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아가의 돌잔치

    ○…오늘아침은 우리 귀염동이 첫돌잔칫날이다. 잔치라야 가난한 시골에서 별다른게 있을까만은 나대로는 힘겹게 정성을 다하여 차린셈이다. 하얀시루떡과 송편 그리고 미역국. ○…오랜만에

    중앙일보

    1968.06.27 00:00

  • 청실홍실

    ○…또비가오려나.푹가라앉은잿빛하늘이무겁게만보인다. 어제의비로 젖은땅에조심스FP가마니를깔고많지않은「메리야스」들을정리하고있을때다. 『이,애들러닝·샤쓰얼마요?·』 여인의 카랑카랑한목소리

    중앙일보

    1968.06.20 00:00

  • 일손이 모자란다|생산비 안나와 땅 방매

    제철을 맞은 농촌에 일손이 모자란다. 많은 청장년이 군에 갔거나 도시의 막벌이 일자리를 찾아 농촌을 버렸기 때문에 거친 일이 많은 농촌에는 이익보다 미련에 묶여 농촌을 버리지 못하

    중앙일보

    1968.05.02 00:00

  • (5) 영좌제-평창 도암면

    고산지대 특유의 안개가 피어올랐다. 깎아지른 태백줄기, 골짝길이 막히면 구름도 쉬어야 넘는다는 재-영좌의 마을「들암」(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용산2리)과 「봉두곤」(봉산리)은 그 너

    중앙일보

    1967.09.19 00:00

  • (2)종가촌|경북영덕 무안 박씨 일가

    『워데 다른 성씨를 못 들어오게 하는 깁니꺼? 안 들어오는 기제』-종가마을사람들의 말은 한결같았다. 경북영덕군축산면도곡1동 번개(번포)마을은 무안박씨들만이 사는 마을. 동리에서 올

    중앙일보

    1967.09.12 00:00

  • (67) 역사의 고향(31) 초파일

    음력 4월 초파일(5월16일)―불교도만의 축제일은 아니다. 대자대비한 성인 석가모니의 나신 날이기 때문에 성대히 기념하는 것이기도 하려니와 이 땅의 사람들은 오히려 연중의 중요 명

    중앙일보

    1967.05.13 00:00

  • "채석장 소음 멈춰주오" 진정을 묵살

    서울 성북구 삼양동 산108 박용출(52)씨 등 인근 주민 1백40여명은 마을 한가운데 있는 채석장(주인 오형노·김성덕)의 「다이너마이트」폭발을 멈춰달라고 치안국과 서울시, 서울시

    중앙일보

    1967.04.05 00:00

  • 구라사업 엉망|환자끼리 절단수술

    국립소록도 나병원은 의사 아닌 환자에게 환자치료를 맡겨 환자의 팔·다리를 마구 잘라 불구를 만들고 있는가하면 치료약도 부족한데다 치료가 끝난 환자를 오래 수용하여 회복시킬 수 있는

    중앙일보

    1967.03.11 00:00

  • 풍년송에 한시름 덜고

    하늘은 하루하루 비켜서고, 먼 산들은 한 걸음 한 걸음 눈앞에 다가선다. 대낮 볕 살은 어딘가 여릿하고 아침저녁 바람결에서 은밀히 어른거리기만 하는 계절의 새 발치. 지금 시골에서

    중앙일보

    1966.08.23 00:00

  • 신문 배달 이색 지대

    쉰일곱살난 신문 배달원-그의 보조 배달원으로는 열일곱살 난 막내아들이 손을 거들고 있다. 이 부자 배달원은 중앙일보 청량리 보급소에서 일하는 우기명(57·용두동 238·10통 3반

    중앙일보

    1966.04.05 00:00

  • 입춘|두둥실 첫 나들이

    살얼음을 깨고 백조의 홰치는 소리에 봄날이 소스라쳐 깬다. 한 순간 생기가 돈다. 다시 가라앉는 고요. 그 고요를 뚫고 백조들은 쏟아지듯 퍼런 하늘을 가로질러 날고 혹은 삼삼오오

    중앙일보

    1966.02.04 00:00

  • (상)한국의 새벽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 새벽이 찾아온다. 다시 동이 트는 새벽에 보다 나은 날을 기대해보는 버릇이 믿음처럼 굳어진 땅. 새벽에 일어난 큰일들은 많았어도 새벽을 찬미한 시와 노래는

    중앙일보

    1965.09.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