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25)|거제도폭동(3)|남과 북의 포로수용소(17)

    미군도 「도드」준장의 피랍사건을 계기로 비로소 공산포로의 정체를 깨닫고 단호한 태도로 다루기 시작했다. 특히 신임 「유엔」군 사령관 「마크·클라크」대장은 수용소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중앙일보

    1971.09.08 00:00

  • (222)|남과 북의 포로수용소(14)|「도드」준장의 피랍(3)

    「마크·클라크」대장은 공산포로들에게 굴욕적인 양보를 하고 「도드」준장이 석방된 지 이틀만인 5월 12일에 「매튜·B·리지웨이」대장으로부터 「유엔」군 총사령관의 직책을 이어받았다.

    중앙일보

    1971.09.01 00:00

  • (221)남과 북의 포로수용소(13)|「도드」준장의 피랍(2)

    「유엔」군 사령관직을「마크·클라크」장군에 인계하던 중 도드 준장 피랍사건에 직면한 「매듀·B·리지웨이」대장은 이 사건을 자기 책임 하에 단호한 태도로 해결할 결심으로 한국에 비래했

    중앙일보

    1971.08.30 00:00

  • (220)남과 북의 포로수용소(12)|「도드」준장의 피랍(1)|「6·25」20주…3천여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1952년 5월7일 아침 거제도포로수용소장 프란시스·도드 준장은 제76수용소 포로대변인으로부터 면회신청을 받았다. 공산주의자의 흉계나 멀리 북쪽의 평양으로부터 여기 수용소 안에 비

    중앙일보

    1971.08.27 00:00

  • 휴전조인 18돌

    27일은 휴전협정조인 18주년 기념일이다. 53년7월27일 당시 「유엔」군 사령관 「마크·클라크」장군과 북괴대표 남일, 중공대표 팽덕오가 판문점에서 휴전문서에 조인함으로써 3년 동

    중앙일보

    1971.07.27 00:00

  • (137)|대구 사수(5)|낙동강 공방전 (19)|6·25 20주…3천여의 증인 회견·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 전쟁 3년

    낙동강 공방전 때 대구·부산 시민을 비롯한 후방 지역의 주민들이 불안한 나날을 보낸 것은 사실이었다. 전선이 뚫려 적이 침투하게 되면 갈곳은 부산 앞 바다밖에 없으니까 전세의 귀추

    중앙일보

    1971.02.12 00:00

  • 6·25때 중공폭격 원했다

    한국전 당시 주한「유엔」군 총사령관을 지낸바 있는 「마크·클라크」장군은 23일 동경에서 성조 지와의 회견에서 자기는 한국전당시 중공을 폭격하고싶었으며 「푸에블로」호 피납 당시에도

    중앙일보

    1971.01.25 00:00

  • 미군 참전기념비 남산려에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기념전적비가 참전기념공원과 함께 서울 남산중턱에 세워지게 됐다. 전적기념비건립위원장 「마크·W·클라크」장군(3대 「유엔」군사령관)은 건축설계자·조각가 등 관계기

    중앙일보

    1971.01.15 00:00

  • 클라크 장군 내한

    13일 내한한 미국 전적기념비위원회위원장 「마크·W·클라크」장군 (제3대 「유엔」군사령관) 일행은 14일 상오 서울남산지역을 살피고 한국전선에서 희생된 미군용사들의 전적기념비건립자

    중앙일보

    1971.01.14 00:00

  • 71세 클라크장군 과부와 벼락 결혼

    주한「유엔」군사령관을 지낸 「마크·W·클라크」장군이 17일 71세의 고령에 벼락재혼을 했다. 「매리·밀러드·애폴게이트」라는 과부와 예식을 올린 「클라크」장군은 작년10월에 상처하였

    중앙일보

    1967.10.18 00:00

  • (14) 산하

    포성은 멎었다. 그리고 13년이 흘렀다. 그러나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판문점에서 북괴는 비난과 야유와 트집과 욕설을 총탄인양, 여섯 자폭의 「테이블」 이쪽으로 쏘아 대고 있다.

    중앙일보

    1966.07.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