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98년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사상과 령도를 구현한 주체의 사회주의 조국이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창건자이시며 사회주의조선의 시조이

    중앙일보

    2004.10.22 14:39

  • 92년헌법

    제1장 정 치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전체 조선인민의 리익을 대표하는 자주적인 사회주의국가이다. 제2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국주의 침략자들을 반대하며 조국의 광복과 인

    중앙일보

    2004.10.22 14:33

  • 72년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5기 제1차 회의는 위대한 맑스-레닌주의자이시며 혁명의 영재이신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동지의 직접적인 지도 밑에 사회주의헌법 기초위원회가 작성하여

    중앙일보

    2004.10.22 14:25

  • 常勤예비역 징집 일원화-소집후 1년 현역복무제도는 폐지

    징집.지원을 병행해온 상근예비역(방위병제도의 후신)에 대한 지원제도가 내년부터 없어지고 징집만으로 충당하게 되며 소집후 1년동안 현역으로 복무하던 제도가 폐지된다.또 산업기능요원에

    중앙일보

    1996.08.31 00:00

  • 국방관련 5개법 시행령 개정안 요지

    ◇군사기밀보호법 시행령=국민이 군사기밀의 공개를 요청할 경우이를 심의키 위해 국방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非상설 보안정책회의를 신설,운영하되 중요사안은 국가안전기획부장의 승인을 얻는

    중앙일보

    1994.02.23 00:00

  • 새해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나

    내년부터 근로소득세 기초공제액이 연60만원에서 72만원으로 인상되고 주민등록등.초본을 거주지가 아닌 동사무소에서도 발급받을수 있게된다.또 고소.고발사건중 불기소처분으로 분류된 피의

    중앙일보

    1993.12.29 00:00

  • 예비군훈련 제대후 8년만/내년부터/시간줄이고 장소도 자율선택

    지금까지 연령제로 운영돼왔던 병출신 예비군제도가 내년부터는 나이에 관계없이 제대후 8년동안 예비군에 편성토록 하는 연한제로 바뀌고 동원훈련기간은 3박4일에서 2박3일로,일반훈련은

    중앙일보

    1993.08.09 00:00

  • 병역제도 95년 대폭 개선/보충역은 공익요원 26∼30개월 근무◎

    현역 1년→18개월 예비군 상근제도 95년부터 징병검사 신체등급상 현재 보충역 소집대상자로 분류되는 자원들은 모두 산림감시요원 등 공익 근무요원으로 근무하게 된다. 또 현역입병 대

    중앙일보

    1993.07.28 00:00

  • 병무청장|「병역」뼈대 다듬는 "국방 면접관"|역대 8명 모두 장성 출신

    93년은 병무 행정 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한 해가 된다. 올해부터 육군현역병의 복무기간이 종전 30개월에서 26개월로 단축되고(해·공군은 30개월) 징병신체검사에서 방위 법 판

    중앙일보

    1993.01.15 00:00

  • 대입 본고사 부활·수학능력시험 실시/새해부터 이렇게 달라진다

    ◎근로소득 공제 연최고 6백만원/국민연금 갹출료율 6%로 올라/수도권내 일부공장 신·증설 허용/특례 보충역 복무기간 3년으로 단축/전화 시내통화 시분제 전국확대 대학별 본고사가 부

    중앙일보

    1992.12.30 00:00

  • 방위소집 폐지시한 재연장/내년말서 94년말까지로

    ◎“「복무기간 단축」 민자공약 아는바 없다”/국방부 인사국장 방위소집판정자들의 최종 소집시한이 당초 93년말에서 94년말까지로 1년 더 연장되고 그때까지 소집영장을 받지않은 사람들

    중앙일보

    1992.10.27 00:00

  • 키 백50cm이하 무조건 면제

    병무청은 27일 내년도 징범신체검사때부터 방위병 판정이 없어지고 ▲현역(1∼4급) ▲병역면제(5∼7급) 두 가지로만 처분토록 판정기준이 개정됨에 따라 새 신체등위판정기준을 확정,

    중앙일보

    1991.12.27 00:00

  • 「방위」 93년 6월까지 소집/그후엔 18개월 현역복무

    ◎징병검사 연기자 연내 받아야 혜택/병역제도 개선 후속조치 확정 국방부는 8일 병역제도개선에 따른 후속조치를 마련,방위소집대상 보충역 판정자들을 당초 방침보다 6개월 늦춰 93년

    중앙일보

    1991.11.09 00:00

  • 기능특례요원 자격 대폭 완화

    93년부터 방위병제도를 폐지하고 현역병의 복무기간을 단축하겠다는 국방부 방침에 따라 최근잇따라 발표된 병무청의 후속조치가 병역의무 대상자들에게 오히려 혼란을 주고 있다. 개정된 병

    중앙일보

    1991.09.30 00:00

  • 연말까지 방위소집 판정자/93년후도 방위병 근무

    ◎현역·면제로만 병역 판정키로 금년말까지 방위소집 대상자로 판정받는 사람은 방위병제도가 폐지되는 93년 이후에도 계속 방위병으로 복무,병역을 마칠 수 있게 된다. 또 내년도 징병검

    중앙일보

    1991.09.14 00:00

  • 현역병 2∼5개월 단축/국방부/93년부터… 방위병제도 폐지

    ◎육군 해병 30→26개월/해군 32→30개월/공군 35→30개월 93년부터 방위병제도가 폐지되고 육·해·공군 현역병의 복무기간이 2∼5개월 단축된다. 이에 따라 국군의 총 상비병

    중앙일보

    1991.09.06 00:00

  • 병역법 개정안등 정기국회에 제출

    정부와 민자당은 1가구 1자녀 갖기 운동 등으로 현역병 입대자가 감소추세를 보이는 것에 대비,독자 등 가사사정으로 인한 보충역 편입자의 방위소집 복무기간 단축제도(현행 6개월)를

    중앙일보

    1990.09.24 00:00

  • 대졸자도 보충역 대상

    내년부터 고교졸업자의 방위소집대기기간이 현행 3년에서 2년으로 1년 단축되고 농어촌지역의 대학졸업자도 방위소집대상이 된다. 또 생계가 어려워 현역병으로 복무할 수없는 감면기준중 부

    중앙일보

    1987.11.11 00:00

  • 갑자년 새해부터 달라지는 것들

    갑자년 새해에도 우리생활주변에 달라지는 것이 많다. 교육과 세금·교통은 물론 각종 개정법령 시행등. 중·고교 교과서가 바뀌고 봉투와 우편엽서도 가로쓰기로 바뀐다. 무엇이 어떻게 달

    중앙일보

    1983.12.30 00:00

  • 고졸장정 1을종 받아도 보충역아닌 현역에 소집

    병무청은 28일 개정된 병역법에 따라 ▲지금까지 고등학교 졸업자로 신체등위가 1을종이면 보충역에 편입했던 장정도 내년부터 현역병으로 소집(85년도부터 입영)키로 하는 반면 국제기능

    중앙일보

    1983.12.28 00:00

  • 방위소집"대기" 단축

    국방부는 4일 방위소집대상자의 대기 기간을 단축, 지금까지는 징병검사를 받은 다음해부텨 중학교중퇴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은 4년, 국졸자는 2년이내에 방위소집되지 않으면 소집면제되

    중앙일보

    1982.12.04 00:00

  • 병역마친 대학생은 교련을 면제|문교부,「학생 군사교육 실시령」개정키로

    문교부는 14일 금년부터 ▲현역복무를 마쳤거나 ▲방위소집되어 실역 복무를 마친 대학생과 ▲현역군인(위탁교육자)인 대학생에 대해서는 교련을 면제해주기로했다. 문교부는 이에 따른 법적

    중앙일보

    1980.03.14 00:00

  • 사병복무기간 7월부터 공무원 경력에

    정부는 오는 7월1일부터 ▲일반병 및 단기하사관 ▲전투경찰 ▲방위병 등의 근무경력도 공무원의 재직기간으로 합산시키고 경력인정에 따른 봉급인상을 실시하기로 했다. 총무처는 이에 따라

    중앙일보

    1978.06.03 00:00

  • 보충역 병역의무 33세까지로|미필자 사회진출 돕게

    병무청은 병역미필 보충역의 병역의무를 33세(40년12월31일)까지로 내려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을 내용으로 하는 「보충역 중 의가사 해당자 및 저질 자 정리방안」을 마

    중앙일보

    1973.03.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