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시조가 있는 아침] (170) 화답

    [시조가 있는 아침] (170) 화답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화답 박정희(1917~1979)   한산섬 수루에 올라 우리 님 얼마나 애 타신고 그 충성 그 마음 받아 겨레 사랑 나라 살림 맹세코 통일과 번영 이루고야

    중앙일보

    2023.04.06 00:34

  • [시조가 있는 아침] (134) 가을비

    [시조가 있는 아침] (134) 가을비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가을비 피천득(1910∼2007)   고요히 잠든 강 위 하염없이 듣는 비의 한 방울 두 방울에 벌레 소리 잦아진다 아마도 이 비는 정녕 낙엽의 눈물인가 -

    중앙일보

    2022.07.28 00:16

  • [시조가 있는 아침] (114) 금매화(金梅花)

    [시조가 있는 아침] (114) 금매화(金梅花)

    유자효 시인 금매화(金梅花) 이광수(1892-1950)   오늘 오는 비는 진달래 떨우는 비   비마저 흙 묻어 송이송이 지는 그를 금매화 뒤이어 피니 더욱 비감하여라. -문예공

    중앙일보

    2022.03.10 02:17

  • [박정호의 문화난장] 서예, 6·25의 또 다른 증언자

    [박정호의 문화난장] 서예, 6·25의 또 다른 증언자

    20세기 한국 서예계의 거목인 일중 김충현의 ‘논산무명용사비’(1958) 탁본. 한국전쟁 당시 숨진 병사들을 기렸다. [사진 일중선생기념사업회]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해의

    중앙일보

    2021.06.24 00:32

  • [시조가 있는 아침] (34) 대

    [시조가 있는 아침] (34) 대

    유자효 시인 대 김교한 (1928- ) 맑은 바람 소리 푸르게 물들이며 어두운 밤 빈 낮에도 갖은 유혹 뿌리쳤다 미덥다 층층이 품은 봉서 누설 않는 한평생. - 우리 시대 현대시

    중앙일보

    2020.08.20 00:07

  • [시조가 있는 아침] ④ 장안사(長安寺)

    [시조가 있는 아침] ④ 장안사(長安寺)

    유자효 시인 장안사(長安寺) 이은상 (1903-1882) 장하던 금전벽우(金殿碧宇) 찬 재되고 남은 터에 이루고 또 이루어 오늘을 보이도다 흥망이 산중에도 있다 하니 더욱 비감하

    중앙일보

    2020.01.23 00:09

  • [중앙 시조 백일장] 11월 수상작

    [중앙 시조 백일장] 11월 수상작

     ━    느루 -김현장   노을빛 짙은 갈대숲 지나는 바람 무리 그대 종종걸음 서둘지 마세요 갯벌 속 계절의 향기가 숨어들고 있어요 꽃구름 슈크림처럼 넌출 거리며 오고 있네요

    중앙일보

    2019.11.29 00:06

  • [중앙 시조 백일장] 2월 수상작

    [중앙 시조 백일장] 2월 수상작

     ━    홍시 -이상목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천상어귀   서투른 헤어짐은 없노라 장담하며   빚쟁이   스산한 바람 셈을 하는 동짓달     고요를 받쳐드는   농익은

    중앙일보

    2018.02.28 00:40

  • [문화동네] 시조시인 노산(鷺山) 이은상 外

    시조시인 노산(鷺山) 이은상(1903∼82)을 기리는 노산시조문학상이 제정됐다. 1회 수상자로 시조시인 유재영(68 )씨가 선정됐다. 노산시조문학상은 노산의 고향인 창원의 후배

    중앙일보

    2016.11.22 01:00

  • “좋은 시조는 눈물이 바탕” 원로 시조시인 정완영 별세

    “좋은 시조는 눈물이 바탕” 원로 시조시인 정완영 별세

    원로 시조시인 백수(白水) 정완영(사진) 선생이 27일 경기도 산본의 요양병원에서 별세했다. 98세.고인은 현대시조 1세대인 가람 이병기와 노산 이은상, 2세대 김상옥 등을 잇는

    중앙일보

    2016.08.29 00:59

  •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 경남 활동 시인 22명 재조명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 경남 활동 시인 22명 재조명

    경남 창신대 이상옥(58·사진·교양학부) 교수가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경남에서 활동한 22명의 시인을 조명한 『경남현대시인론』을 최근 펴냈다. 지금까지 경남에서 활동한 시인을

    중앙일보

    2015.03.25 01:03

  • 난중일기, 어떤 걸 볼까?

    난중일기, 어떤 걸 볼까?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중에 직접 쓴 『난중일기』는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 달인 1592년(선조 25

    중앙일보

    2014.09.02 18:12

  • “대학 못 마친 58년 한 풀어줘 감사”

    “대학 못 마친 58년 한 풀어줘 감사”

    “졸업장이 잃어 버린 날을 찾아 주었습니다.”  20일 대구가톨릭대 졸업식에서 단연 눈길을 끈 사람은 한국어문학부 명예학사학위를 받은 이일향(82·사진) 시조시인이다. 1953년

    중앙일보

    2012.02.21 00:27

  • 배 바닥 U자형, 수심 얕은 곳서도 방향전환 쉬워

    배 바닥 U자형, 수심 얕은 곳서도 방향전환 쉬워

    400여 년 전 이번 주, 1592년 4월 13일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왜란 발생 하루 전인 4월 12일 이순신은 거북선을 완성했다. 미리 알았을까? 아니면 우연의 일치였을까?충

    중앙선데이

    2011.04.10 01:17

  • [홍성란과함께읽는명사들의시조] 양주동

    [홍성란과함께읽는명사들의시조] 양주동

    사랑채에 또래들을 불러놓고 국어.영어.수학.지리.역사를 가르친 열 살 소년 숙장(塾長), 러시아풍의 '루바슈카' 셔츠에 보헤미안 넥타이를 매고 직접 디자인한 구두를 신고 동경과

    중앙일보

    2006.08.28 21:17

  • [사람 사람] "좋은 글 더 많이 쓰고 싶습니다"

    [사람 사람] "좋은 글 더 많이 쓰고 싶습니다"

    "좋은 글 더 많이 쓰고 사회봉사도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김상훈 부산일보 사장이 고희(古稀.70세)를 맞아 25일 네 권의 책을 한꺼번에 냈다. '제7시집-흐를수록 깊어지는 강

    중앙일보

    2005.04.26 05:09

  • 시조 시인 박옥금씨 별세

    시조 시인 박옥금씨 별세

    시조 시인 박옥금씨가 13일 오후 8시45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78세. 경북 청도 출신인 고인은 1972년 시조집 '탑'으로 등단한 뒤 활발한 시작 활동을 벌여 '한생 피는 뜻

    중앙일보

    2005.03.14 19:50

  • 한국 현대사 속 文人과 정치권

    한국 현대사 속 文人과 정치권

    문인들의 정치 참여가 새로운 관심사다. 우리 시대 대표적인 소설가 황석영씨와 이문열씨가 각각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으로부터 내년 총선을 위한 공천 심사를 맡아달라는 제의를 받고 '

    중앙일보

    2003.12.29 18:48

  • 방송인 유자효씨 8번째 시집 출간

    방송인 유자효씨 8번째 시집 출간

    방송인 유자효(56)씨는 사실은 부지런히 시를 쓰는 어엿한 시인이다. 1967년 신아일보 백일장에서 노산 이은상 선생의 심사로 시조가, 68년 같은 신문 신춘문예에서 미당의 심사

    중앙일보

    2003.10.31 18:08

  • [삶과 추억] 현대시조 이론 정립 공헌

    시조시인 월하(月河) 이태극(李泰極) 선생이 24일 오후 2시50분 경기도 분당 보바스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0세. 고인은 1999년 뇌경색으로 쓰러져 한달간 입원 후 퇴원

    중앙일보

    2003.04.25 09:00

  • [문학동네에 살고 지고…] (34)

    너는 저만치 가고 나는 여기 서 있는데 손 한 번 흔들지 못한 채 돌아선 하늘과 땅 애모는 사리로 맺혀 푸른 돌로 굳어라 -이영도 평소 청마 유치환과 친분이 두터웠던 큰 시인들이

    중앙일보

    2003.02.20 18:49

  • [문학동네에 살고 지고…] (22)

    아. 사랑이여, 귀중한 울음을 바치고 이제는 바꿀 수 없는 노래를 찾는가 -박재삼 나라에서 으뜸의 기술을 가진 사람을 국수(國手)라고 한다. 문학동네에서는 이 명예로운 이름을 얻은

    중앙일보

    2003.02.04 17:51

  • 『한국현대시조 작가론』 출간

    대표적 현대시조 시인의 작품세계를 조명한 『한국현대시조 작가론 I』(태학사)이 출간됐다. 가람 이병기·노산 이은상에서 김제현·이상범·서벌·윤금초씨 등 시조시인 17명을 다루고 있

    중앙일보

    2002.05.31 00:00

  • 분단의 한(恨)은 어디까지인가

    고규홍 Books 편집장 #01. 분단으로 잃어버린 우리의 시인 조운(1900∼?) 님과 그의 시가 요즘 문단의 화제다. 올해가 그의 탄생 1백년을 맞이하는 해이고, 이에 맞춰 조

    중앙일보

    2000.08.30 0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