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1세기를 내다본다"먹는 문제는 내가 맡는다"

    인간에게는 어제보다는 오늘에, 또 오늘보다는 내일에 더 좋은 삶이 있으리라는 본능적 기대감이 있다. 때문에 15년 앞으로 다가온 21세기를 풍요와 행복, 안락과 평화가 넘치는 장미

    중앙일보

    1985.01.01 00:00

  • 자연계 대입생을 위한 가이드-2,000년에 유망분야는 무엇일까

    대학학력고사를 치른 수험생들은 학력고사의 결과가 나오는 대로 대학과 학과를 선택, 지원해야 하고 고2로 진급하는 학생들은 문과를 택할것이냐 이과를 택할것이냐를 결정해야 한다. 어문

    중앙일보

    1983.12.13 00:00

  • 정부미권장, 품질개선 뛰다라야 실효

    영농기를 맞아 시부모께 농비를 드리려 고향엘 갔다가 서울서 자가용까지 몰고 공해없는 일반벼계약재배 계약차 내려온 몇 분을 만났다. 수확량에는 관계없으니 농약도 주지말고 비료도 주지

    중앙일보

    1983.03.28 00:00

  • 유전공학 우리 식탁과도 멀지않다|유전자 조작 기술 개발이 열쇠

    18,19일 양일간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유전공학심포지엄에는 5백여명의 국내전문가들이 모여 유전공학에 대한 국내의 열기를 실감케 했다.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인 유전공학은 이제 국내

    중앙일보

    1982.03.22 00:00

  • 토끼같은 쥐

    황소만큼 큰 개구리가 위세를 부린다면 세상은 어떻게 될까. 이제 엄마개구리는 새끼들 앞에서 황소흉내를 내려고 뱃속에 바람을 잡아넣다가 비명횡사하는 불상사를 내지 않을 것 같다. 최

    중앙일보

    1981.09.10 00:00

  • 병충해는 공동방제가 효과적

    벼농사가 중간고비로 들어선 요즘 농민들은 병충해 방제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54만 정보가 병충해피해로 2백56만 섬의 침수를 당했지만 올해도 이 같은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

    중앙일보

    1980.07.28 00:00

  • 경제 5단체장 초청 총리집들이 눈길|끌어농사 철로 바빠진 농수산부… 작업복 일색

    신현확 국무총리는 삼청동 공관 집들이로 2일 저녁에 상의 전정련 ㅇ협 중소기협 경영고협회 등 경제 5단체의 회장과 상근 부회장을 초대. 2일 집들이에는 행정부 쪽에서 이한빈 부총리

    중앙일보

    1980.04.01 00:00

  • "벼 신품종 재배 강권말라"

    신임 이재설 농수산부장관이 27일 농수산부 회의실에서 23명의 농어민대표들과 상견례를 갖고 생생한 농민의 소리를 들었다.(사진) 하오2시부터 6시30분까지 4시간30분 동안 계속

    중앙일보

    1979.12.28 00:00

  • 농민의 49%가 농업종사 만족|농촌경제원 조사

    농수산물 수입정책에 대한 농민들의 반응은 『일시적 대책이면 이해』할수 있으나(46.8%)농업에 악영향을 준다고 걱정하고 있으며(25.4%)농민의 11%는 농수산믈 수입을 무조건 반

    중앙일보

    1979.01.12 00:00

  • "내병성"벼신품종 권장한뒤 병충해번지자 ",높은사람 본다"고 마구 베

    【전주· 수원· 원주】병충해에 강한것으로 알려진 다수확 신품종벼에 71년부터 도열병이 발생돼 피해를 줬는데도 당국에선 내병성이강한 품종으로만 주장,방제농약개발을 게을리 했음이 드러

    중앙일보

    1978.08.31 00:00

  • 전국 각 시험장의 현황|「완전 볍씨」에 도전한다|한없는 신품종 연구

    전국적으로 계속되는 가뭄으로 못자리가 늦어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다. 혹심한 가뭄이나 태풍 및 추위 등 예기치 않은 기상 변동에도 잘 견딜 수 있는 새로운 벼의 품종 개발이 새

    중앙일보

    1978.05.04 00:00

  • 품종 혁신 유공자 798명에|1억3천만원 보상키로

    정부는 내년에 품종 혁신의 기수들 7백98명에게 1억3천만원의 보상금을 지급키로 했다. 농촌진흥청 연구직 공무원이·대상이 되고 있는 이 녹색혁명의 보상은 그 동안 ▲수도 부문에서는

    중앙일보

    1975.12.10 00:00

  • (30)품종혁신의 기수들(1)

    통일벼→유신벼 개발은 국내적으로 쌀 자급을 가능케 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는 한국의 미작육종기술을 독보적인 존재로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세계적인 육종학자 「보로그」박사(신품종

    중앙일보

    1975.10.24 00:00

  • 푸른광장(25)-다각개발·화신영농을 위한 「시리즈」|유신벼(녹색혁명의 기수)

    새볍씨 「유신벼」가 녹색혁명의 새 기수로 각광을 받고 있다. 농가보급단계를 1년 앞둔 금년의 농가포장 시험재배에서 「유신」은 이른바 기적의 볍씨로 불렸던 통일벼보다 ①3∼13%

    중앙일보

    1975.09.12 00:00

  • (8)(5)-미작

    20세기 최대의 업적은 「암스트롱」 「앨드린」의 달 정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는 10억의 「아시아」 인들에게는 「기적의 볍씨」 IR-8 개발·보급이 이

    중앙일보

    1975.05.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