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구대학장 이·취임식

    【대구】 16일 상오11시 대구대학강당에서 신임 유홍렬 학장(전 서울대문리대교수)의 취임과 전임 권오익 학장의 이임식이 있었다. 재단 측과 내빈·교수·학생들이 다수 모인 가운데 열

    중앙일보

    1966.09.17 00:00

  • 대구대학장에 유홍렬박사

    l7일 학교법인 대구대학이사회는 권오익(현성균관대학교총장)씨의 사임으로 공석 중인 학강 후임에 현서울대 문리대교수 유흥렬박사를 선임했다.

    중앙일보

    1966.08.17 00:00

  • (21)수산학의 비조 손암 정야전

    정야전(약전)은 유명한 실학자 이익의 학풍을 이어받은 남인시파의 선비이다. 그는 학문을 좋아하던 정조의 사랑을 받고 벼슬을 살다가 정조가 죽은 후 천주교도로 몰려 멀리 전라도의

    중앙일보

    1966.07.30 00:00

  • (18)-이조중엽∼말엽 인물중심-유홍렬

    박제가는 양반의 아들 가운데에서 온갖 천대를 받던 서자로 태어났다. 글을 좋아하고 학자를 아끼던 정조의 사랑을 받고 벼슬자리를 얻는 한편 네 번이나 북경에 다녀와 「북학의」라는

    중앙일보

    1966.07.02 00:00

  • 〈근대화의 소명〉이조중섬∼말집 인물중심-유홍렬

    김병연은 이조 23대 왕 순조의 장인이던 김조순의 먼 손자벌 되는 당당한 양반집안의 자제로서 반난을 일으킨 홍경래에게 한 때 항복한 죄로 사형을 받은 그의 친할아버지이던 선천부사

    중앙일보

    1966.06.11 00:00

  • (14)|이조중엽∼말엽인물중심 유홍렬|

    혜경궁 홍씨부인은 영조의 아들이던 사도세자의 아내로서 나이가 같았던 그 남편이 억울하게도 28세의 젊은 나이로 뒤주 속에서 굶어 죽게되자 61세의 회갑을 맞이 한때부터 이 슬픈

    중앙일보

    1966.06.04 00:00

  • 학술원상결정

    4일 상오 학술원은 제11회 학술원상 수상자 3명을 결정. 오는7월17일 시상식을 거행한다. 수상자는 저작상에 서울대 명예교수 김두종박사가 「한국의학사」등 수편의 저술로 차지했고

    중앙일보

    1966.06.04 00:00

  • (12)이조 중섭∼말섭 인물중심|유홍렬

    이긍익(肯翊)은 이씨 왕가의 후손으로서 그 아버지가 당파싸움의 여죄로 몰러 귀양살이를 하게됨으로써 벼슬 질이 막히게되자 70평생에 책을 벗으로 삼고, 약 4백 종의 행적에서 이조

    중앙일보

    1966.05.21 00:00

  • (11)이조중엽∼말엽 인물 중심|유홍렬

    정상기는 실학의 대가이던 이익의 가장 가까운 벗으로서 70 평생에 한 번도 벼슬을 살지 않고, 숨어서 이용후생의 온갖 학문을 닦던 끝에 우리 나라에 있어서 가장 정확한 지도인 「

    중앙일보

    1966.05.14 00:00

  • (8)사락의 태두 순암 안정복-유홍렬

    안정복은 실학의 대가이던 남인 성호 이익의 문하생으로서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다. 광주에 숨어서 널리 학문을 닦고 동사강목이라는 국사교본을 비롯하여 많은 책을 지어내며 영조의 무

    중앙일보

    1966.04.30 00:00

  • (5)|실학의 비조-반계 유형원|유홍렬

    유형원은 이조 세종 때의 유명한 청백사이던 문화인 좌의정 유관의 10대 후손으로서 1622연1월21일에 서울서부 정릉동 (정동)에 있던 외삼촌 참의 이원진 댁에서 태어나 자를 덕

    중앙일보

    1966.04.02 00:00

  • 10명 새로 위촉

    1일 문교부는 2년간의 임기가 끝난 교수 자격 심사위원 10명을 부문별로 다음과 같이 새로 위촉했다. ▲의학=이병희 (연세대의대학장) ▲정법=김기두 (서울대법대학장) ▲경제=최문환

    중앙일보

    1966.04.02 00:00

  • 「병인」천주교 박해의 진상|그 백주년에 즈음하여

    올해는 우리나라 역사상 네 번째로 일어난 천주교의 큰 박해사건인 병인(1866)박해의 1백주년을 맞는 해이다. 그 3월 8일은 박해의 첫 칼날아래 서울에서「베르네」주교 이하 4명의

    중앙일보

    1966.03.08 00:00

  • (1)이조중엽∼말엽까지 인물중심으로

    요즈음 언론기관 또는 정치인의 입에 『하루 바삐 우리나라를 근대화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말이 자주 떠오르고 있으니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는 아직도 근대화하여야 할 많은 일거

    중앙일보

    1966.03.05 00:00

  • 지난 병오의 문화 운동|구국애족 활동의 일환으로|유홍렬

    지난 병오년(1906)에 있었던 문화연동은 바로 그 전해에 이루어진 이른바 을사보호조약으로 말미암아 우리 나라에 일본통감부가 설치되어 우리의 외교권, 경찰권, 상·공업권이 일본인에

    중앙일보

    1966.01.18 00:00

  • 시의에 맞는 종합연구-독도

    요사이 읽은 책 가운데 「독도」는 가장 감명 깊었던 책이라고 하겠다. 한·일 문제의 중요 쟁점의 하나인 독도 귀속문제에 대한국민의 관심이 참고하는 이때 전문가들의 독도에 대한 역사

    중앙일보

    1965.12.21 00:00

  • 일 북[알프스]에 태극기|23일 상오 11시55분 정상 정복

    23일 상오 11시55분 일본의 명산 북[알프스]등반 한국원정대 일행 8명은 드디어 3천1백 90미터의 [오꾸호다까](오수고악)를 정복했다. 표고 2천9백96미터의 수고산장이 있는

    중앙일보

    1965.11.01 00:00

  • 병인 순교 백주 기념사업논의

    1866년에 있었던 병인 천주교 대 박해 1백주년을 내년에 맞는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는 순교 기념사업을 위한 모임이 24일 하오 8시 「가톨릭 문화회관」에서 열렸다. 장면·마해송·

    중앙일보

    1965.09.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