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재산피해 14억·사망64 수해집계

    28일 중앙재해대책본부는 25일과 26일 이틀동안 충남을 중심으로 내린 홍수피해는 사망 64명, 실종 5명 등 69명의 인명피해와 14억8천1백75만원의 재산피해를 가져왔다고 집계

    중앙일보

    1971.07.28 00:00

  • 세종로 지하도 침수

    17일 새벽 불과 4∼5시간 동안 갑자기 내린 폭우로 서울에서만 30명이 사망하고 1천2백여 가구가 한때 침수, 3천여 명이 대피하는 소동을 벌였다. 침수지역은 도심지 9개소를 비

    중앙일보

    1971.07.17 00:00

  • 위험이 도사린 어린이 환경-사고 원인고 유형별 분석

    한국 어린이가 성장하고있는 가정적·사회적 환경에 대하여 어린이가 상해 받은 위험도를 지난70년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2개의 중앙 일간지에 보도된 사고발생을 중심으로 관찰해보았

    중앙일보

    1971.05.01 00:00

  • (160) 워싱턴과의 논쟁 (1)|인천 상륙 (3)|6·25 20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 전쟁 3년

    「해리·S·트루먼」미 행정부가 북괴의 남침 후 한국 문제에 관한 정책을 우선 결정하고 그 후에 「유엔」의 추인을 받은 것과 비슷한 경우가 실제 전쟁 지휘에 있어서 현지 군사령관인

    중앙일보

    1971.04.09 00:00

  • 의성·의태어(Onomatopoeia)의 문학적 한계성(상)

    [예술가에게는 예술가다운 감흥이 있고 그 감흥은 표현을 목적하고 설레는 열정이 따릅니다. 이 열정의 도가 강하면 강할수록 그 비례로 전말이 완숙하여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예술이란

    중앙일보

    1971.01.07 00:00

  • 오늘의 한국을 사는 여성들에게

    『근대화, 근대화, 근대화』라는 표어의 홍수속에 밝아왔던 70년대의 첫해가 어느덧 저물고, 71년의 새아침을 맞게 되었읍니다. 서울 주변의 산마루마다 우뚝우뚝 늘어선 아파트 풍경,

    중앙일보

    1971.01.04 00:00

  • (5)주택난

    서울시는 금년에 중산층 시범「아파트」85동을 새로 지었고 여의도「맨션·아파트」를 착공했으며 무허가 건물 철거민 광주 대 단지 이주 등 활발한 주택사업을 벌이긴 했으나 서울의 주택난

    중앙일보

    1970.12.29 00:00

  • 구별 새마을 가꾸기 사업 내용(3)

    (3백81건) 신당동1, 2, 3동 ▲1동 3백4의 6백7∼3백4의 6백60 도로 포장 ▲2동 4백32의 1천82 및 3백75의 5 지선 도로 포장 ▲3동 9통2반6반 계단 포장

    중앙일보

    1970.12.10 00:00

  • 고층화한 판자촌 시민 아파트

    판자촌을 없애기 위해 지난 68년10월 서울시가 회현동에 처음으로 시민아파트를 세운 이래 현재 서울에는 4백28동 1만7천45가구가 시민아파트 생활을 하고 있다. 가구당 8평이라는

    중앙일보

    1970.09.29 00:00

  • (22)|위법 건물

    서울에는 위법 건물이 독버섯처럼 곳곳에 들어서 있다. 서울의 주택 총수는 63만7천11동. 이밖에 18만7천5백54동의 무허가 건물이 있다. 이들 무허가 건물은 대부분이 판잣집들.

    중앙일보

    1970.09.28 00:00

  • 건축「모럴」의 붕괴

    또 인천에서 3층짜리 「빌딩」 이 무너져 7명의 사망자와 20여명의 부상자를 낸 불상사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지진도 없는 이 나라에서 명색이 철근「콘크리트」 건물이라고 하는 건조물

    중앙일보

    1970.08.11 00:00

  • 3층 「콘크리트」건물 붕괴|지하도 입구를 매몰

    【인천=전영수·박정원기자】8일 하오 2시 40분쯤 인천시 송현동 100의 92 동인천 지하상가 북쪽에 연결된 3층 「블록」건물 (연건평 1백 60평)이 폭삭 무너져 상가입구 4개점

    중앙일보

    1970.08.10 00:00

  • (76)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45년 8윌 15일-이날은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하는 날이었다. 그보다 먼저 「나스」(나수) 별장에 가있던 영친왕비는 동경의 공습이 더욱더 심해가고「히로시마」에는 필경 원자폭탄

    중앙일보

    1970.08.03 00:00

  • 실의에 잠긴 황금평야

    영남과 호남의 황금평야를 할퀴고 간 수해는 농민들에게 아물 수 없는 큰 상처를 안겨다주었다. 한창 자라는 벼가 흙탕물 속에 1주일씩이나 잠겨 벼농사를 망쳤다는 농민들의 한숨 섞인

    중앙일보

    1970.07.24 00:00

  • 난간 없는 구름다리

    와우지구 시민아파트 붕괴사건 이후 그것이 계기가 되어, 전반적으로 시민아파트 등 시영건조물의 안전도는 상당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그 주변에 도사리고 있는 갖가지 위

    중앙일보

    1970.07.23 00:00

  • 나흘 호우에 피해 42억

    지난 15일부터 연4일 동안 퍼부은 비로 낙동강 영산강 금강이 위험 수위에 이르는 등 물난리로 20일 상오 현재 23명이 사망, 13명이 실종, 36명이 부상하는 등 모두 1만7천

    중앙일보

    1970.07.20 00:00

  • 전국이 폭우권에 곳곳서 물난리

    지난 15일 저녁부터 전국에 내린 폭우로 전국 곳곳에 또 물난리를 일으켜 7명이 죽고 2명이 실종, 9명이 부상하는 등 18명의 인명 피해와 7백 여명의 이재민, 7억9천9백36만

    중앙일보

    1970.07.17 00:00

  • 사망 34·실종 6명

    7월 들어 첫 주말인 4일부터 6일 정오까지 3일 동안 강릉의 3백49·5mm를 최고로 폭우가 전국에 쏟아져 34명 사망, 6명 실종, 29명이 부상하고, 1억7천2백여 만원 (이

    중앙일보

    1970.07.06 00:00

  • 서울은 비에 약했다

    비에 수방대책은 너무 허술했다. 25일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서 11명이 목숨을 잃고 7명이 실종, 8명이 부상하는 등 26명의 인명피해를 냈으며 6천8백55동의

    중앙일보

    1970.06.26 00:00

  • 장마철의 연례 풍수해, 그 대책을 살펴보면

    해마다 여름철이면 연중행사처럼 치르는 풍수해는 올해도 이미 들이닥쳤다. 지난 15일 새벽부터 몰아친 강풍과 폭우로 8일까지 1명이 죽고 2명이 부상당하는 인명피해와 4백2동의 건물

    중앙일보

    1970.06.19 00:00

  • 인류 「제3의 적」 공해|내일의 공해

    우편·통신·운수 서비스 마비 전자계산기와 전자공학적 통신 수단의 개발은 제2의 산업 혁명 또는 정보 혁명을 일으켰다. 이에 따라 제4차 산업, 즉 지식 산업 (미 「프린스턴」 대학

    중앙일보

    1970.05.26 00:00

  • 중요사건등 중점추궁

    국회 본회의는 13일부터 정일권 총리와 전 국무위윈을 출석시켜 국정전반에 걸친 대정부질문에 들어갔다. 첫날 질의에 나선 유진산 신민당 당수는 20분간 야당의 등원과 기본자세를 밝히

    중앙일보

    1970.05.13 00:00

  • 「아파트」의 안전도 점검

    치안국은 지난번 와우「아파트」붕괴사고이후 전국의 모든「아파트」에 대한 부정공사여부를 수사한바 있었는데 24일에 발표된 1차수사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관영「아파트」6백69동과 민영

    중앙일보

    1970.04.25 00:00

  • 중산 아파트 제자리 걸음

    올해 2백 동을 세우기로 한 중산층 아파트 건설 계획이 건설 후보지를 확보하지 못해 차질을 빚고 있다 또한 지난 2일 추첨으로 공모를 끝낸 47동의 중산층과 아파트도 20일이 넘은

    중앙일보

    1970.04.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