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월간중앙] 한덕수 전 총리가 말하는 ‘바이든 행정부 대처법’

    [월간중앙] 한덕수 전 총리가 말하는 ‘바이든 행정부 대처법’

    새 대북 라인 세팅 전까지 북한 도발 자제시켜야 ‘전략적 인내’ 반복 안 돼 기후변화 대응 속 신성장 동력 찾고, 탈(脫)원전 정책은 재고해야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바이든 당선인

    중앙일보

    2020.12.13 16:05

  • 50년전 미국의 경고 "中 핵공격땐 日 1800만명 즉사"

    50년전 미국의 경고 "中 핵공격땐 日 1800만명 즉사"

    중국이 핵실험에 성공한 1960년대, 일본에 대한 핵 공격이 이뤄질 경우 1800만명이 즉사할 것이라고 미국이 일본에 경고했던 사실이 50년여 만에 밝혀졌다.   3일 아사히신문

    중앙일보

    2020.08.03 13:30

  • [월간중앙] 김희상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이 말하는 한·미동맹의 행로

    [월간중앙] 김희상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이 말하는 한·미동맹의 행로

    지소미아 폐기로 주한미군 고립…‘동맹의 배신’ 소리까지 나와 한미연합사 해체, 한·미동맹 와해, 주한미군 철수로 이어질 가능성도   김희상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은 ‘튼튼한 한

    중앙일보

    2019.10.06 00:03

  • [월간중앙] 진보의 설계자들이 바라본 일본

    [월간중앙] 진보의 설계자들이 바라본 일본

    근·현대 진보 적통 이어온 7인(신익희·조봉암·조병옥·윤보선·장면·김대중·노무현)의 선택 과거 얽매이지 않고 현실주의 기초한 포용으로 일본의 자발적 관계 개선 유도   1965년

    중앙일보

    2019.04.18 15:00

  • [김영희의 퍼스펙티브] 볼턴 아닌 트럼프가 협상 주도해야 김정은이 믿는다

    [김영희의 퍼스펙티브] 볼턴 아닌 트럼프가 협상 주도해야 김정은이 믿는다

     ━  북·미 협상 성공하려면   존 볼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존 볼턴이라는 렌즈를 통하면 하노이회담 이후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전개 방향이 더 명확히 보인다. 악(evil

    중앙일보

    2019.03.28 00:07

  • [단독] ‘무력증강, 북한과 협의’ 군사합의 조항 손본다

    [단독] ‘무력증강, 북한과 협의’ 군사합의 조항 손본다

    대규모 군사훈련과 무력증강을 남북이 협의한다는 9ㆍ19 남북 군사합의서 내용을 놓고 군 당국이 수정을 추진 중이다. 정부 소식통은 16일 “9ㆍ19 남북 군사분야합의서의 ‘대규모

    중앙일보

    2018.12.17 02:00

  • “전쟁 증후군 해소에만 20년” 미-베트남 수교 이끈 老외교관의 조언

    “전쟁 증후군 해소에만 20년” 미-베트남 수교 이끈 老외교관의 조언

     “미국과 베트남은 과거 적대적이었던 두 나라가 화해를 한 모범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하지만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20년의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동북아 지역의 다자간 평화체

    중앙일보

    2018.11.29 11:48

  • 볼턴 “북한은 나를 ‘흡혈귀’ ‘인간 쓰레기’라 불렀다”

    볼턴 “북한은 나를 ‘흡혈귀’ ‘인간 쓰레기’라 불렀다”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 [로이터-=연합뉴스]    북한 비핵화 ‘컨트롤타워’인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앞서 자신이 제시한 ‘리비아 모델‘과 ‘완전하

    중앙일보

    2018.05.17 07:44

  • [86년 외교문서]전두환 “당장 한·중 수교 힘들면 통상 대표부라도”

     한·중 간 수교는 1992년 이뤄졌지만, 양국은 냉전기였던 80년대 중반부터 관계 개선을 추진해온 사실이 11일 공개된 당시 외교문서를 통해 확인됐다. 86년 4월 전두환 대통령

    중앙일보

    2017.04.11 06:00

  • 미 'DJ 사면' 전두환 압박…방미계획 발표 연기도

    미 'DJ 사면' 전두환 압박…방미계획 발표 연기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左), 김대중 전 대통령(右). [중앙포토]1985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귀국 문제로 전두환 대통령의 방미 계획 발표가 연기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외교부는 1

    중앙일보

    2016.04.17 18:53

  • 황병서 등이 방한했는데도 북한은 강경발언

    북한의 황병서 총정치국장을 비롯한 대표단이 4일 남한을 방문했지만 북한의 강경 발언은 계속되고 있다. 북한은 4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발표하고 "지난달 23일 캐리 미 국무장관이

    중앙일보

    2014.10.04 16:04

  • 리처드 쿠퍼, 연대 SK 석좌교수로 임용

    리처드 쿠퍼, 연대 SK 석좌교수로 임용

    연세대학교는 리처드 쿠퍼(79·사진) 미 하버드대 교수를 연대 상경대 SK 석좌교수로 임용했다고 16일 밝혔다.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이 학교 에서 국제금융론을

    중앙일보

    2013.04.17 00:11

  • MY STUDY·유웨이어플라이 공동 인터뷰 ⑮ 인천재능대 이기우 총장

    MY STUDY·유웨이어플라이 공동 인터뷰 ⑮ 인천재능대 이기우 총장

    이기우 총장은 “인천재능대학교가 직업교육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 것”이라며 “실질적인 체험형 교육으로 국제적인 전문인을 배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지난 9월, 미국 워싱턴 D.C

    중앙일보

    2012.12.17 02:25

  • [시론] ‘스마트 파워’로 결속된 미·일 동맹

    미국 국민의 흑인 대통령 선택은 ‘정권교체’가 아니라 ‘역사교체’라고 평가할 만큼 세계를 놀라게 했다. 취임 후에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으로 라이

    중앙일보

    2009.02.02 00:58

  • 중, 북·미 양자회담 성사시킨 셈

    미국 국무부의 크리스토퍼 힐 동아태 차관보와 북한 외무성의 김계관 부상이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6자회담 재개에 합의하게 된 데는 중국의 절묘한 외교적 테크닉이 한몫했다는 지적이 나

    중앙일보

    2005.07.12 05:11

  • 북한 외무성 비망록 전문

    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이 발표한 비망록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미국은 조미사이의 핵문제해결을 파탄시킨데 대하여 응당한 대가를 치르게 될것이다 지금 국제사회는 조미사이의

    중앙일보

    2005.03.03 11:13

  • [91-2000]

    1991년 1. 3 : 최의웅(군사정전위 북한측 수석위원), 유엔군측 수석위원을 한국군장성으로 교체하는 것을 반대하는 담화 발표. 1.28 : 김영남(부총리 겸 외교부장), 알렉산

    중앙일보

    2004.10.25 14:04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한반도에서 핵이 터졌다면?

    한반도에서 핵이 터졌다면?

    한국전쟁은 지금의 한반도 상황을 규정지었던 가장 큰 사건이다. 누구도 원하지 않았지만 비극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우리의 삶과 한반도의 미래를 규정짓으며 여전히 유효한 영향력을 발휘하

    중앙일보

    2004.02.26 16:17

  • 미국 뒤흔든 마녀사냥의 광기, 매카시 선풍

    미국 뒤흔든 마녀사냥의 광기, 매카시 선풍

    중국이 공산화되었고 소련이 핵무기를 개발했으며 한국에서 전쟁 가능성이 높아가는 등 냉전적 세계질서가 자리잡아가던 1950년 오늘(2월9일). 조셉 매카시 상원의원은 의회 단상에서

    중앙일보

    2004.02.08 14:02

  • 북 「탈퇴」 유보/핵해결 출발점 남은 과제 산적

    ◎북·미 공동성명에 담긴뜻/북 주장 거의 반영… 외교적 승리/미 「NPT복귀」외 얻은것 없어 북한­미국간에 북한 핵문제를 둘러싼 양국 고위회담이 타결됐다. 지난 2일부터 네차례의

    중앙일보

    1993.06.12 00:00

  • 핵협상도 남북이 주체다(사설)

    북한과 미국은 최근들어 간접적인 통로이긴 하지만 대화의 폭을 넓히며 접촉이 잦아지고 있다. 진행중인 북한·일본의 수교협상과 더불어 한반도정세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주게될 새로운 변

    중앙일보

    1991.06.17 00:00

  • 한미과기협정 다시 체결

    한미 양국은 지난 88년10월에 실효된 과학기술협정을 올해중 최대한 빠른 시일안에 다시 체결키로 합의했다고 방미중인 이상희과학기술처장관이 12일 밝혔다. 이장관은 미국무성의 레지날

    중앙일보

    1989.08.14 00:00

  • (3)|대일 관계 고심 미국도 괴롭다

    미국은 자민당 참패를 가져온 최근의 일본 참의원 선거 결과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자민당의 패배와 우노 수상의 사임은 일본에 대한 미국의 외교·경제 정책에 문제를 야기할지도 모른다

    중앙일보

    1989.07.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