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충치만 녹이는 약물 등장

    치과라면 가기 싫은 곳이라고들 말한다. 왱왱 소리를 내며 치아를 깎아내는 드릴 기계가 생각나기 때문이리라. 그런데 공포의 대상인 드릴이 치과에서 곧 추방되리라는 반가운 소식이다.

    중앙일보

    1978.03.16 00:00

  • (15)위경련으로 오인하기 쉬운 담석증

    우리 몸에 병적으로 돌멩이가 생기는 병이 있다. 담낭·콩팥·침샘 등이 돌멩이가 생기는 대표적인 부위. 그 중에서도 담낭의 결석은 식생활을 비롯한 문화적인 양식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중앙일보

    1977.03.29 00:00

  • 암세포에 「미니원폭」투하 효과-「파이」중간자요법 실용화 단계에

    인체내 암 조직만을 선택적으로 파괴시키는 치료법은 전세계 암 학자들의 오랜 꿈이다. 그런데 이 같은 꿈이 지금 미국에서 한참 실험중인 「파이」중간자요법에 의해 실현될 날이 멀지 않

    중앙일보

    1977.02.17 00:00

  • (2)50대 이후의 건강을 위협하는 전립선 비대증

    50대 이후에 요의 방출 력이 느닷없이 약화되면『이제 나도 어쩔 수 없이 늙어 버렸구나』하고 탄식한다. 잦은 요의 때문에 밤에 자주 잠을 깨게 되면 사람들은 새삼 노경에 접어든 자

    중앙일보

    1977.02.10 00:00

  • (72)침이 너무 많이 나온다

    침(타액)은 음식을 소화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첨에는 회춘을 약속해 준다는「호르몬」이 들어있기도 하다. 「파로틴」이 바로 그것이다. 그래서 예부터

    중앙일보

    1976.09.30 00:00

  • (25)피 섞인 정액이 보이면

    맹물 같은 요도 분비물이나 가벼운 요도통 또는 요도불쾌감들이 있더라도 극히 소심한 남자가 아니고서야 그냥 지나쳐버리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아랫배가 아프고 골반이나 회음부에 둔통

    중앙일보

    1976.04.08 00:00

  • (246)풍치는 치료할 수 있다.

    『선생님, 풍치도 고칠 수 있나요?』환자로부터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다. 그저 잇몸이 부어오르고 잇몸에서 피나 고름이 나고 치아가 흔들리면 사람들은 으레 풍치려니 생각한다. 그리고

    중앙일보

    1974.11.20 00:00

  • 침으로 흡연 광 치료, 귀에 꽂아 욕심 줄여

    대만 츨신의「캐나다」침구의사「시둥치·만」박사(31)는 침으로「니코틴」중독자들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 상당수의 흡연 광들을 치료하는데 성공했다고. 「캐나다」「위니펙」시에서 침구 원

    중앙일보

    1974.05.14 00:00

  • 분수대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의 가장 대표적인 성 고전으로는 누구나 기원전 4세기에 출판된 인도의 『카마·스트라』룰 꼽는다. 사실은 이밖에도 유태교의 성전인 『탈무드』와 중국 후한 때 나온

    중앙일보

    1973.08.27 00:00

  • 현대의학최대의 숙제 병치료에 서광|면역요법

    최근「타임」지는 「커버·스토리」로 최근 의학계의 최대과제로 등장하고 있는「암 극복전략으로서의 면역료법」을 다루고 이분야에 금자탑을 이룬「로버트·앨런·구드」박사의 업적을 자세히 소개

    중앙일보

    1973.03.16 00:00

  • 국내 최고 출력 암치료기 「리니어·액셀러레이터」|연희 암「센터」서 11일부터 가동

    11일부터 연세대 의료원의 연세 암「센터」 (소장 홍순각 박사)에선 우리 나라 최초며 우리 나라의 어떤 암 치료 장치보다 강한 「에너지」를 내는 「리니어·액셀레이터」를 가동, 보다

    중앙일보

    1972.11.11 00:00

  • 암 BCG로 치유될 것인가|미 오크리지 연구소의 동물실험성공과 전망

    미국「오크리지」국립연구소의「마이클·해너」박사는 23일『실험동물의 체내에 자라고 있는 악성 종양(암)에 BCG를 주사한 결과 종양이 1백% 감소되었으며 다른 부위에 퍼져있던 암세포들

    중앙일보

    1972.09.26 00:00

  • 온몸이 비늘로 덮인 소년

    【원주】횡성군 횡성면 읍상리1구5반 김정기군(15·가명·횡성H중1학년)은 태어날 때부터 얼굴과 손, 발, 온몸에 고기 비늘 같은 검은 비늘이 덮여있어 말 못하는 고민에 싸여있다.

    중앙일보

    1972.05.30 00:00

  • 신장 이식에 새로운 의문|미 캘리포니아대 노성규 박사가 말하는 최근 동향

    『신장 이식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이식 후 나타나는 거부 현상을 어떻게 처리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거부 현상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지금까지 「티슈·매칭」(조직 결

    중앙일보

    1971.07.07 00:00

  • 부인병은 불치 아니다-실태와 예방·치료법

    3일은 암의 날. 대한 암 협회(회장 이병철)는 이날을 맞아『일찍 알면 낫는 암, 늦어지면 못 고친다』라는 슬로건 아래 전국민들에게 암에 대한 일반계몽과 학술 세미나를 중앙 암 연

    중앙일보

    1971.06.04 00:00

  • 중년기의 새 문명병…협심증 병상과 치료법

    배가 아플 때, 가슴이 답답할 때, 사람들은 흔히 「소화불량」이라는 진단을 스스로 내리고 약국에 가서 소화제를 사다 먹는다. 이것은 아주 편리한 방법 같지만 이런 진단처럼 어리석고

    중앙일보

    1971.03.08 00:00

  • 9일부터 구강보건주간|건강은 건치에서

    타질병과는 달리 이(치)의 질병은 원상회복이 결코 불가능하다는데서 예부터 건치는 오복중의 하나로 여겨왔다. 9일부터는 구강보건주간. 구강보건일을 맞아 꼭 알아야 할 이(치)의 건강

    중앙일보

    1970.06.08 00:00

  • 생명의 과학 어디까지 왔나

    최근의 생명과학(라이프·사이언스)의 발전은 눈부시다. 각종 새로운 약품의 개발, 방사선치료 효과의 향상, 무혈수술에서 시작해서 인공장기이식, 인공유전자의 합성가능, 전자계산기에 의

    중앙일보

    1968.10.22 00:00

  • 예고 없이 오는 결핵|예방주간에 붙이는 완전퇴치 전략

    -이 표어와 함께 금녀도 결핵예방주간이 6일부터 시작된다. 20명 가운데 1명씩이 환자라는 우리 나라는 세계에서 몇째 안가는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크리스마스·실」과 극장·고궁

    중앙일보

    1966.11.05 00:00

  • 새 협심증 치료법 횡격막 심장연결

    「스웨덴」의 한 외과의사는 협심증을 고치는 획기적인 치료법을 발견. 즉 횡격막의 일부를 떼어내서 「샌드·페이퍼」로 갈아 심장의 근육에 연결시키면 그것이 혈핵순환을 촉진시켜 동맥경화

    중앙일보

    1966.07.18 00:00

  • 암을 이기자

    암세포는 정상세포가 미친것이라고 앞서 말한 바가 있다. 그러나 정상세포가 미치더라도 갑자기 광폭성을 띠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정상세포가 미치기 전에 가벼운 이중인격을 띤다. 미칠락

    중앙일보

    1966.05.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