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메가비트 램

    미·일의 슈퍼컴퓨터 개발경쟁에서 일본이 「한발 앞선 듯한」보도가 나오고 있다. 다름 아닌 히따찌(일립)사의 1메가(1백만)비트 램 칩 개발성공 소식. 동경에서 발행되는 일경산업신문

    중앙일보

    1984.01.09 00:00

  • 일, 「1백만 비트 D램」개발 성공

    【동경=신성순 특파원】일본의 히따찌(일립)사는 용량 1메가비트(1백만 비트)의 D램을 세계최초로 개발, 오는 2월 미국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일본의 일경산업신문이 6일 보도했다.

    중앙일보

    1984.01.07 00:00

  • (2)반도체(상)-국내개발 오늘과 내일

    언제부터인가 『반도체를 쥐는 나라가 세계를 지배한다』는 얘기가 자주 인용되고 있다. 좀 과장된 표현이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수많은 첨단기술 가운데서도 반도체가 갖는 특별한 중요성을

    중앙일보

    1984.01.05 00:00

  • 중후장대에서 경박단소의 산업구조로 세계는 미크론기술시대

    64KD램 국내개발 계기로 본 첨단기술 세계는 지금 총성없는 전쟁에 휘말려있다. 바로 첨단기술을 독점적으로 확보하려는 싸움이 그것이다. 최근에 세계가 벌이는 기술경쟁은 경박단소라는

    중앙일보

    1983.12.06 00:00

  • 초정밀 반도체의 개발 생산

    국내 반도체산업의 새로운 도약이 이루어졌다. 삼성 반도체통신이 첨단기술제품인 64KD램반도체를 자체적으로 개발·생산하는데 성공,양산체제을 갖추게 되었다. 그것은 단지 국내 최초의

    중앙일보

    1983.12.02 00:00

  • "2~3년내 2백56KD램도 만들겠다"|세계서 3번째로 64KD램 개발에 성공한 이상준박사|"20여명의 기술진들 오기로 똘똘 뭉쳐 일의 첨단기술수준 바싹 뒤따를 작정”|값싼 반도체 운산능력은 동양인이 우수

    『이제 한개의 징검다리를 놓은데 불과합니다.』 미일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64KD램의 양산기술을 개발해낸 주역인 이상준박사(44·삼성반도체전무) 의 꿈은 벌써 저 너머에 있었다

    중앙일보

    1983.12.02 00:00

  • 일 누를 공세를 개시

    【워싱턴=장두성특파원】그동안 초LSI분야에서 일본에 눌려오던 미국업계가 적극적인 공세를 펴고 있다. IBM사가 최근 세계최초로 컴퓨터용 미머리칩으로서 5백12K비트 DRAM을 발표

    중앙일보

    1983.09.20 00:00

  • 마이크로 컴퓨터 국산화

    ○…16비트 마이크로 컴퓨터의 국산화가 이루어졌다. 한국전자기술연구소와 삼성 반도체통신의 연구팀이 정부의 특정 연구과제로 공동개발에 성공한 이 컴퓨터(사진)는 4∼8메가바이트의 주

    중앙일보

    1983.04.19 00:00

  • 민정 경유인하요구로 유가조정 늦어져

    ★…이란이 지난달31일 마지막으로 유가인하를 통보해옴으로써 국내유가조정작업은 막바지 단계에 들어섰다. 동자부는 현재 국내 정유사들의 지난해 손익상황분석을 거의 끝내고 기획원·재무부

    중앙일보

    1983.04.02 00:00

  • 국내기술수준 어디까지 왔나

    소비수요의 다양화 추세에 따라 다품종소량생산이 유행하고 또한 상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져 모델변경이 빈번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산업용로보트의 지원이 없고서는 생산관리의개선을 이룩할

    중앙일보

    1983.01.01 00:00

  • (3)-미·일의 반도체개발 경쟁 (중)

    보다 작게, 보다 많이, 보다 적게, 보다 빠르게-. 언뜻 보아 전국체전 표어 같은 이 내용은 반도체 산업이 추구하고 있는, 궁극적인 목표를 함축시긴 것이다. 회로를 수용하는 반도

    중앙일보

    1982.11.09 00:00

  • 선진국은 어디까지 가있고 한국은 어느수준에이르렀나|반도체

    미·일을 중심으로한 반도체 부문의 경쟁은 한층 가속화하고 있다. 기억소자의 용량은 현재의 1개 64K비트RAM에서 올 연말이면 2백54K비트RAM이 생산될 전망이다. 일본의 일본전

    중앙일보

    1982.09.22 00:00

  • "휴대용 컴퓨터시대가 열린다"

    반도체기술에 또 하나의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전기는 지난달30일 세계최초로 4메가비트 RAM(수시로 정보를 꺼내어 쓸수 있는 메모리칩)의 상업생산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기술

    중앙일보

    1982.09.06 00:00

  • 컴퓨터 제4세대

    「메가」에서「기가」로」, 기가 에서「테라」로-l. 무슨 암호일까. 사전에서도 쉽게 찾을 수 없다. 바로 오늘의 컴퓨터 문명을 숫자로 얘기할 때 쓰이는 단위. 「메가」는 수소폭탄의

    중앙일보

    1982.06.26 00:00

  • 일본은 산업스파이를 쓸 수밖에 없었다 미 기술 아직도 한수 위

    1953년부터 73년까지 20년간 세계 각국에서 개발된 새로운 기술 5백 건 가운데 미국이 개발한 것이 2백34건으로 압도적이었다. 이에 대해 일본은 미국의 1할 정도인 26건.

    중앙일보

    1982.06.25 00:00

  • 256킬로「비트」시대에 돌입한 반도체산업

    세계의 반도체 산업은 2백56K(25만6천)비트 시대로 돌입했다. 현재 컴퓨터 등에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메모리칩의 집적도가 일반적으로 64K비트인 것을 생각하면 2년 사이에 일약

    중앙일보

    1982.06.14 00:00

  • 반도체정보 노려 각국산업스파이 각축|본사 김건진 특파원 미「시리콘·밸리」를 가다

    『제철공장이 없는 나라는 나라가 아니다』라는 말이 앞으로는 『반도체 생산능력이 없는 나라는 나라가 아니다』라는 말로 바뀔 날도 멀지 않았다고들 한다. 샌프란시스코만 남쪽 샌호제이

    중앙일보

    1982.03.10 00:00

  • 미·소·세른 삼색파 극미 세계에의 도전…입자가속장치

    「빅·사이언스」(거대과학)라는 우주·원자력·해양 등 분야에서만 선진강대국들이 판을 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기초과학에서도 그들은 위력을 마음대로 발휘하고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입자

    중앙일보

    1971.03.11 00:00

  • 전자공학 「기능소자」시대로

    「라디오」· TV· 전화로부터 전자계산기, 우주선 속의 무수한 전자기기에 이르기까지 전자공업의 소산들은 이루헤아릴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런데 오래쓰고 작고 다루기쉽고 싸야하는

    중앙일보

    1968.12.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