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소년중앙] 시드볼트, 사라지는 식재료 종자를 지켜라

    [소년중앙] 시드볼트, 사라지는 식재료 종자를 지켜라

    (왼쪽부터)손채은·주은성 학생기자가 장정원 시드볼트운영실 실장에게 설명을 듣고 있다. 지구에서 식량을 구할 수 없는 날이 온다면 믿을 수 있나요. 전 세계의 식재료·식문화 유지

    중앙일보

    2018.10.01 10:48

  • 일본에 와규 있다면, 한국엔 천연기념물 제주흑우 있다

    일본에 와규 있다면, 한국엔 천연기념물 제주흑우 있다

    서귀포시축협 생축사업장에서 길러지는 제주흑우들. [이수기 기자] 지난달 28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에 위치한 서귀포시축협 생축사업장. 사업장 내에 거대한 축사들이 줄지어

    중앙선데이

    2018.09.08 00:02

  • 세계 종자 전쟁 '삼국지'…'초대형 공룡'이 된 바이엘

    세계 종자 전쟁 '삼국지'…'초대형 공룡'이 된 바이엘

    2014년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는 곡물의 종자가 멸종돼 가면서 극심한 식량난에 시달리는 암울한 미래를 그렸다.    식물의 종자(씨앗)는 생명의 근원이다. 종자에서 싹이 트

    중앙일보

    2018.06.09 06:00

  • [세계 속으로] 87만 종 보관 ‘씨앗계 노아의 방주’…전기 끊겨도 200년간 안전합니다

    [세계 속으로] 87만 종 보관 ‘씨앗계 노아의 방주’…전기 끊겨도 200년간 안전합니다

    노르웨이 스발바르 종자보관소. 100여 개국에서 보내온 쌀·콩·밀 등 다양한 종자들이 있고, 특히 콩만 4만 종이 넘는다. 핵전쟁, 소행성 충돌, 지진 등에도 견디도록 설계돼 있다

    중앙일보

    2015.12.26 00:56

  • DMZ 군 작전로에 생태탐방길 두 개 연다

    DMZ 군 작전로에 생태탐방길 두 개 연다

    사향노루·삵·산양 등 멸종위기종을 비롯해 모두 2710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 보고(寶庫)이자 세계 유일의 분단 현장인 DMZ(비무장지대)가 생태·평화공원으로 다시 태어난다.

    중앙일보

    2012.07.06 01:09

  • 문수산에 200만 점 식물 종자 은행

    문수산에 200만 점 식물 종자 은행

    경북 봉화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고산수목원인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들어선다.  산림청과 경북도는 지난 16일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현지에서 이돈구 산림청장, 이주석 경북도 행정부

    중앙일보

    2012.03.19 01:24

  • [j Novel] 김종록 연재소설 - 붓다의 십자가 3.칼을 베어버린 꽃잎 (10)

    [j Novel] 김종록 연재소설 - 붓다의 십자가 3.칼을 베어버린 꽃잎 (10)

    서기 1231년 몽골 기마군단이 세계적인 문명국 고려를 침략한다. 이듬해 고려 조정은 수도 개경과 본토를 버리고 강화도로 천도하는데 대구 부인사에 모셔져 있던 고려대장경 경판이

    중앙일보

    2012.02.04 01:02

  • 산 아래 식물들 산 위로 전진...식물의 전쟁 한창

    산 아래 식물들 산 위로 전진...식물의 전쟁 한창

    한라산의 해발 1400m 지역에 퍼져 있는 조릿대 군락.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이 일대는 붉은 화산토 벌판이었고 산철쭉 등고산식물만 자랐다. 작은 사진은 온난화로 터전에서 밀려

    중앙선데이

    2011.11.20 04:10

  • “씨돼지·소 지켜라” 축사엔 생석회 눈 온 듯

    “씨돼지·소 지켜라” 축사엔 생석회 눈 온 듯

    구제역이 확산되면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도 비상이 걸렸다. 연구소 산하 가축연구팀 직원들이 8일 오전 한우(씨소) 축사를 소독하고 있다.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제공] 경기도 축산위

    중앙일보

    2010.12.09 00:27

  • 한반도 자생생물 DNA 지키는 ‘코리아 방주’

    한반도 자생생물 DNA 지키는 ‘코리아 방주’

    지난 14일 인천시 서구 경서동의 종합환경연구단지 내에 위치한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수장동. 국립생물자원관의 곤충표본 수장고에서 연구원들이 나비 등 곤충표본의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

    중앙일보

    2010.09.25 00:05

  • [8.8개각] 김태호, 경남지사 6년의 행보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는 2004년 6월부터 지난 6월까지 제32, 33대 경남도지사를 지내면서 어떤 도정과 정치적인 행보를 했을까. 김 총리 후보자의 도백 시절 트레이드 마크는

    중앙일보

    2010.08.08 14:37

  • [내 생각은…] 종자전쟁에 대비해 토종을 키우자

    [내 생각은…] 종자전쟁에 대비해 토종을 키우자

    ‘자원전쟁’ ‘종자전쟁’의 시대가 도래했다. 전 세계적으로 먹을거리에 대한 종자의 중요성이 강화되면서 생물다양성협약을 비롯한 세계식량농업기구(FAO)의 국제조약 발효로 세계 각국은

    중앙일보

    2010.04.02 00:08

  • 국내 멸종 토종 씨앗 34종 반세기 만에 돌아온다

    국내 멸종 토종 씨앗 34종 반세기 만에 돌아온다

    미국이 수집해 갔던 우리의 토종 씨앗이 돌아온다. 콩.팥.시금치 같은 농작물 34종의 씨앗 1679점이다. 지난 5월 4일 목화씨 한 점을 비롯, 지금까지 들깨와 참외 씨앗 280

    중앙일보

    2007.06.13 04:31

  • [생각키우기] 7월 24일

    ①식물의 이름을 아는 대로 적어요. 그리고 그 가운데 우리 자생식물을 골라 분류 체계와 모습.특징.서식 환경 등을 조사해 미니 자생식물도감을 만드세요. ②지구상에서 식물이 반으로

    중앙일보

    2006.07.24 10:08

  • [시민의 힘] "우리 자생식물 우리가 지킨다"

    세계는 지금 '종자 전쟁' 중이다. 각국이 식물 유전자원의 확보 및 신품종.신기술 개발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지난 1백여년에 걸쳐 대부분의 자생 식물이 일본과

    중앙일보

    2000.08.17 00:00

  • 지구촌 종자전쟁시대

    세계는 지금 ''종자 전쟁'' 중이다. 각국이 식물 유전자원의 확보 및 신품종.신기술 개발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지난 1백여년에 걸쳐 대부분의 자생 식물이 일

    중앙일보

    2000.08.16 17:33

  • [지금 지방에선] 정족산 무제치늪 보존대책 환영

    지구가 중병을 앓고 있다. 경제개발로 지구의 허파 격인 숲이 줄어들고 늪지가 사라지면서 곳곳에 기상이변이 잇따르고 있다. 생물의 다양성이 갈수록 줄어들고 자연생태계도 급속도로 훼손

    중앙일보

    2000.03.09 00:00

  • 씨앗戰爭 시대 한국 無방비-국제 新품종기구 가입 안돼

    세계 농업계는 지금「씨앗전쟁」시대.세계무역기구(WTO)체제에서 각국은 자국의 농업을 살리기 위해 종묘회사뿐 아니라 정부차원에서도 좋은 품종의 씨앗(유전자원)을 확보키 위해 혈안이지

    중앙일보

    1995.05.17 00:00

  • 11.보리-다수확 홍성보리 종자로만 명맥

    쌀 못지 않게 우리에게 중요한 식량자원이던 보리도 우루과이라운드(UR)태풍앞에 風前燈火처럼 흔들리고 있다. 쌀을 포함해 수입제한을 해오던 기초농산물 15개 품목중의 하나였으나 97

    중앙일보

    1993.12.17 00:00

  • 2.앉은뱅이밀

    땅에서 완전 멸종된 것으로 작물 연구기관이나 관련 학계에 보고된 토종「앉은뱅이 밀」이 틀림없어 보이는 밀종자가 경남남해군설천면덕신리 몇 농가에서 대를 이어가며 재배해 오고 있는 사

    중앙일보

    1993.10.08 00:00

  • 재래 돼지.앉은뱅이 밀등 토종 멸종 위기

    민족의 생명줄을 이어준 土種이 사라져간다.품종이 세계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재래종 돼지.앉은뱅이 밀 등 일부는 아무도 느끼지 못하는 사이 아예 멸종돼 버렸다.궁핍했던 시절,그

    중앙일보

    1993.09.23 00:00

  • (10)"「시험관 나무」연구에 구슬땀"육종 연구가 윤양씨

    시험관 아기가 있는 줄은 알아도「시험관 나무」가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산림청 산하 임목 육종연구소의 조직배양연구실장 윤양 박사(37)는 건강한「시험관 나무」를 탄생시키

    중앙일보

    1992.07.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