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재개발 해제따라 연내 대상지구·가구확정

    서울시내 불량주택재개발지구안에 있는 10만여채의불량주택이 개발계획에서 풀려 철거되지 앉는다. 서울시는 시내 2백27개 불량주택재개발지구 (총5백97만8천평)에 둘어선 불량주택 15

    중앙일보

    1980.10.21 00:00

  • 서울도심 12개 지역「재개발」 않기로|풀리지 않은 지역도 개보수·용도변경 허용

    서울시는 20일 도심 재개발 사업구역으로 묶어 73년부터 7년동안 건축행위를 규제했던 서울 명동2가 등 4대 문안 12개 도심 재개발 사업구역을 올해안에 개방지역에서 풀어 건축법에

    중앙일보

    1980.10.20 00:00

  • 준공미필 건물 구제

    공화당은 양성화된 각종 불량건축물도 등기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준공미필 기존건축물에 대한 특별조치법」을 마련했다. 공화당의 서울출신의원들이 공동명의로 정기국회에 제출할 이 법안

    중앙일보

    1979.07.07 00:00

  • 전남은 여야함께 친목회

    ○…무소속의원을 받은 후 시작된 공화당의원들의 시·도별친목희가 임시국회를 앞두고 활발해져 경남·서울 등에 이어 5일낮 열린 전남모임은 신민당·통일당의원까지 참가한 확대판. 고재청(

    중앙일보

    1979.07.06 00:00

  • 홍제 2동 등 유·무허 주택|4월부터 1,524채 헐어|고지대 중점…아파트 추첨권 줘

    통일로 주변 정비계획에 따라 홍제2동 등 9개 지역 고지대에 있는 1천5백24채의 불량주택이 4월부터 헐리게 된다. 서울시는 17일 통일로 변 정비계획을 최종 확정, 4월부터 ▲무

    중앙일보

    1979.03.17 00:00

  • 무허 건물 8만7천채 중 5만여채는 양성화

    서울시는 21일 현재 남아 있는 기존 무허가 건물 8만7천7백23채 가운데 84년까지 연차적으로 41.2%인 3만6천1백6채를 철거하고 5만1천6백17채에 대해서는 개량사업을 펴

    중앙일보

    1979.02.21 00:00

  • 새 소도시건설이 아쉽다

    필자 홍석철 서울시 도시정비국장은 지난달 4일부터 21일간 「스칸디나비아」3국 및「네덜란드」·독일·미국의 대도시를 순방, 주로 신도시개발·재개발사업등을 돌아보고 귀국 했다. 이글은

    중앙일보

    1978.10.10 00:00

  • 배출량 못 따르는 청소원·청소차 서울의「쓰레기」악화일로

    서울의 인구와 쓰레기 배출량은 10년 전과 비교, 배 가까이 늘었는데도 청소원과 차량증가는 이를 따르지 못해 수도서울의 쓰레기수거가 만성체증에 걸려있다. 쓰레기 수거가 가장 불량한

    중앙일보

    1976.11.20 00:00

  • 무허·불량주택 13만동을 정리|79년까지 5만동 철거|나머지 8만동은 현지재개량

    서울시는 23일 시내 무허·불량주택 13만5천동중 주거지역내의 8만3천동은 81년까지 현지재개발하고 주거가 불가능한 지역내 5만2천동은 79년까지 철거하는것을 내용으로하는 불량주택

    중앙일보

    1976.02.23 00:00

  • 도로계획선 저축 양성화 지구 건물

    서울시는 27일 지난 68년 이후 도로 계획선에 걸려 재산권행사를 할 수 없었던 「68양성화지구」빚 「현지개량사업지구」에 들어선 건물에 대해 현재 있는 도로를 계획도로로 인정, 건

    중앙일보

    1975.09.29 00:00

  • (4)청운·삼선·동숭 지구|복원계획 계기로 그 전모를 본다

    청운지구(종로구 청운동)를 비롯, 삼선지구·동숭 지구의 성벽은 세종 때 개축된 것이며 청운지구에 2천3백30m, 삼선지구 3백m, 동숭 지구에 9백50m가 각각 남아 있다. 성곽의

    중앙일보

    1975.03.14 00:00

  • 성곽주변 무허 주택 이주대책 시급

    서울시가 복원키로 한 서울성곽주변에 무허가 불량주택을 짓고 사는 주민들은 당국이 무허가 건물을 양성화해 줄 것을 공약해 놓고 이를 철거하는 것은 부당한 처사라고 비난하고 집을 철거

    중앙일보

    1975.02.10 00:00

  • 양성화대상에 포함

    서울시는 불량주택 양성화지구 및 현지 개량지구 중 해발 1백m이상의 고지대에 들어선 개량주택에 대해서도 이를 가옥대장에 올려 준공검사를 받은 합법 건물로 처리키로 했다. 각 지역별

    중앙일보

    1975.01.28 00:00

  • 「개량무허」2만여동 양성화

    서울시는 지난 68년부터 불량건물 양성화 계획에 따라 개량된 무허가건물 1만9천1백10동에 대해 모두 가옥대장에 올려 합법화하기로 했다. 13일 시 주택당국은 지난 68년부터 주민

    중앙일보

    1975.01.13 00:00

  • 도시미와 건축법개정

    정부는 현행건축법을 개정 보완하여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며 시가지 과밀화의 원인이 되고있는 27평 미만 대지 위에서의 건축을 일체 불허하는 한편 「빌딩」은 연건평이 대지의 12배를

    중앙일보

    1972.10.09 00:00

  • 풀려질까 식수·주택란

    서울시는 69연도 시정 목표를 ①대건설의 계속 ②가정 및 환경의 정화 및 건설 ③새시민 윤리 건설 ④내부 개혁의 단행 등 4개 항목으로 요약했다. 이는 김현옥 서울시장이 부임한 지

    중앙일보

    1969.01.07 00:00

  • ① 내집갖기 운동

    서울시는 오는69년의 예산을 3백78억6천5백만원으로 확정했다. 서울시는 이와함께 내년도 시정목표를 ①주택난해결 ②식수난해결 ③도로정비 ④청소업무혁신 ⑤윤락여성선도 ⑥시민정서순화와

    중앙일보

    1968.12.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