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동해 「한국해」로 표기 고지도 발견

    ◎1777년 이 제작… 「일본해」뒤집을 중요사료/해군 입수 공개… 유엔 지명회의에 제출키로 한반도 동쪽바다(동해)를 「한국해」(MARE DI COREA)라고 표기한 18세기 고지도

    중앙일보

    1992.09.07 00:00

  • “「일본해」표기 「동해」로 바로잡자”

    ◎남북한,유엔회의서 대일공동전선 【뉴욕=박준영특파원】 남북한과 일본이 한반도와 일본 사이에 있는 바다 이름을 놓고 유엔에서 정면대결을 벌이고 있다. 26일부터 열리고 있는 제6차

    중앙일보

    1992.08.29 00:00

  • 두만강 개발(분수대)

    두만강이 오늘의 한·중 국경선으로 굳혀진 것은 구한말 순종 융희3년(1909년)이었다. 일제가 만주철도 부설권을 얻어내는 대가로 이 강을 조·청국경의 경계로 삼는 양보를 했던 것이

    중앙일보

    1991.10.24 00:00

  • 일본의 뿌리 한국문화 제5부 (1)우뚝 선 고려신사에 망명의 한 "꿈틀"

    본사가 후원하는 동국대 일본학연구소 학술조사단이 일본의 심장부인 관동지방일대 현지조사를 마치고 돌아왔다. 이번 조사는 일본전역에 흩어져 있는 우리문화의 발자취를 추적하고 재정리하기

    중앙일보

    1991.09.30 00:00

  • 분단 40여 년…북한 행정구역 어떻게 변했나|곳곳에 「김일가」 이름 딴 지명

    분단 40여년이 경과하면서 이북 출신 실향민들에게조차 낯선 북한지명이 늘어나고 있다. 북한이 지명을 모두 한글로 표기하는 데다 행정구역의 빈번한 개편 및 1천여 개의 지명개명이

    중앙일보

    1991.06.26 00:00

  • 「화합의 가락」에 하나된 재일 동포

    환일본해(동해) 국제 예술제(2∼5일, 일본 쓰루가시) 첫 머리에 민단·조총련 재일동포들은 숙적과 한판 대결이리도 벌이듯 남북으로 나뉘어 중앙 국악 관현악단과 평양 음악무용단에 응

    중앙일보

    1991.05.08 00:00

  • 본토­대만 학술교류 서둔다/2년만에 다시 가본 중국

    ◎「손문과 아시아」학술회의 참가기/정치성 배제등 세가지 전제/민족동질성 앞엔 체제 무색 2년만에 다시 중국을 방문한 목적은 「손문과 아시아」를 주제로 한 국제학술토론회에 참가하기

    중앙일보

    1990.09.10 00:00

  • 일본의 뿌리 한국문화 제4부 |곳곳마다 신라 영향받은 신사

    7월 하순에 접어들면서 이곳 일본해(동해) 연안은 장마가 걷히고 맑은 날씨가 계속되기 시작했다. 맑은 날씨와 함께 시작된 무더위는 오히려 장마가 계속됐으면 하는 생각마저 들게 했지

    중앙일보

    1990.03.26 00:00

  • 제4부(1) 북륙등 곳곳에 변진족 유물

    동국대 일본학연구소(소장 김사엽) 학술조사단이 일본열도의 중심부인 근기지방북부와 우리의 동해일 인 일본해연안지방에 대한 현지조사를 마치고 돌아왔다. 이는 일본전역에 흩어져있는 우리

    중앙일보

    1990.03.19 00:00

  • 일본, 국가주의교육 부활

    【동경=최철주 특파원】일본 문부성은 10일 초·중·고등학교의 새로운 학습지도 요령안을 발표, 기념식전에서 국기게양·국가제창을 의무화하고 이를 어기면 처벌하겠다고 언급해 『국가주의

    중앙일보

    1989.02.11 00:00

  • (10)꼭둑각시놀음 김재원

    남사당은 저들끼리만 통하는 특이한 암호의 말을 잘쓴다. 이른바 변 (은어) 이다. 여러해동안 남사당패와 생활하면서 조사한 심우성씨의 집계에 의하면 무려 8백단어를 헤아린다. 그 숫

    중앙일보

    1988.06.07 00:00

  • 「이어도」는 전설로서만 존재한다.

    올봄에는 제주도 서남쪽에 있다고 전설되는「이어도」에 대한 화제가 전국에 만발이다. 민간전설, 그것이 온 국민의 화제거리로 등장했다는 사실은 우리들에게 찌든 일상에서 벗어난 보라빛

    중앙일보

    1984.05.24 00:00

  • 예약했던 경운기 농협에서 인도|병원주변 의료브로커 단속 의뢰|위반운전사 단속 신속처리 지시

    광장란에 실린 독자들의 투고내용에 대해 관계기관이 조사·조치한 사항을 통보해놨기에 알려드립니다. ▲계약한 경운기 제때 공급안해 (5월 28일자)=4월초 예약한 경운기를 5월20일이

    중앙일보

    1981.06.18 00:00

  • 『바다선 해리』 유권해석

    북괴의 경제수역·해상군사경계선 등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정부자료와 외신 등에 「마일」과 해리가 섞여서 쓰여지고 있어 혼선. 1일 상오에 보도된 북괴의 군사수역은 외신을 그대로 옮겨

    중앙일보

    1977.08.03 00:00

  • 한해와 일본해

    「루손」(Luzon)은 「필리핀」원주민의 언어이다. 『배를 젓고 있다』는 뜻. 오늘날, 「필리핀」제도의 가장 큰 섬인 「루손」도가 그 이름을 갖게 된 것에는 유래가 있다. 「스페인

    중앙일보

    1974.06.06 00:00

  • 일본해는 본래 한해였다-2백3년전 브리타니카 초판에 기록

    우리민족이 옛날부터 동해라고 부르고 있는 한반도 동쪽의 바다는 최근세에 이르러 해외각국에서 일본해(SEA OF JAPAN)라고 불려져 현재 각국의 지도와 해도에는 예외 없이 일본해

    중앙일보

    1974.06.05 00:00

  • 『삼국사기』의 종합적 검토

    『삼국사기』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심포지엄」이 4일 서울대 문리대에서 베풀어졌다. 진단학회가 주선한 이「심포지엄」에선 이우성(성대) 이용범(동대) 이기문(서울대) 제교수의 발표에

    중앙일보

    1974.05.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