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간 통제 없이 인간 죽였다, 핵보다 더 무서운 ‘AI 킬러’

    인간 통제 없이 인간 죽였다, 핵보다 더 무서운 ‘AI 킬러’ 유료 전용

    지난해 연말 서울 상공에 몰래 침투한 북한 무인기. 이 무인기는 그저 날아다니다가 북한으로 되돌아갔다. 그런데 이 무인기가 깡통이 아니라 스스로 자율 비행을 할 수 있다면? 자율

    중앙일보

    2023.04.17 15:23

  • [이번 주 리뷰] 북한의 잇따른 도발…결국 '완패'한 이준석(3~8일)

    [이번 주 리뷰] 북한의 잇따른 도발…결국 '완패'한 이준석(3~8일)

    10월 첫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감사원 #문재인 #국정감사 #노벨상 #프로야구 SSG 우승 #청년ㆍ신혼부부 버팀목 대출 #불개미 #영국 감세 철회 #외환보유액 #이재용ㆍ손정의

    중앙일보

    2022.10.09 05:59

  • "소련을 테러 국가화" 러 법원 '러시아의 양심' 인권단체 폐쇄

    "소련을 테러 국가화" 러 법원 '러시아의 양심' 인권단체 폐쇄

    러시아의 인권단체 '메모리얼 인터내셔널'의 지지자가 28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의 대법원 앞에서 항의하고 있다. "우리가 메모리얼이다"는 문구를 들고 있다. [EPA=연합뉴

    중앙일보

    2021.12.29 14:08

  • [전문]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환영사

    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서 기대하는 생태학적 문명의 세계   [전문]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환영사   안녕하십니까. 이 시대의 화두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제로 한 뜻 깊은 토

    중앙일보

    2020.11.23 00:05

  • 초유의 영사관 사태는 시작일뿐, 시진핑 중국몽 위협하는 美

    초유의 영사관 사태는 시작일뿐, 시진핑 중국몽 위협하는 美

    미국이 지난 7월 21일 텍사스 주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72시간 안에 폐쇄할 것을 요구한 배경은 도대체 무엇일까. 미국이 외교 공관 폐쇄라는 초강수를 던지 배경에는 그간

    중앙일보

    2020.07.26 07:30

  • [채인택의 글로벌 줌업] 80세 이스라엘 대통령, 사별한지 한 달 만에 한국행 왜

    [채인택의 글로벌 줌업] 80세 이스라엘 대통령, 사별한지 한 달 만에 한국행 왜

    이스라엘 국가원수인 레우벤 리블린 대통령의 방한이 예사롭지 않다. 청와대는 리블린 대통령이 14~18일 방한해 15일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 대통령

    중앙일보

    2019.07.15 05:00

  • ‘핵폭탄의 그늘’ 아래서 미안하고 불안하게 살아야지만…

    ‘핵폭탄의 그늘’ 아래서 미안하고 불안하게 살아야지만…

     ━  빠른 삶, 느린 생각    1968년 유엔 주도하의 ‘핵확산방지조약(NPT)’은 남북이 모두가 서명한 것이었으나, 2003년 북은 이 협약으로부터 정식 탈퇴하였다. 그러나

    중앙선데이

    2019.03.30 00:20

  • 영상으로 보는 2018년 국제 주요뉴스

    영상으로 보는 2018년 국제 주요뉴스

    ‘세기의 담판’은 한 번이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두 번째 북미회담은 해를 넘기게 됐다. 1년 내내 트럼프 대통령은 지구촌 이슈를 몰고 갔다. 이

    중앙일보

    2018.12.30 06:00

  • “내년 대선은 후보 단일화 아닌 유권자 단일화로 간다”

    “내년 대선은 후보 단일화 아닌 유권자 단일화로 간다”

    문정인이 만난 ‘친노좌장’ 이해찬 전 국무총리노무현재단 이사장인 이해찬(64) 전 국무총리는 현재 무소속 국회의원이다. 4·13 총선을 앞두고 30년 가까이 몸담은 정통 야당(더불

    온라인 중앙일보

    2016.08.18 15:16

  • [직격 인터뷰] 김영희 묻고 테오 좀머 답하다

    [직격 인터뷰] 김영희 묻고 테오 좀머 답하다

    테오 좀머 전 디차이트 발행인은 7일 본지 김영희 국제문제 대기자와의 대담에서 통일을 위한 조건으로 정치인의 기민함과 주변국과의 협조를 꼽았다. 그는 “북한의 비핵화는 협상의 선결

    중앙일보

    2014.10.10 00:10

  • [삶과 추억] 미 망명 물리학자 팡리즈 타계

    [삶과 추억] 미 망명 물리학자 팡리즈 타계

    팡리즈“나는 중국인들이 그를 영원히 기억하길 바랍니다. 중국 역사에 이런 사상가가 있었다는 사실, 그리고 그가 인권과 민주를 일깨웠다는 사실, 그래서 머지 않아 중국은 그를 ‘국가

    중앙일보

    2012.04.09 00:53

  • [북한 핵실험 관련기사 모음]

    •부시, '유엔안보리 즉각대응' 촉구 의미 •부시, 北핵실험에 유엔 즉각 대응 촉구 •안보리 수일 내 대북 제재결의 채택 전망 •[北핵실험] 이란 국영라디오 '핵실험은 미국 때문'

    중앙일보

    2006.10.10 15:34

  • [me] 여성영화제서 작품 감상 놓치면 환경영화제 가자

    국내 영화제들의 교류가 시작됐다. 작지만 의미있는 교류다. 오는 4월 6~14일 서울 신촌 아트레온극장에서 열리는 '제8회 여성영화제'의 일부 작품이 5월 4~10일 열리는 서울

    중앙일보

    2006.03.08 22:21

  • [20세기신문-1971~75] 이사람

    *** 蘇 반체제 인사 노벨평화상 [1975년 10월 오슬로]소련의 인권 운동가 안드레이 사하로프 박사가 인권.평화운동에 대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핵물리학자였던 그는

    중앙일보

    1999.10.01 00:00

  • 사하로프 人權賞 中 웨이징성 선정

    중국 반체제인사 웨이징성(魏京生)이 24일 유럽의회에서 「96년도 안드레이 사하로프 인권상」수상자로 선정됐다. 魏는 78년 「민주의 벽」대자보 사건으로 15년형을 선고받아14년6개

    중앙일보

    1996.10.26 00:00

  • 유럽회의 人權賞 받은 러 코발료프의원

    22일 올해 유럽회의(Council of Europe)인권상을 받은 세르게이 코발료프 러시아 하원의원은「체첸의 수호자」라할만큼 정열적으로 체첸 인권의수호에 앞장서온 인물이다. 그는

    중앙일보

    1995.06.26 00:00

  • 핵소설 "무궁화꽃..."인기 폭발-250만권 팔려

    『李輝昭박사님 묘소를 참배하러 왔는데 묘소가 어디죠?』 최근핵관련 소설『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가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서울동작구동작동 국립묘지에는 희한한 일이 벌어지고

    중앙일보

    1994.05.23 00:00

  • 실체 드러나는 러시아 비밀도시-舊蘇때 핵실험.생산 맡아

    舊소련의 핵.생화학 무기들에 관한 연구.생산.실험을 담당해온「비밀도시」들이 최근 한꺼풀씩 베일을 벗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지도상에서조차 찾아볼 수 없었던 이 도시들은 외부와철저히

    중앙일보

    1994.01.11 00:00

  • 오늘의 인물소사

    사하로프-1921년 출생. 구 소련의 반체제물리학자. 수소폭탄 제조의 이론적 문제해명에 성공, 32세의 나이에 과학아카데미 정회원이 되었다. 그러나 핵의 중대성을 자각, 핵실험 반

    중앙일보

    1992.05.21 00:00

  • 환경파괴…위기의 현대문명 살리자|『신 과학 운동』바람

    가스에 의한 산업재해와 식수오염 사건 등 이 직접적 생존권 위협으로 현실화되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같은 관심을 반영하듯 학계 내에서는 최근 환경파괴로

    중앙일보

    1991.04.29 00:00

  • 인권운동벌인 "반체제 기수"|타계한 소 사하로프 박사 일대기

    14일 타계한 소련의 저명한 인권운동가 사하로프 박사의 일생은 시련과 고난에 찬 그것이었다. 21년 모스크바에서 출생한 사하로프 박사는 모스크바대에서 물리학을 전공, 45년 소련과

    중앙일보

    1989.12.15 00:00

  • 사하로프 소 의회 진출

    【모스크바 로이터·연합=본사특약】소련의 반체제 핵 물리학자「사하로프」를 비롯, 저명한 개혁지지자들이 21일 새 소련의회 대표로 선출됐다고 소련 관영 타스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타스

    중앙일보

    1989.04.21 00:00

  • 소, 야당 허용요구

    【모스크바 AFP=연합】핵 물리학자 「사하로프」를 비롯한 저명한 소련의 작가 및 과학자 1백여명은 새 정치단체의 결성을 허가하고 이 단체가 경제적·민주주의적 개혁을 지지하는 정기간

    중앙일보

    1988.10.14 00:00

  • 소련내 양심범 모두 2천여명|사하로프 석방 요구

    소련의 반체제 핵물리학자「사하로프」박사는 27일 소련 등 전세계의 모든 정치범들을 석방하라고 호소했다. 「사하로프」박사는 이날 빈에서 재개된 제3차 유럽안보협력회의(CSCE) 에

    중앙일보

    1987.0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