기업에 다니는 한 살 연하의 회사원 박정훈 씨와 화촉을 밝힌 것이다. 이날

    중앙일보

    2007.07.15 17:08

  • [로봇이야기] 머리 나쁜 로봇

    [로봇이야기] 머리 나쁜 로봇

    무대에 조명이 들어온다. 로봇이 유연한 동작으로 걸어나온다. 로봇이 관중 앞에서 다른 사람들을 소개한다. 사람과 그럴듯하게 악수도 한다. 그리고 사회자의 물음에 여유 있게 대답한

    중앙일보

    2007.06.01 20:18

  • 경륜의 ‘KS’ 패기의 ‘KS’ 두 날개로 난다

    경륜의 ‘KS’ 패기의 ‘KS’ 두 날개로 난다

    손학규 캠프의 회의 모습. 왼쪽부터 이제학 동아시아미래재단 사무처장, 이수원 공보실장, 박종희 비서실장, 김성식 정무특보.  손학규 캠프에는 두 종류의 ‘KS’가 있다. 그의 고

    중앙선데이

    2007.04.26 12:08

  • [대선캠프大해부③ 손학규캠프] 경륜의 'KS' 패기의 'KS' 두 날개로 난다

    [대선캠프大해부③ 손학규캠프] 경륜의 'KS' 패기의 'KS' 두 날개로 난다

    손학규 캠프에는 두 종류의 ‘KS’가 있다. 그의 고교·대학 동문인 경기고(K)·서울대(S) 출신이 그중 하나다. 대부분 손학규와 비슷한 연배의 이른바 ‘시니어’ 그룹이다. 다른

    중앙선데이

    2007.03.22 16:57

  • [식품성분표시제대로보자] 알레르기 유발 물질

    [식품성분표시제대로보자] 알레르기 유발 물질

    식품 알레르기는 섭취한 음식물의 항원에 대해 우리 몸이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예민한 사람은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다. 외국에선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여성이 땅콩을 먹은 애

    중앙일보

    2007.03.20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