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행주대교 안전진단-개통1년반만에 연결핀 빠져

    지난해 5월 개통된 신행주대교가 개통 1년6개월만에 하자가 발생,긴급 하자보수공사를 한후 외국 전문업체에 정밀 안전진단을의뢰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도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따르면

    중앙일보

    1996.11.20 00:00

  • 다리붕괴 원인.문제-허약한다리 성수만이 아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약 1만2천개에 이르는 교량의 역사는 대략 1백여년을 거슬러 올라가 일제치하에서 최초의 건설이 이뤄졌고 시대흐름에 따라 많은 변천을 겪어왔다. 8.15해방이후 사회

    중앙일보

    1994.10.22 00:00

  • 예고된 사고 왜 못막았나

    이것이 선진국으로 발돋움한다는 한국(韓國)의 모습인가.개혁이란 도대체 무엇을 하자는 것인가.서울의 한 복판에 있는 대형 다리조차 마음놓고 건널 수 없어서야 어떻게 근대국가란 말조차

    중앙일보

    1994.10.21 00:00

  • 꼬리무는 대형참사 긴급진단(우리사회 나사 풀렸다:3)

    ◎위험 도외시하는 안전 불감증/경비절약 관행화로 부실공사/너도나도 “설마 괜찮겠지” 뒷짐 서울 동대문구 마장동 대성로터리의 지하철 5호선 36공구 현장 인근 주민들은 지난 7월 며

    중앙일보

    1993.10.14 00:00

  • 교량2백14곳 보수 시급 경기

    경기도지역 낡은 교량에 대한 보수공사가 지지부진해 대형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12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이후 도내 1천1백20곳의 교량을 대상으로

    중앙일보

    1993.04.12 00:00

  • 허위진정·모함 형사처벌/정치전환기 공직자 소신근무 적극 보호

    ◎43개부처 감사관회의 정부는 최근 정치적 전환기를 맞아 정부인사와 각종 인·허가를 둘러싸고 공직사회에 허위진정이나 모함·투서 등이 난무함에 따라 허위진정인에 대한 형사처벌 등 강

    중앙일보

    1992.08.05 00:00

  • 전국 주요교량 안전진단/신행주대교 붕괴 계기

    ◎30년 넘은 2백22개 정밀조사/대형공사 「사전 자격심사제」 도입/신행주대교 사장공법 설계변경 검토 정부는 남해 창선·서울 신행주대교 붕괴사고를 계기로 전국 주요 교량에 대해 안

    중앙일보

    1992.08.03 00:00

  • 무너진 신행주대교 현장/건설사 직원들 산교육장

    ◎비디오 카메라 들고 자료수집/구경꾼들 몰려 교통 체증까지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현장이 사고이후 건설업체들의 산교육장으로 바뀌어 관계자들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또 어처구니 없는

    중앙일보

    1992.08.03 00:00

  • “사고규모 엄청나 철거대책 난감”/신행주대교 붕괴사고 현장

    ◎벽산건설 “내년말까지 완전복구” 장담/고양주민 교통난 가중 땅값하락 걱정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발생 약 1시간만인 31일 오후 8시쯤 이 차관과 함께 현장에 나가 사고경위 등을

    중앙일보

    1992.08.02 00:00

  • 대교 연쇄붕괴/“어떻게 이런일이…”

    ◎신행주대교도 무너져… 졸속공사 표본 39일 경남 남해 창선대교 붕괴사고에 이어 31일 오후 6시55분쯤 경기도 고양시 신행주외동과 서울 개화동을 잇는 신행주대교가 연말준공을 앞두

    중앙일보

    1992.08.01 00:00

  • 대교붕괴­부끄러운 「건설강국」/이효준 경제부기자(취재일기)

    남해 창선대교가 붕괴된 다음날인 31일 서영택건설부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이런 말을 했다. 『지난해 공사중이던 팔당대교의 붕괴사고를 겪다보니 건설부가 그동안 공사중에 있는 교량의 안

    중앙일보

    1992.08.01 00:00

  • “당국­업자에 분노가…”(촛불)

    『다리가 완공돼 차량이 지나다닐때 무너졌을거라고 생각하면 소름이 끼칩니다.』 31일 오후 7시쯤 경기도 고양시 행주외동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현장. 땅이 꺼질듯한 붕괴음에 놀라 현장

    중앙일보

    1992.08.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