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 남북시대] 실향민·접경지역 주민 표정

    이산가족 남북 고향방문단이 광복절에 즈음해 교환된다는 소식이 전해진 15일 대한적십자사.이북도민회.통일부에는 실향민들의 방문과 전화가 폭주해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었다. 휴전선 접경

    중앙일보

    2000.06.16 00:00

  • [남북 정상회담] "이렇게 쉬운 길인데…"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13일 오전 평양 순안공항에서 얼굴 가득 환한 미소를 지으며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두 손을 마주잡는 순간 전국은 감동의 물결에 휩싸였다. 시민들은 TV를

    중앙일보

    2000.06.14 00:00

  • [거기 휴전선이 있었네] 3.'역설의 땅' 판문점

    남북한 사이를 마음대로 넘나들 수 있었다. 처음에는 "저 경계선을 넘어가도 되느냐" 고 조심스레 물어봤다. 괜찮다는 말에 두렵고도 들뜬 마음으로 답사단 일행 중 맨 먼저, 그것도

    중앙일보

    2000.05.24 00:00

  • [거기 휴전선이 있었네] 1. 국토인식을 바꾸어 놓았다

    중앙일보는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과 6.25 50주년을 앞두고 문화계 인사 8명과 본지 기자 등 10명으로 '휴전선 답사단' 을 구성, 6박7일 일정으로 지난 4일 특파한 바 있다

    중앙일보

    2000.05.15 00:00

  • [정상회담] DMZ 대성동 마을 반응

    "이게 정녕 꿈은 아니겠지요. " 남북회담 성사 소식이 전해진 10일 오전 10시. 시냇물 하나를 사이에 두고 북한과 맞닿아 있는 비무장지대 내인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 대성

    중앙일보

    2000.04.11 00:00

  • 대통령 고향서 동서화합 축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고향인 전남 신안군 하의도에서 25일 동서화합 한마당 잔치가 열린다. 金대통령 취임 2주년을 맞아 대통령 생가 터인 후광리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하의

    중앙일보

    2000.02.25 00:00

  • [사진설명]비무장지대 졸업식

    15일 오전 비무장지대 자유의 마을 대성동초등학교 32회 졸업식이 열렸다. 한복을 입은 7명의 졸업생들이 중립국감독위 대표들로 부터 기념품을 받고 있다. 안성식 기자

    중앙일보

    2000.02.15 19:20

  • [다시 가본 고엽제 현장] 6~7년간 죽음의 땅 지금은 숲으로 복원

    휴전선 일대 비무장지대 중 지난 68~69년 고엽제가 살포된 지역은 그후 6~7년 동안 동식물이 살지못하는 죽음의 지역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기도 연천군의 한 주민은 "당

    중앙일보

    1999.11.19 00:00

  • 민통선안에 네번째 정착촌 마련…내년 6월까지 완공

    남북한 접경지역인 민간인 출입통제선 북쪽에 실향민들을 위한 네번째 정착촌이 조성된다. 경기도와 파주시는 4일 내년 6월까지 파주시 진동면 동파리 일대 3만4백85평에 실향민 정착촌

    중앙일보

    1999.09.05 00:00

  • [서해교전] 접적지역 이모저모

    접적지역 주민들은 15일 평상시와 같이 생업에 종사하면서도 시시각각 뉴스를 챙기는 등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최북단 마을인 비무장지대 (DMZ) 내 경기도파주시군내면조산리 대

    중앙일보

    1999.06.16 00:00

  • 머슴살다 입대 전사한 이등상사 50년만에 국립묘지로

    지난 49년 북한군과의 전투에서 전사, 50년째 대전시동구대성동 식장산 기슭에 잠들어 있던 '육군 보병 이등상사 송삼성 (宋三成)' 이 마을 주민 최찬식 (崔贊植.45.상업) 씨와

    중앙일보

    1999.06.02 00:00

  • [고은의 북한탐험]11.멀리서 본 구월산

    평양에서 황주까지 29㎞를 달렸다. 훤한 하늘과 들녘이었다. 황주 일대는 대동강을 건넜다고 해서 달라지지 않고 평안남도 서부 일대와 드넓은 그대로 이어진 평야였다. 그런 들녘이 서

    중앙일보

    1998.10.22 00:00

  • [되돌아 본 97 사회상]97년 사회 일지(2)

    〈1月〉▶7일 민주노총 노동법개정 반발 파업, 4개 방송사 파업 ▶15일 서울.부산 지하철, 5대도시 시내버스 파업 돌입▶21일 민노총 노조 업무복귀.방송 정상화▶25일 검찰, 한

    중앙일보

    1997.12.31 00:00

  • 북한,미국에 "장성급 접촉 갖자" 제의

    북한은 24일 판문점에서 유엔사와 가진 군사정전위 비서장급 접촉에서 군사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북.미 장성급 접촉을 갖자는 제의를 했다고 정부 관계자가 25일 밝혔다. 북한의 제의는

    중앙일보

    1997.10.26 00:00

  • 김영삼대통령-김대중총재 영수회담 대화록

    *** 김영삼대통령-김대중총재 영수회담 대화록 〈공명선거〉 ▷金대통령 =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일이 있어선 안됩니다. 신한국당의 비자금 폭로는 사전에 전혀 몰랐고, 발표를 보고 놀

    중앙일보

    1997.10.25 00:00

  • 철책뚫고 돌아온 대성동 개…발톱 닳은채 8일후 귀가

    북한군인에 의한 홍승순씨 모자납치로 관심이 쏠렸던 비무장지대안 대성동마을에서 새끼를 밴 상태로 외지로 팔려나간 생후 5개월 된 황구 (黃狗)가 8일만에 집으로 되돌아와 화제가 되고

    중앙일보

    1997.10.22 00:00

  • 북한 피랍주민 둘 무사귀환

    지난 17일 북한에 납치됐던 대성동마을 주민 홍승순 (洪承順.66.여) 씨와 아들 김용복 (金容福.41) 씨가 21일 오전11시50분 판문점을 통해 송환됐다. 유엔사 김영규 (金永

    중앙일보

    1997.10.22 00:00

  • 북한,납치주민 조기송환 배경

    북한이 대성동마을 주민 2명을 조기에 송환한 것은 장기억류가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총비서 취임이후 내부단속이 시급한 김정일로선 굳이 남북관계를 경색국면으로 몰

    중앙일보

    1997.10.22 00:00

  • 북한 피랍 김용복씨 母子 귀환 대성동 표정

    "무사히 돌아오게 돼 기쁩니다. " 지난 17일 대성동 마을에서 도토리를 줍다가 북한군에 붙잡혀 억류됐던 홍승순 (66).김용복 (41) 씨 모자는 21일 오전 판문점을 통해 자유

    중앙일보

    1997.10.22 00:00

  • 북한 납치 김용복씨 가족,母子 조기귀환 빌며 밤샘

    지난 17일 낮 경기도파주시 대성동마을에서 노모 (老母) 와 함께 북한군에 납치된 김용복 (41) 씨의 집이 있는 부천시상1동 한아름아파트에는 19일에도 김씨 가족의 안부와 납북된

    중앙일보

    1997.10.20 00:00

  • [오늘의 중앙일보]10월 20일

    南阿共에 참회 열풍 10면 남아공 백인정권에 몸담고 흑인차별에 앞장섰던 구 (舊) 정권 인사들이 요즘 참회에 열을 올리고 있어 격세지감. 뒤늦게나마 양심을 되찾은 것인지, 아니면

    중앙일보

    1997.10.20 00:00

  • 주민 피랍에 긴장 감도는 평화의 마을 대성동

    맑게 갠 가을날 누렇게 잘익은 벼를 추수하며 넉넉한 농심 (農心) 을 가꾸던 민통선 북쪽 경기도파주시군내면조산리 대성동마을에 비상이 걸렸다. 추수도중 막걸리를 곁들인 점심을 마치고

    중앙일보

    1997.10.18 00:00

  • 대성동…비무장지대내 한국 유일의 국제연합군 군정마을

    대성동 '자유의 마을' 은 비무장 지대내에 위치한 한국 유일의 국제연합군 군정 (軍政) 마을이다. 행정구역상 경기도파주시군내면에 속해 있고 행정상의 마을 이름은 조산리 (造山里)

    중앙일보

    1997.10.18 00:00

  • 대성동주민 2명 북한군이 납치…송환 시일 걸릴듯

    북한 무장군인 12명이 17일 오전11시45분쯤 경기도파주시 대성동마을 부근 비무장지대내 군사분계선 (MDL) 을 넘어와 우리 주민 2명을 납치해 갔다. 피랍된 주민은 대성동마을

    중앙일보

    1997.10.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