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60) 영농기술의 개선(9)

    올해부터는 논과 경사15%(7도)이하의 밭에는 과수 등 다년생식물을 재배하지 못하게 됐다. 새로 과수원을 조성하려면 반드시 경사가 가파르지 않은 야산을 골라야하며 따라서 재배요령도

    중앙일보

    1976.07.16 00:00

  • (6)-푸른 광장

    과수 품종개량은 넓은 요장·막대한 경비, 그리고 오랜 기간등이 모두 구비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특히 교잡육종은 고도의 잡조성 때문에 우량매체를 얻는 확률도 매우 낮다. 우리의 경우

    중앙일보

    1975.12.19 00:00

  • 남하하는 「사과단지」

    【거창=이용우기자】사과주산지가 바뀌어가고 있다. 70년동안 사과의 왕자로 군림해온 경북의 대구사과가 점차 사양길에 접어드는 반면 거창·함양·합천을 중심으로 한 「경남사과」가 이에

    중앙일보

    1975.06.13 00:00

  • 올해 농사 가뭄 딛고 풍작|벼 목표의 4·3% 증수

    올해의 벼농사와 일부지방의 과일농사는 가뭄과 태풍피해를 이겨내고 그런대로 풍작이 예상되고 있다. 7일 현재로 본사가 전국 취재 망을 통해 조사한 결과로는 벼농사는 연초의 생산목표량

    중앙일보

    1973.09.08 00:00

  • 외국의 치산녹화(3)-영국

    영국의 산림은 4분야로 구분되어 체계화된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즉 수림지(Wood Lands), 삼림지(Forest Lands), 국립자연보호구, 지방자연보호구 등으로 구

    중앙일보

    1973.04.05 00:00

  • (1)프랑스산림보호정책

    「프랑스」에 가장 많은 나무는 참나무·너도밤나무·단풍나무·참피나무·느릅나무·전나무·낙엽송·해송·적송·널가시나무·「마로니에」등 많은데 「프랑스」산림정책의 특색은 산림은 나무 종류별

    중앙일보

    1973.04.03 00:00

  • 해외로 출구 찾는 고등 소채

    고등 소채가 새로운 전략적 수출 상품으로 지목됨으로써 「비닐·하우스」 사업의 생산 및 유통 분야에 대한 질적 개혁 조치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오이 「토마토」 「셀러리」 양상

    중앙일보

    1972.02.02 00:00

  • 맥박 뛰는 동맥 백㎞|영동「고속」1차 구간 개통

    서울∼새말 간 1백4km의 영동고속도로(서울∼강릉 간 2백5km 중 원주∼강릉 간 1백km는 74년 완공)1차 구간이 1일 개통된다. 용인군 기흥면 신갈리「인터체인지」를 기점으로

    중앙일보

    1971.11.27 00:00

  • 사과생산량 전체과일의 50% 한사람이 1년에 28개먹어

    우리 나라 사과생산량은 전체과일생산량의 50%, 그리고 재배면적은 41%를 각각 차지한다. 재배 종으로는 능금이 예로부터 널리 재배돼 왔으나 40년∼50년 전 미·일에서 우량품종인

    중앙일보

    1971.10.07 00:00

  • 결실연도 앞당기는 외화재배

    3년만에 열매를 딸 수 있는 사과나무의 왜화재배실험이 건국대학교에서 시도 되었다. 과수는 길목에서부터 성과기까지 10여년이 소모되기 때문에 자금이 침체되어 기업성이 무시되었었다.

    중앙일보

    1971.05.03 00:00

  • (3) 나주 배

    찌는 듯한 무더위가 살며시 가실 무렵 배(이)는「풍요한 가을」의 맛을 낸다. 볏단에 겨운 촌부가 배를 한 입만 베밀어 먹어도 「서그렁」하는 그 시원한 맛엔 온 몸의 땀이 식는다.

    중앙일보

    1966.04.05 00:00

  • 의욕담은 농업 주산지 계획|농가 소득 향상 실효성에 질문답

    농림부 당국은 우리 나라에서 처음 시도되는 산지 조성계획사업을 오는 6월부터 시행에 옮길 채비를 차리고 있다. 이것은 박 농림장관이 월여전에 취임할 때 당면시책의 하나로 『공업원료

    중앙일보

    1966.04.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