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책꽂이] 운명의 한 문장 外

    [책꽂이] 운명의 한 문장 外

    운명의 한 문장 운명의 한 문장(이필재 지음, 스노우폭스북스)=가슴 속에 담아둔 한 문장이 인생을 바꾼다. 유명 CEO들의 그런 문장을 살핀 책이다. “날마다 새로워져야 이루어진

    중앙선데이

    2018.10.06 00:20

  • “영원한 청년 기형도, 그의 시엔 청춘의 통과의례 다 담겨”

    “영원한 청년 기형도, 그의 시엔 청춘의 통과의례 다 담겨”

    경기도 광명의 기형도문학관에서 특별 대담을 가진 임우기 평론가(오른쪽)와 기형도문학관 팀장 김은석 평론가. 임씨는 기형도 유고집을 냈고, 김씨는 기형도 문학박사 1호다. [김춘식

    중앙일보

    2017.12.04 01:00

  • "청춘의 통과의례 빠짐 없이 들어 있어 끊임 없이 사랑받아"

    "청춘의 통과의례 빠짐 없이 들어 있어 끊임 없이 사랑받아"

    빈방에 갇힌 영원한 청년의 이미지로 남은 기형도 시인. 그를 기리는 문학관이 생전 그가 살았던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에 문을 열었다. 기형도 전문가인 문학평론가 임우기(왼쪽)씨와

    중앙일보

    2017.12.03 16:55

  • “사전장례의향서 써놓고 매일 보니 하루하루가 소중”

    “사전장례의향서 써놓고 매일 보니 하루하루가 소중”

    시인 이지선씨가 자신의 안방 거울 앞에 붙여놓은 사전장례의향서를 보고 있다. 그는 “매일 죽음을 생각하며 준비하고 있지만 여전히 너무 막연해 두려운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사

    중앙일보

    2016.03.05 00:52

  • 아직도 법대·의대 타령인가 … 획일성이 우리를 죽인다

    아직도 법대·의대 타령인가 … 획일성이 우리를 죽인다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는 “나무만 봐선 안 된다. 이 나무가 무슨 역할을 하나, 다른 나무와 어떻게 연관돼 있나, 숲에서 이 나무의 역할은 뭔가. 베어버려도 되나 안 되나 알

    온라인 중앙일보

    2013.12.25 07:08

  • 아직도 법대·의대 타령인가 … 획일성이 우리를 죽인다

    아직도 법대·의대 타령인가 … 획일성이 우리를 죽인다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는 “나무만 봐선 안 된다. 이 나무가 무슨 역할을 하나, 다른 나무와 어떻게 연관돼 있나, 숲에서 이 나무의 역할은 뭔가. 베어버려도 되나 안 되나 알

    중앙일보

    2013.12.24 00:04

  • 외규장각 의궤 환수 주역, 박병선 박사 유고집 출간

    외규장각 의궤 환수 주역, 박병선 박사 유고집 출간

    박병선외규장각 의궤 환수의 주역인 고(故) 박병선(1928~2011) 박사의 연구 유고집 『병인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노하다』 제2권이 출간된다. 이 책은 박사가 지난 2008년

    중앙일보

    2013.04.12 00:55

  • [행복한책읽기] 니체의‘망치’ 는 무엇을 부쉈나

    [행복한책읽기] 니체의‘망치’ 는 무엇을 부쉈나

    이제 우리는 동시대의 한국어로 공들여 옮긴 철학자 니체를‘주눅들지 않고’읽을 수 있게 됐다. 국내 중견 철학자들이 5년 간 공동작업한 니체 전집의 출간의 덕이다. 그렇다면‘망치를

    중앙일보

    2005.11.18 21:05

  • [현대사 추적] 死後 110년 명성황후 진짜 사진 가린다

    [현대사 추적] 死後 110년 명성황후 진짜 사진 가린다

    ‘월간중앙’이 명성황후 사진 진위 논쟁과 관련, 새 사진 3장을 입수해 공개한다. 명성황후가 일본 자객의 칼을 맞고 비명에 간 지 110년이 된 시점을 기리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중앙일보

    2005.04.20 10:51

  • [사람 사람] "아버지께 못다쓴 편지 담았어요"

    [사람 사람] "아버지께 못다쓴 편지 담았어요"

    '모습과 말하는 것은 닮은 꼴이지만 아버지의 재능, 부지런함, 명민함을 제대로 물려받지 못한 저는/ 아버지가 하신 일, 아버지가 하시고 싶으셨던 일까지 모두 닮고 싶어/ 아버지가

    중앙일보

    2004.06.29 18:52

  • [故 최종욱 교수 1주기 맞아 유고집 출간] "현실 외면하는 철학 반성하라"

    "철학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다.""현실을 외면했던 인문학이 한국의 현실로부터 외면당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포스트주의는 패배주의와 허무주의의 극단적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중앙일보

    2002.09.12 00:00

  • "남북협상 김규식이 처음 제안"

    "김규식은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거의 유일한 이성적.진보적 정치인이었다." 우사(尤史) 김규식(1881~1950.사진)에 대한 성균관대 국사학과 서중석 교수의 평가다. 이런 표현은

    중앙일보

    2000.08.09 00:00

  • 故 인병무 박사 유고집 '공관복음서의 주체'

    ◇공관복음서의 주제=최근 타계한 신학자 안병무 박사의 유고집.고 안박사의 유일한 신약개론서로 신학이 원숙의 경지에 든 말년에 집필됐다.서구의 신약학이 도달한 결론을 전제로 안박사

    중앙일보

    1997.01.05 00:00

  • 殷千基박사 유고집 출판회

    ○…인천대 대학원장을 지냈던 故 殷千基박사 유고집『韓半島 統一論』『北韓의 對中蘇 外交政策』(도서출판 南芝刊)등 2권의 출판기념회가 19일밤 한국프레스센터 20층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중앙일보

    1994.05.20 00:00

  • 조창현,박영규,이한웅,김종양,안응모,이한수,백기완

    ◇趙昌鉉교수(한양대 지방자치연구소장)는 2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독일 프리드리히나우만재단과 공동으로「단체장 직선제하의 지방자치-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제4차 지방자치정책세미나를

    중앙일보

    1994.05.18 00:00

  • 어느 의사의 수기

    『의사들은 진단을 하고 결과를 본다고 수많은 검사를 한다.그러나 그들중 누구도 환자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일에는 무관심하다』『아내는 병원의 접수하는 아가씨들에 대한 기피증이 생겼다.

    중앙일보

    1994.01.12 00:00

  • 철의장막 소련 뚫어라 함병춘 밀사 파견

    81년10월중순 南山의 국가안전기획부 부장실.兪學聖부장은 소파에서 몸을 일으키며 방문을 들어선 신사를 정중히 맞았다.두 사람의 눈이 마주치는 순간 兪부장의 입술이 떨리듯 열렸다.

    중앙일보

    1993.12.17 00:00

  • 아웅산묘소 순국 함병춘 유고집 한국의문화전통과법

    10년전 버마에서 순국한 咸秉春박사의 유고집『韓國의 文化傳統과 法』이 우리가 걸어온 20세기의 발자취를 정리해야 될 이 시점에서 출간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그의 공직자로

    중앙일보

    1993.12.15 00:00

  • 평생모은 책 모교에 기증|국민대 국문학과 이상보교수

    40여년간 교직에 몸바쳐오다 정년을 맞은 한원로 국문학박사가 자신이 평생 모은 국문학관련 도서 2만여점을 모교에 기증해 훈훈한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3월 국민대학교국문학과를 퇴직

    중앙일보

    1993.05.31 00:00

  • 황산덕 박사유고집 추진

    ◇이해원 서울시장 등 취현 황산덕 박사 유고집편찬위원회 위원들은 11월1일 오후7시 서울 타워호텔 본관 1층 젤코바홀에서 황박사의 타계 2주기를 기념하는 유고집 발간모임을 개최.

    중앙일보

    1991.10.31 00:00

  • 정구충박사 유고집

    대한의학협회장을 지낸 소정 정구충박사(외과학)의 유고집 『한국의학의 개척자』2집이 그의 1주기를 맞아 책으로 나봤다. 4백98쪽, 비매품.

    중앙일보

    1987.12.29 00:00

  • 고 함병춘 박사 유고집

    양승두 교수 (연대·고 함병춘 박사 유고출판간행위원회대표)는 고 함병춘 박사의 유고를 정리해『한국의 법률정치와 문화』(영문)를 펴내고 출판기념회를 8월 1일 하오 4시 30분 호텔

    중앙일보

    1986.07.31 00:00

  • 하성학술상 수상자로

    최재석 교수(고려대·농촌사회학) 가 하성(고 이선근 박사의 호) 학술재단(이사장 황수영) 이 제정한 제2회 하성학술상 수상자로 결정됐다. 시상식은 12일 하오5시 출판문화회관에서

    중앙일보

    1986.05.10 00:00

  • "윤동주의 동생 일주씨도 시인"|건축학 교수지내…형의 시 소개와 창작활동도

    민족시인 윤동주와 그의 작품을 세상에 소개했던 그의 친동생 윤일주씨(58·시인·성대건축과교수) 가 지난달28일 타계했다. 윤씨는 건축학을 전공했어도 형과 마찬가지로 평생을 시인의

    중앙일보

    1985.12.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