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자주 대 동맹 … 한국은 왜 분열 강조하나"

    "자주 대 동맹 … 한국은 왜 분열 강조하나"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아태 담당 부차관보(오른쪽)가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와 27일 미 하원 한·미 동맹 청문회에 참석하기 앞서 대화하고 있다. [워싱턴 AP=연합

    중앙일보

    2006.09.29 04:45

  • 하필 한·미 협상 중에 …

    한.미 간의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과 관련해 미국 측 협상 대표인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아태 부차관보의 발언에 우리 정부가 고심하고 있다. ◆ 전작권 관련=롤리스 부차관보

    중앙일보

    2006.09.29 04:44

  • 김근태 "한나라엔 아직도 5공 달력 걸려 있나"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 논의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한나라당 2차 방미단의 활동을 맹비난했다고 프레시안이 보도했다. 김근태 열린우리

    중앙일보

    2006.09.25 15:14

  • 영화 괴물 뒤의 반미감정도 대상

    한.미 전시작전통제권 논란과 관련, 미 하원은 27일 한.미동맹 청문회를 열고 전작권 이양 현황을 청취한다. 워싱턴 소식통은 "27일 오후 하원에서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주재로 '한

    중앙일보

    2006.09.18 04:24

  • 미국 전직 국방장관·주한미군사령관 "전작권 조기 이양 반대"

    미국 전직 국방장관·주한미군사령관 "전작권 조기 이양 반대"

    한국뿐 아니라 미국의 일부 전직 국방장관.장성들도 전시 작전통제권(전작권)의 조기 한국 이양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나라의 최고 군사전문가들이 한국의 전작권 단독 행사

    중앙일보

    2006.09.11 04:30

  • "북한이 없애고 싶은 셋 중 둘 노 정부서 해결"

    "북한이 없애고 싶은 셋 중 둘 노 정부서 해결"

    사진=김태성 기자 김희상(사진) 전 청와대 국방보좌관은 "북한은 비무장지대 (남측) 선전물과 한미연합사를 없애고 북방한계선(NLL)을 철폐하려고 했다"며 "북한이 가장 없애고 싶어

    중앙일보

    2006.08.08 05:04

  • "한·미, 문서 합의했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단독행사(환수)가 이뤄지면 주한미군이 철수할 것이라는 우려와 관련해 7일 "주한미군이 지속적으로 주둔한다는 내용의 합의 문서를 한.미

    중앙일보

    2006.08.08 04:41

  • 서주석 막판 뒤집기 … '이종석 라인' 약진

    서주석 막판 뒤집기 … '이종석 라인' 약진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비서관(이하 안보수석) 등 정부 외교안보 라인에 대한 인사가 마무리된 15일 오후 국방부 청사 일각에선 볼멘소리가 나왔다. 안광찬 국방부 정책홍보본부장의 수

    중앙일보

    2006.02.16 05:09

  • 미, 중국에 한국전 실종자 기록 요청

    미국 국방부 고위관리들은 20일 한국전쟁 당시 실종된 미군들의 행방에 대한 단서를 얻기 위해 중국의 군사 기록을 검토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줄 것을 중국에 요청했다. 도널드 럼즈펠드

    중앙일보

    2005.10.21 05:28

  • 제4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7월 7일

    주제 : 한미동맹과 국방개혁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1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5차] 국방부는 지난 반세기동안 북한과 대치한 특수

    중앙일보

    2005.09.24 10:57

  • "한반도 관련 결정 체니 손에 달려"

    구독료를 받고 e-메일을 통해 워싱턴 정가의 소식을 전하는 '넬슨 리포트'의 크리스토퍼 넬슨(61)이 작성한 보고서 하나가 물의를 빚고 있다. 문제의 보고서는 미국 정부 및 의회,

    중앙일보

    2005.07.01 04:37

  • [7개월 만에 한·미 정상회담] 럼즈펠드 예상 밖 배석에 촉각

    [7개월 만에 한·미 정상회담] 럼즈펠드 예상 밖 배석에 촉각

    ▶ 노무현 대통령이 11일 새벽(한국시간) 한.미 정상회담장인 백악관 오벌오피스에 들어서며 배석한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맨 오른쪽은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

    중앙일보

    2005.06.11 05:04

  • [시론] '사진 촬영용' 6·15행사 안 된다

    지난 5월 19일 막 내린 남북 차관급회담은 북한에 대한 비료 지원의 대가로 6월 15일 평양에서 열릴 민족통일대축전에 장관급 대표단 파견과 6월 21일 남북 장관급회담의 성사를

    중앙일보

    2005.05.31 09:38

  • [시론] '사진 촬영용' 6·15행사 안 된다

    지난 5월 19일 막 내린 남북 차관급회담은 북한에 대한 비료 지원의 대가로 6월 15일 평양에서 열릴 민족통일대축전에 장관급 대표단 파견과 6월 21일 남북 장관급회담의 성사를

    중앙일보

    2005.05.30 20:48

  • 미국, 평양 체면 세워줄까

    북한과 미국이 핵 문제를 놓고 '체면싸움'을 벌이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폭정의 전초기지' 발언에 대한 사과다. 미국에 대한 중국의 주문은 두 가지다. 첫째, 북한을 '폭정의 전

    중앙일보

    2005.05.14 05:08

  • 북핵 위기 고조… 선제공격설도 나와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과 관련해 미국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게 전개되고 있다. 주요 언론에서'대북 선제공격설'이 나오고 관리들도 북한에 대한 미국의'억지력'을 강조하는 발언을 거듭하는

    중앙일보

    2005.05.08 15:29

  • "최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2발"

    북한이 지난 1일 동해상에 발사한 미사일은 두 발이었다고 리처드 롤리스 미국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이 밝힌 것으로 요미우리(讀賣)신문이 6일 보도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중앙일보

    2005.05.07 05:25

  • 한국 "개념계획으로 유지하자"

    한국이 '개념계획 5029'를 작전계획으로 격상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 발전시켜 나가자고 미국 측에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 국방부 소식통은 1일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

    중앙일보

    2005.05.02 05:24

  • [꼬리문 군사현안 한·미 왜?] 정부 대미 외교의 '큰 축'

    한.미안보정책구상(SPI) 첫 회의가 열린 지난 2월 3일 저녁. 양국 대표단이 용산역 뒷골목의 H삼겹살집에 모였다. 안광찬 국방부 정책실장과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부차관보를

    중앙일보

    2005.04.12 05:16

  • [꼬리문 군사현안 한·미 왜?] 미국, 만만찮은 '반한 감정'

    지난 1월 한국국방연구원(KIDA)은 미국에 연구원들을 파견했다. 미국의 정.관계와 연구소 인사들을 면담하기 위해서다. 한.미 관계에 대한 이들의 의견을 듣는 게 목적이었다. 면면

    중앙일보

    2005.04.12 05:14

  • 바우처, 주한 미국대사 되나

    바우처, 주한 미국대사 되나

    리처드 바우처(사진) 미 국무부 대변인이 5년 만에 물러났다. 백악관은 24일 숀 매코맥(40)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이 새 국무부 대변인으로 지명됐다고 밝혔다. 바우처의

    중앙일보

    2005.03.25 18:55

  • "바우처 미 국무부 대변인 주한 미 대사 가능성"

    "바우처 미 국무부 대변인 주한 미 대사 가능성"

    리처드 바우처(사진)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차기 주한 미 대사로 기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넬슨 리포트가 7일 보도했다. 넬슨 리포트는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바우처를 신임한다

    중앙일보

    2005.03.08 18:48

  • 주한 미국대사 후보 3명으로 압축

    주한 미국대사 후보 3명으로 압축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로 내정된 크리스토퍼 힐 주한 미국대사 후임으로 3명의 후보가 압축됐다고 워싱턴 소식통이 전했다. 마이클 그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

    중앙일보

    2005.02.03 18:12

  • 미국·중국 사상 첫 국방정책회담

    중국과 미국이 사상 처음 국방정책 회담을 열었다. 회담을 통해 중.미는 양국 간 군사부문의 의견교환 채널 확보와 군사교류 증진방안 및 대만문제를 논의한다. 중국을 방문 중인 리처드

    중앙일보

    2005.02.01 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