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생계비|세계주요도시간의 비교

    서울의 생계비는 이미 세계상위권에 들어있다. 서울의 물가가 「런던」이나 「워싱턴」보다 훨씬 높으며 「아시아」에서는 동경·「자카르타」에 이어 제3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유엔」

    중앙일보

    1973.01.15 00:00

  • 「아파트」정책의 방향

    건설부는 총14억3천6백만원을 들여 금년 안에 2천7백33호의 공영주택을 건설할 것이라 한다. 이 공영주택이 단독주택이 될 것인지, 「아파트」가 될 것인지 아직은 확실치 않다. 다

    중앙일보

    1972.05.13 00:00

  • 이국의 고독이 부르는 망향병

    【워싱턴=김영희특파원】미국 「유타」주 「케이스빌」에서 휘발유를 온몸에 뿌려 분신자살을 기도한 한국인 「종순·존슨」여인(유종순)은 5일 상오 1시20분(한국시간) 끝내 숨지고 말았다

    중앙일보

    1972.01.05 00:00

  • 김칫독·김장용구

    김장철이 되면 김치를 담는 무·배추 등의 재료와 함께 저장하는데 필요한 김칫독도 아울러 준비해야 한다. 또 복잡하고 일손이 많이 가는 김장담그기에는 몇 가지 필요한 용기도 마련하면

    중앙일보

    1971.11.17 00:00

  • (7)세계의 추세

    한국부동산학회가 조사한 「땅값의 국제비교」에 의하면 세계의 땅값은 주택지의 경우 일본이 10이라면 홍콩이 20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고 다음이 일본, 그리고「캘커타」가 7, 구주1∼

    중앙일보

    1971.04.20 00:00

  • (2)|낭비 없는 김장 준비

    한겨울 식탁의 준비는 우선 김장으로 매듭 짓는 가정이 대부분이다. 아직「비닐·하우스」 재배가 일반화하지 못한 현실에서 엄동설한에 신선한 야채를 먹는다는 것은 서민층으로선 어려운 일

    중앙일보

    1970.10.30 00:00

  • (22)|위법 건물

    서울에는 위법 건물이 독버섯처럼 곳곳에 들어서 있다. 서울의 주택 총수는 63만7천11동. 이밖에 18만7천5백54동의 무허가 건물이 있다. 이들 무허가 건물은 대부분이 판잣집들.

    중앙일보

    1970.09.28 00:00

  • 일반통행 쇠고기값 인상|업자의 속셈을 보면

    쇠고기값 파동이 또 다시 일고 있다. 4일 현재 시내 정육점에서는 6백g에 4백원으로 되어있는 협정가격을 어기고 4백70원∼5백원까지 받고 있다. 6백g에 4백원씩 사자면 반이상이

    중앙일보

    1970.05.04 00:00

  • 6백g 4백70원정

    6백g 4백원의 쇠고기 값이 껑충, 요즘 시내 각 정육점에서는 4백50원∼4백70원씩 마구 올려 받고 있다. 서울시는 30일 시내 6백여정육점에 대해 일제위생 감찰에 나섰는데 원

    중앙일보

    1970.04.30 00:00

  • 건축 시즌

    건축「시즌」이 다가섰다. 올 봄에는 집을 짓는데 건축비가 얼마나 먹힐 것인지, 정부는 집 없는 사람을 위해 값 싼 집을 얼마나 지어주고 주택 대지는 얼마나 조성이 되는지를 살펴보면

    중앙일보

    1970.03.16 00:00

  • 하관「페리·보트」검토

    【부산=이억순기자】박정희대통령은 7일상오 부산시청을 연두순시, 김대만시장으로부터 금년도 시정보고를 받았다. 박대통령은 이 자리에서『부산시의 도시계획을 중앙의 종합국토개발계획을 중심

    중앙일보

    1969.02.07 00:00

  • 금괴밀수 규모확대|부산서 「제3」·서울서「제4」적발

    국제금괴밀수사건을 수사중인 경찰은 이미 적발된 사건외에 「제3. 제4의 금괴밀수사건」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19킬로와 15킬로의 금괴가 이미 국내 암「루트」를 통해 시중에 흘

    중앙일보

    1968.03.09 00:00

  • 입주금 비싸

    서울시가 무주택 자들을 위해 민간자본을 유치해서 짓고 있는 「아파트」입주금이 값을 싸게 한다는 시장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너무 비싸게 책정되었다. 오는 11월초 입주예정으로 종로 5

    중앙일보

    1967.09.29 00:00

  • 우리살림 미래상|「가능성」믿고 기록해본 잘사는 내일 앞모습 뒷모양

    잘 살아보겠다는 욕망은 한이 없다. 이는 또한 가난속에 살아온 우리민족이 지녀온 태고로부터의 욕망이기도 하다. 세계에서 못사는 나라들의 대열에 끼여있는 우리의 처지에서 호강을 누리

    중앙일보

    1966.09.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