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습관만 바꿔도 5kg은 빠지는 생활 백서

    습관만 바꿔도 5kg은 빠지는 생활 백서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했다. 한 번 길들여진 버릇. 즉, 습관은 어지간해서는 고치기 힘들다는 뜻이다. 아무리 다이어트에 도전해도 결과가 좋지 않다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몸에

    온라인 중앙일보

    2010.12.29 14:30

  • [food&] 불 볼 일 없다, 밥짓기 3총사

    [food&] 불 볼 일 없다, 밥짓기 3총사

    벌써 무덥다. 밥은 해먹고 살아야 하는데 불 앞에 서지 않고 할 수는 없을까. 물론 있다. 웬만한 집이면 하나씩은 있지만, 지금은 어딘가에 처박혀 있을 가전기구들을 꺼내 활용하는

    중앙일보

    2010.06.29 00:07

  • [food&] 알만한 계란 요리, 알차게 익혀볼까

    [food&] 알만한 계란 요리, 알차게 익혀볼까

    계란은 거의 매일 먹는, 아주 만만한 음식 재료다. 누구나 계란 프라이나 삶은 계란 정도는 다 할 줄 안다고 한다. 그런데 할 줄 안다고 다 잘하는 것은 아니다. 계란 한 알로

    중앙일보

    2010.04.27 00:20

  • 한식세계화, 디자이너의 손길을 만나다

    한식세계화, 디자이너의 손길을 만나다

    해외 시장을 겨냥한 비빔밥 브랜드인 ‘비비고(bbgo)’의 메뉴·식기·공간을 디자인해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 내놓은 노희영 히노컨설팅펌 대표, 도예가 김정옥씨, 디자이너 마영범씨.

    중앙일보

    2009.12.05 00:26

  • 한국인의 이야기, 현대적 디자인으로 풀다

    한국인의 이야기, 현대적 디자인으로 풀다

    1 헌 옷과 자투리 천을 이용해 만든 고릴라 인형. 1만5000원. (디자인:에코파티 메아리)2 천연 원목과 인조 대리석으로 만든 초소형 사이즈의 스피커. 충전용 USB 커넥터가

    중앙선데이

    2009.02.15 01:27

  • [e칼럼] 아이스크림은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e칼럼] 아이스크림은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얼마 전, 미국 뉴욕의 한 레스토랑에서 만든 아이스크림이 기네스북에 올랐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이 아이스크림의 가격은 우리돈으로 100만원. 만든 모양새를 보아하니 온몸에 금치장

    중앙일보

    2008.08.01 09:01

  • 서울 동네 놀이터 300개 ‘동화 디자인’새옷 입는다

    서울 동네 놀이터 300개 ‘동화 디자인’새옷 입는다

    서울시의 ‘상상어린이공원’ 현상 공모에 당선된 은평구 대조공원의 ‘걸리버의 저녁 초대’ 조감도. 대형 포크로 만든 계단, 대형 수저로 만든 미끄럼틀, 거대한 프라이팬 모양의 암벽타

    중앙일보

    2008.06.11 01:19

  • [Save Earth Save Us] 스페인 사라고사 엑스포 “100% 친환경” 선언

    [Save Earth Save Us] 스페인 사라고사 엑스포 “100% 친환경” 선언

     ‘전기는 모두 바람과 태양열로, 일회용품 모두 없애고, 대중교통 이용하면 기념품 제공까지…’. 6월 14일 개막하는 2008 사라고사 박람회의 조직위원회가 최근 밝힌 운영 계획이

    중앙일보

    2008.03.08 05:12

  • 미국 '맛 고장'서 한식의 세계화 선언

    미국 '맛 고장'서 한식의 세계화 선언

    '판타스틱(fantastic.황홀한)' '고저스(gorgeous.찬란한)' '어메이징(amazing.놀랄 만한)' '뷰티풀(beautiful.멋진)'…. 어떤 이는 '버스팅(bur

    중앙일보

    2007.10.22 04:29

  • 작지만 아름다운 시도, 파격

    작지만 아름다운 시도, 파격

    매일 똑같은 국그릇ㆍ밥그릇은 지겹다. 담긴 음식이 달라져도 그릇이 색깔 맞춰 바뀌지 않는다면, 반쪽의 변신일 뿐이다. 매번 스타일리스트들처럼 센터피스(식탁 가운데에 놓인 꽃장식)를

    중앙선데이

    2007.05.19 19:37

  • 포크와 나이프에 얽힌 기억

    홍익대 정문 건너편 골목에 있는 이탈리안 레스토랑 ‘알라또레’(02-324-0978)에 자리 잡고 앉자 갑자기 오래된 기억이 떠오른다. “대학 들어가자마자 미팅에 나갈 일이 있었죠

    중앙선데이

    2007.05.05 16:12

  • 재물운, 풍수 인테리어 - 1

    재물운, 풍수 인테리어 - 1

    황금 돼지해인 2007년 새해, 다른 해에 비해 왠지 행운이 넘쳐날 것 같은 꿈을 담아 집 안 인테리어에 힘을 줘보자. 그동안 봐왔던 책이나 인터넷 말고 살림 잘하는 주부들이 직

    중앙일보

    2007.01.06 16:10

  • 식당 등 1회용품 사용 과태료 부과 새해 시행 논란

    식당 등 1회용품 사용 과태료 부과 새해 시행 논란

    내년 1월 1일부터 플라스틱 용기에 김밥을 담아 팔다가 적발되면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환경부가 1회용품 사용 규제를 위반한 사업장을 신고하는 사람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도

    중앙일보

    2003.12.28 18:18

  • [분수대] 나무 젓가락

    한.중.일 3국의 공통적인 식습관으로는 역시 젓가락 문화를 꼽을 수 있다. 기타 아시아 국가를 포함하면 세계 인구의 30%가 젓가락 문화권에 속한다고 한다. 인도인처럼 손가락을 사

    중앙일보

    2003.07.31 18:57

  • 물기 안 닦은 컵·수저·식기… 입맛 싹 달아나

    한국에서 오래 산 외국인 친구들이 늘 하는 질문이 있다. 한국의 대중식당은 설거지를 어떻게 하길래 식기나 물컵,수저에 그렇게 물기가 흥건하냐고.특히 점심시간 오피스 빌딩이 밀집한

    중앙일보

    2002.03.20 00:00

  • [센스있는 식탁] 8. 나이프·포크의 위치

    미국 영화 '귀여운 여인' 에서 줄리아 로버츠가 수저사용법을 배우는 장면이 나온다. 포크와 나이프를 잡을 때는 손잡이가 중지의 첫마디 부분에 걸치도록 한다. 엄지로 손잡이를 꽉 잡

    중앙일보

    2000.04.22 00:00

  • [센스있는 식탁] 6. 나이프·포크 사용법

    전통적인 프랑스식 식사는 12가지에서 15가지 이상의 코스로 구성돼 있으나 요즈음은 특별한 행사가 아니면 네가지 코스 정도가 보통이다. 음식 코스의 수만큼 포크와 나이프가 즐비하게

    중앙일보

    2000.04.08 00:00

  • [E-메일통신]업소서 안써야 할 1회용품은

    Q : 환경부가 오는 15일부터 유통업체와 음식점의 일회용품 사용을 규제한다고 발표해 업소들이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규제품목을 알려주십시오. (인터넷 독자) A : 환경

    중앙일보

    1999.02.04 00:00

  • [주부통신원 현장리포트]주방용품 가격 어디가 유리한가

    혼수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각종 그릇류를 포함한 주방용품들이다. '밥그릇 두 개와 이부자리 한 채 달랑 들고 결혼했다' 는 말도 있듯 신혼부부들이 준비해야하는 최소한의 물품에

    중앙일보

    1997.10.23 00:00

  • 일본의 실버산업 - 고령자용 아이디어 상품 봇물

    백화점등의 매장에 아동용품 전용코너가 있듯 고령자를 위한'실버용품' 전용코너가 일본에서 부쩍 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효고(兵庫)현 히가시나다(東灘)구에 있는'하트 인포메이션'.

    중앙일보

    1997.03.21 00:00

  • 인디언힐스-숯불에 구운 닭고기 온가족 별미

    최근 4,5년 사이 선풍적 인기를 끈 패밀리 레스토랑.미국식메뉴에 혹은 반색하고,혹은 질색하는 입맛의 세대차를 감안한다면정작 가족식당으로선 부적격일 때가 있다.경기도 고양시에 지난

    중앙일보

    1996.04.19 00:00

  • 생수용 종이컵 써도 괜찮다-환경부 1회용품 허용지침 시달

    햄버거등을 파는 패스트푸드점의 청량음료용 1회용 컵과 아이스크림 용기는 사용이 허용된다. 또 먹는샘물 공급기용 컵과 1회용인 설탕.커피.프림.케첩등 용기도 제품포장으로 간주돼 계속

    중앙일보

    1995.03.11 00:00

  • 韓中日지식인 위성.PC 정담

    세계는 후기 산업사회를 이끌어갈 새로운 문명의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21세기 세계문명의 얼개는 배타적인 패권주의(覇權主義)가 아닌 상생적(相生的)인 세계주의로 짜여질 전망이다.

    중앙일보

    1995.01.01 00:00

  • 下.그린올림픽 성공적 첫발

    제17회 릴레함메르 겨울올림픽은 분명히 새로운 올림픽의 개막을 알리는 서곡으로 기록될 것이다. 67개국 1천9백3명의 선수가 참가한 역대 최대 올림픽이란 상투적 찬사에서 벗어나 평

    중앙일보

    1994.03.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