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울-인천 문화기반 넓히기 어깨동무

    서울을 문화가 살아 숨쉬는 도시로-. 서울과 인천시가 문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 문화 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문화재단이 설립되는가 하면 공연장 등

    중앙일보

    2003.01.08 19:32

  • 부산·울산·경남 새해 역점 시책

    부산·울산시와 경남도는 올해 시민복지 향상에 힘쓰기로 했다.또 부산시는 세계 일류도시 건설을 본격 추진하고 울산은 산업수도 기틀을 다지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경남도는 전략산

    중앙일보

    2003.01.02 18:41

  • 2부-⑫ 군산지역 특구 지정에 전력 전북 :서해안시대 물류-생산 전진기지

    이른 새벽이면 중국 산둥(山東)지방의 닭울음 소리가 들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북 군산시는 중국 대륙과 가깝다. 상하이(上海)까지 4백30해리(7백96㎞), 칭다오(靑島)항은

    중앙일보

    2002.12.09 00:00

  • 西海의 베네치아로… 방조제 중단이 급선무

    환경보존이냐 개발이냐로 논란을 빚어온 새만금 지역을 '바다 도시'로 개발하자는 대안이 제시됐다. 2일 서울 서소문 명지빌딩에서 열린 '새만금 바다 도시'를 주제로 한 국제학술회의

    중앙일보

    2002.12.03 00:00

  • 2부-④ '멋과 맛' 알리기 팔 걷어붙인 광주:"주요거리 환경 정비 시급"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 인프라 구축 사업은 도시환경을 살리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합니다." 광주시가 역사·문화적 자원을 바탕으로 한 지역 정체성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

    중앙일보

    2002.11.19 00:00

  • 2부-④ '멋과 맛' 알리기 팔 걷어붙인 광주:"21세기엔 굴뚝산업보다 문화산업"

    빛 고을 광주(光州)는 멋과 맛이 살아 숨쉬는 예향(藝鄕)으로 불린다. 식당·다방 등 사람이 모이는 곳이라면 동양화 한 폭과 서예 한 점 정도는 당연하다는 듯이 벽면을 장식하고 있

    중앙일보

    2002.11.19 00:00

  • 강남북 균형발전①

    "10년 이내에 주거는 '강북이 더 좋다'는 인식을 심어놓겠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내놓은 강북 개발의 슬로건이다. 수십년간 누적돼온 강남북간 격차를 해소, 균형발전을 이루고 강북지

    조인스랜드

    2002.10.18 09:03

  • 개발 밀도 줄이고 기반시설 우선 확보 허술한 법 정비 공급 위주 정책 바꿔야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서울의 마구잡이 개발이 형식적으로는 합법적인 틀안에서 이루어졌다고 지적한다. 도시계획법상 지정된 용도와 용적률·건폐율을 따랐으며, 도로·녹지공간 기준도 지켰다

    중앙일보

    2002.10.02 00:00

  • [난개발몸살서울]도시계획도 무시하고 "일단 짓고 보자"

    외국인의 눈에 서울은 이상한 도시다. 보기에 멀쩡한 아파트 벽에 재건축을 '경축'하는 플래카드가 내걸리기 때문이다. 강남에서 영어 강사로 일하는 캐나다인 엘 하워드(59)는 "집

    중앙일보

    2002.09.24 00:00

  • 동대문~남산 문화상업지구:동대문商圈 '패션1번가'로 꾸미자

    사대문 안 서울은 역사도시 구역과 현대도시 구역으로 이원화돼 있다. 역사도시 구역은 경복궁·창덕궁·종묘와 북촌이다. 현대도시 구역은 경복궁~남대문 축의 중심 업무지구와 창덕궁~남

    중앙일보

    2002.09.13 00:00

  • 동대문~남산 문화상업지구:민간·공공 역할분담 방안 있어야

    동대문 시장을 남산 문화 인프라와 엮어 문화 상업지구로 만들자는 김교수의 제안은 단순한 상업적 축제의 장소를 창조적인 공간으로 승격시키자는 발상으로 읽힌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중앙일보

    2002.09.13 00:00

  • 北村의 역사 특구化:경복궁~창덕궁 라인을 세계적 전통 공간으로

    지금까지 전개되고 있는 '북촌 살리기'는 아쉽게도 한옥을 보존하자는 수준이다. 그나마도 하루가 다르게 파괴되거나 모양새가 달라지고 있어 안타까움이 더하다. 가장 시급한 일은 6백

    중앙일보

    2002.09.06 00:00

  • 亞게임 이어질 부산 : 7년간 1 조 투입 "일류도시 멀잖다"

    부 산시는 2002 월드컵 캐치프레이즈를 '세계 도시 부산'으로 정했다. 이 대회를 계기로 도시환경·경제수준·시민의식 등 모든 면에서 세계의 일류 도시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중앙일보

    2002.04.15 00:00

  • 남악 신도시 등 인터넷서 가상체험 한다

    전남 무안군 남악 신도시와 섬진강 자연생태공원을 사이버 공간에서 가상체험할 수 있게 된다. 전남도에 따르면 정보통신부가 최근 확정한 2002년 정보화 지원사업에 전남도의 사이버

    중앙일보

    2002.04.01 00:00

  • 사이버축구 'e-월드컵'연다

    월드컵 공식 스폰서인 코카콜라와 중앙일보가 공동 개최하는 '2002 코카콜라 월드 사이버컵'대회는 세계 16개국 대표들이 가상의 공간에서 사이버 축구실력을 겨루는 빅 이벤트다.

    중앙일보

    2002.04.01 00:00

  • [삶과 문화] 한국은 문화를 팔아야

    이제 2002월드컵 행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스포츠 관광특수도 좋지만 이번 기회에 질 높은 '삶과 문화'가 하나로 숨쉬는 한국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하필이면

    중앙일보

    2001.12.22 00:00

  • [삶과 문화] 한국은 문화를 팔아야

    이제 2002월드컵 행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스포츠 관광특수도 좋지만 이번 기회에 질 높은 '삶과 문화'가 하나로 숨쉬는 한국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하필이면

    중앙일보

    2001.12.21 17:55

  • [주말 가볼만한 곳] 청주 한국공예관

    한국공예관은 청주가 자랑하는 공예작품 전시공간이다.지난 9월 문 연 이곳은 지역 공예산업의 중요한 인프라로서의 기능도 한다. 1999년과 올해 2차례 국제 공예비엔날레를 개최했던

    중앙일보

    2001.12.15 00:00

  • 거품 속의 비수 같은 숨은 예술가를 찾아서

    한 작가를 평가하는 가장 큰 기준은 무엇일까? 당연히 작품의 질 아니냐고 반문할 사람들이 많겠지만, 적어도 한국 미술계에서 작품의 질은 ‘선택사양’에 지나지 않는다. 화랑주와 컬렉

    중앙일보

    2001.10.20 09:27

  • [발언대] 판교는 첨단단지로 육성해야

    며칠 전 건설교통부가 판교개발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를 적극 환영한다. 판교 지역은 지난 25년여 동안 개발제한구역에 준해 관리돼 온데다 형질변경 허가 및 건축허가 제한구역으로 고

    중앙일보

    2001.06.20 00:00

  • [발언대] 판교는 첨단단지로 육성해야

    며칠 전 건설교통부가 판교개발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를 적극 환영한다. 판교 지역은 지난 25년여 동안 개발제한구역에 준해 관리돼 온데다 형질변경 허가 및 건축허가 제한구역으로 고

    중앙일보

    2001.06.19 17:31

  • [지방을 살리자 2부] 8. 경북-유교문화권 개발

    "원더풀!" 1999년 4월 21일 경북 안동시 하회마을을 방문한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입에서 탄성이 흘러나왔다. 충효당 대청마루에서 양반 종가댁의 유교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중앙일보

    2001.05.16 00:00

  • 아태(亞太)이론물리센터 포항공대로 이전

    포항공대에 국제 연구센터가 들어선다. 아시아-테평양 이론물리센터(소장대행 겸 사무총장 정복근.鄭福根.경희대 교수)는 현재 서울 홍릉에 있는 아태이론물리센터(APCTP)를 오는 10

    중앙일보

    2001.05.03 12:57

  • 이제 호텔에서도 채팅한다!

    텔 체크 인과 동시에 컴퓨터가 켜져 객실에 들어서면 메일을 점검하고 업무를 체크할 수 있다.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는 지루한 호텔 생활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국내 20여 특급호텔들

    중앙일보

    2001.03.14 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