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몽고 유적지『원정발굴』한다|고고·민속·인류학 등 전문가 망라|다리강가 일대 적 석총 집중조사

    국내 몽고학자 16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조사단이 몽고의 유적지에 대한 직접 발굴에 나선다. 한국몽고 비사 학회와 단국대중앙박물관을 주축으로 한 한몽 학술조사연구협회(회장 손보기 단

    중앙일보

    1992.07.13 00:00

  • 민속학자 5명의 몽골기항 보고서

    권오성·김선풍·김태곤·임동권·정병호씨 등 민속학자 5명의 기항을 곁들인 학술조사보고서. 이들 민속학회 당사 팀은 90년 8월 8일부터 1주일간 외몽골·내몽골 전역을 답사한 뒤 몽골

    중앙일보

    1992.04.05 00:00

  • 몽골과의 경협은 "소걸음으로"|한준호

    칭기즈칸의 후예들이 살고 있는 몽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모습이 꼭 우리와 비슷해서 뿐 아니라 그들의 생활·문화종교 등이 과거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각 언론에 특집으로 보도

    중앙일보

    1991.09.17 00:00

  • (13)|민요-「젖 짜는 소리」등 일상생활과 밀접

    몽골의 민요는 짧은 노래(보기노 도)와 그와 유사한 선율에 일상생활과 관련된 가사를 붙여서 부르는 노래들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일종의 노동요라고 볼 수 있는 것에「젖 짜는 소리」

    중앙일보

    1990.11.15 00:00

  • (12)칼춤 병 굿은 제주 넋두리 굿과 흡사|샤먼 춤

    몽골 하면 우선 샤먼(무당)을 상기할 만큼 무속의 발원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 내 몽골에는 무속이 거의 없어졌고 외 몽골이나 소련·만주족들이 살고 있는 곳에만 남아 있다.

    중앙일보

    1990.11.10 00:00

  • (8)서낭당 비슷한 전통적 신앙 대상|오보

    몽골에는 우리나라의 서낭당과 똑 같은 오보가 민간에서 현재도 잘 전승되고 있다. 오보조사에는 한계가 있었다. 안내자에게 오보가 있는 곳을 좀 가 보자고 했더니『그런 미신은 이미 사

    중앙일보

    1990.10.20 00:00

  • (6)몸놀림·장단 우리 춤과 닮아|내 몽골 민속춤

    몽골 하면 우선 우리와 같은 알타이민족이고 풍속과 관습에 비슷한 점이 많아 흥미를 갖게 된다. 그러나 그동안 공산국가라는 체제 때문에 몽골의 문화예술과 우리 문화예술의 교류가 전혀

    중앙일보

    1990.09.27 00:00

  • 시베리아 이르쿠츠크 지역 좌욕 신앙 한국과 "비슷"

    중앙일보사와 대륙연구소(회장 장덕진)가 공동 주관하는 대륙 연구세미나가 지난달 24일 중국·소련문제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김열규 교수(서강대)

    중앙일보

    1990.09.03 00:00

  • (3)제주 돌하루방과 닮은 동 몽골 석인상-훔체로(돌장승)

    몽골에는 우리나라 제주도의 돌하루방이나 전남지방의 석장생과 똑같은 「훔체로 (Xyhyuyy)」라고 부르는 돌장승이 있다. 수도 울란바토르 서부에 있는 만체스촌의 옛 사원터. 약간

    중앙일보

    1990.08.30 00:00

  • (1)강강술래 닮은 풍년 춤 쌀 이는 조리는 「주르」라 불러

    중앙일보는 민속학회의 우리문화와 몽골문화 비교조사(7월25일∼8월10일)에 주기중 사진부기자를 동행시켜 현지 취재토록 했다. 몽골의 민속신앙과 민요·민속무용·신화와 전설·민속음악

    중앙일보

    1990.08.16 00:00

  • "은대 유물 안 나왔다고 『기자조선』부인 어렵다"

    지난 12일자(일부지방13일)중앙 일보에 실린 김정배 교수(고려대)의 글 (중산국 왕릉의 유물만으로 기자조선 실재 단정은 성급)을 읽고 놀라지 않을 수 없어 김교수에게 반문하고자

    중앙일보

    1980.04.22 00:00

  • (3)-

    해방전 일본인학자들이 우리나라에는 없었다고 생각하던 청동기시대와 그 문화의 존재가 해방후의 연구와 새 자료발견 등으로 이제 의심할 바가 없게 되었다. 그러나 그 문화내용이나 편년

    중앙일보

    1976.02.02 00:00

  • 소 「아무르」강 하류에 고대 유적…3백호의 집터와 토기 발굴

    소련의 연해주 지방 「아무르」강 (흑룡강) 하류의 한 섬에서 6천년전 도시의 유적이 발견됐다. 최근 외지에 따르면 이 유적에는 3백호의 집터와 여성용 장신구 돌도끼 돌칼 화살촉 및

    중앙일보

    1975.10.18 00:00

  • 소, 「두개의 한국」존재 시인

    【동경=박동순특파원】소련과학「아카데미」동양학연구소원인 「빅토르·이바노비치·시바노프」씨는 13일 하오 6시 동경에 있는 한국연구원(원장 최서면) 월례발표모임에 소련학자로는 처음으로

    중앙일보

    1973.12.14 00:00

  • (22)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 「캠페인」|한자·한글·언어 - 김방한

    ◇개선에 필요한 기준과 방법 언어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관습적인 체계이므로 보수성이 극히 강하다. 이 보수성은 언어 자체에서나 또는 그것을 기록하는 표기체계에서나 마찬가지다. 그러

    중앙일보

    1967.06.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