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새 우리말 바루기 44. '떼어 논/따논' 당상

    올림픽 체조 경기에서 양태영 선수가 심판들의 이해할 수 없는 판정으로 금메달을 빼앗겼다. TV를 지켜보면서 국민 모두는 금메달을 '떼어 놓은 당상'으로 생각했지만 결과는 동메달에

    중앙일보

    2004.09.01 17:13

  • 새 우리말 바루기 36. 기대를 져버리다(?)

    아테네 올림픽의 열기가 한창이다. 한국 축구는 아쉽게도 파라과이에 져버렸지만 올림픽 8강에 오르는 위업을 달성했다. 남은 종목에서도 우리 선수들이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최선

    중앙일보

    2004.08.22 18:13

  • 새 우리말 바루기 1. 그대 있음에(?)

    지난 6월 18일 '우리말 바루기' 마지막회가 나간 뒤 많은 독자분께서 아쉬움을 전하고, 다시 게재해 줄 것을 요청해 오셨습니다. '우리말 바루기'에 보내 주신 애정과 성원에 감사

    중앙일보

    2004.07.04 16:11

  • [커버스토리] 돈 벌기, 글 쓰기보다 사는 게 더 중요

    [커버스토리] 돈 벌기, 글 쓰기보다 사는 게 더 중요

    ▶ 신경숙씨(友)가 지난주 원주 토지문화관을 찾아 박경리씨와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를 나눴다. 신씨에게 박경리선생은 존재하는 그 자체만으로 큰힘이 된다고 한다.“풀 뽑는 일도, 잘

    중앙일보

    2004.06.26 09:49

  • 우리말 바루기 298 - '~에 있어(서)'를 피하자

    '~에 있어서'는 일본어 '~に於いて'를 직역한 것인데 언제부터인가 우리글에 들어와 우리말 행세를 하고 있다. 이 말이 쓰이는 경우를 크게 '분야''행위''사람''때' 등 네 가지

    중앙일보

    2004.05.23 16:40

  • [문학] 망각하고 싶은 과거의 늪에 빠져 …

    [문학] 망각하고 싶은 과거의 늪에 빠져 …

    불가능한 일이겠지만 무한한 기억력으로 모든 일을 기억하는 사람은 결코 행복하지 못할 듯하다. 잊어버리지 못하는 기억이 가슴 아픈 사연일 경우는 더욱 그렇다. 때때로, 아니 빈번하게

    중앙일보

    2004.05.07 15:36

  • 우리말 바루기 239 - 아니오, 아니요

    "물음에 '예''아니오'로 답하시오"와 "물음에 '예''아니요'로 답하시오" 중 어느 것이 맞을까? 알쏭달쏭한 분이 많을 것이다. 답부터 말하자면 '아니요'가 옳다. 글에서 '아니

    중앙일보

    2004.02.24 17:02

  • 우리말 바루기 199 - '뿐'의 띄어쓰기

    요즘 세태를 보고 있노라면 답답한 마음을 지울 수 없다. '우리'라는 말은 실종되고, '나뿐'이라며 자신만 살겠다고 하는 '님비(NIMBY.not in my backyard)' 현

    중앙일보

    2003.12.17 17:19

  • [그리움, 단편 릴레이 편지] 봄날은 간다

    '새파란 풀잎이 물에 떠서 흘러가더라'라는 노랫말을 듣고 시큰했던 적이 있습니다. 우리들 삶과 시간을 단숨에 일갈해 버리는 듯했습니다. '물에(물 '위'가 아니라 물 '에'라야 맞

    중앙일보

    2003.11.18 17:59

  • 우리말 바루기 169 - '데'의 띄어쓰기

    문장 중에 '데'가 들어가게 되면 띄어 써야 할지, 붙여 써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우선 '데'가 어미인지, 의존명사인지 판단해야 한다. 어미이면 붙여 쓰고, 의존

    중앙일보

    2003.11.05 17:06

  • [week& life] 김서령의 家

    [week& life] 김서령의 家

    텃밭을 가꾸는 사람은 드물지 않다. 그러나 자신이 어릴 때 어머니 심부름으로 고추를 따오던 텃밭을 여태도 가꾸고 있는 사람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와선재(蝸善齋)'의 주인 최환

    중앙일보

    2003.10.09 20:27

  • 통역이 필요한 南北 언어

    분단 반세기를 넘기면서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정도가 매우 심각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적잖은 말들이 번역 없이는 아예 뜻이 통하지 않을 정도다. 국회 교육위원회 이미경(민주당)의원은

    중앙일보

    2003.09.15 18:10

  • [우리말 바루기 126] '당신은 누구시길래…'

    "당신은 누구시길래 이렇게/ 내 마음 깊은 거기에 찾아와/ 어느새 촛불 하나 이렇게 밝혀 놓으셨나요…." 송창식이 부른 '사랑이야'의 1절 시작 부분이다. 또 10여 전에 큰 인기

    중앙일보

    2003.09.01 17:37

  • [우리말 바루기 124] 첫발을 딛었다(?)

    우리 속담에 '시작이 반이다'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이 있다. 이는 예부터 무슨 일을 함에 있어 시작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말해준다. '무엇을 시작했다'라는 의미로 '첫발

    중앙일보

    2003.08.28 17:20

  • [우리말 바루기] 음반이요?

    새로 음반을 낸 가수에게 "이번 음반 어때요?"하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그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이번 음반이요? 정말 맘에 들어요. 제가 부른 노래인데도 눈물이 핑 돌아요."

    중앙일보

    2003.08.05 17:33

  • [우리말 바루기] '-던가'와 '-든가'

    요즘 아이들은 인스턴트 식품과 육식에 길들여져 김치 등 야채는 입에도 대지 않으려 한다. 엄마들은 아이의 건강을 생각해 야채를 먹이려고 구슬려 보지만 말을 잘 듣지 않는다. '김치

    중앙일보

    2003.06.19 17:11

  • [우리말 바루기] '너머' 와 '넘어'

    산 너머 저쪽엔 별똥이 많겠지 밤마다 서너 개씩 떨어졌으니. 산 너머 저쪽엔 바다가 있겠지 여름내 은하수가 흘러갔으니. 얼마 전에 타계한 이문구님의 동시 '산 너머 저쪽'이다. 맑

    중앙일보

    2003.05.25 20:16

  • [우리말 바루기] '끊으려야 끊을 수 없는'

    유비가 삼고초려(三顧草廬) 끝에 제갈공명을 군사(軍師)로 맞이해 극진히 모시자, 관우와 장비는 당시 27세인 공명에게 그토록 머리를 숙일 필요가 있느냐고 반발했다. 유비는 "내가

    중앙일보

    2003.05.13 17:22

  • [우리말 바루기] "맞습니다, 맞고요"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 TV에서 대통령의 특이한 말투를 흉내낸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오히려 외모가 비슷하다고 해서 한동안 브라운관에서 사라진 사람도 있었다. '문민정부'가

    중앙일보

    2003.03.02 20:23

  • [대덕밸리 벤처소식] 위염 잡는 계란 출시 外

    ▣아날로그칩스, 광송수신용 ASIC칩 개발 아날로그 ASIC 개발 전문업체인 아날로그칩스(대표 송원철, http://www.analogchips.com)는 DVD 플레이어와 AV

    중앙일보

    2001.09.17 09:34

  • 눈을 들어 산을 보라…'新 청산별곡'

    자연주의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고전 〈월든〉에 비견할 만한 산문집 〈빈산엔 노랑꽃〉은 도회지의 우리가 얼마나 자연에 무심했는지 새삼 일깨워준다.책 읽는이 누구라도 신간에 담긴

    중앙일보

    2001.05.12 07:56

  • [신간리뷰] '빈산엔 노랑꽃'

    자연주의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고전 『월든』에 비견할 만한 산문집 『빈산엔 노랑꽃』은 도회지의 우리가 얼마나 자연에 무심했는지 새삼 일깨워준다.책 읽는이 누구라도 신간에 담긴

    중앙일보

    2001.05.12 00:00

  • [이어령 중앙일보고문 기고] 2001 새내기들에게 고함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새는 무엇인가. 극락조나 공작새라고 말해서는 안될 것이다. 어느 시인의 말대로 돛처럼 부푼 깃털을 세우고 새벽 노을을 향해 날아오르는 그 순간의 새이다.

    중앙일보

    2001.03.05 00:00

  • 여수 인근 섬서 대규모 공룡 발자국 발견

    전남 여수시 앞바다의 섬들에서 중생대 백악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공룡발자국 화석군이 발견됐다. 전남도는 23일 "여수시 화정면 사도.추도.낭도.적금도 등 4개 섬에서 총 3천

    중앙일보

    2000.10.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