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각 도에 비육돈 단지 조성

    농수산부는 24일 하오 4시 장덕진 장관 주재로 전국 지방 장관회의를 열고 쌀 4천2백만섬을 비롯, 총6천4백만섬으로 짜여진 78년도 식량 증산 계획 등 당면 농정 시책을 시달했다

    중앙일보

    1978.01.25 00:00

  • 추곡수매 실적 목표 79%달성

    지난 12월말 현재 77년산 추곡수매 실적은 전체 목표량 1천1백50만섬의 79%인 9백12만5천여섬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5일 농수산부에 따르면 이 중 현금수매가 5백80만3

    중앙일보

    1978.01.09 00:00

  • 쌀 증산정책 계속

    정부는 계속되는 쌀 대풍으로 곡가하락, 창고부족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식량자급도의 제고를 위해 쌀 증산정책을 계속 밀고 나갈 방침이다. 장덕진 농수산부장관은

    중앙일보

    1977.12.29 00:00

  • 논을 점차 밭으로 바꾼다|79년부터

    농수산부는 내년도 추곡생산목표를 올해 실수확량과 같은 수준인 4천 1백 70만 섬으로 책정하는 한편 목표달성을 위해 유신·노풍 등 다수확 신품종 식부면적을 올해의 66만정보보다 1

    중앙일보

    1977.12.15 00:00

  • 벼 신품종, 통일계 값에 사서 일반미 값으로 팔아|고금리 통화 환수 증권, 은행 금리보다 높아 모순|해공의 최고 경영진 1년간 4차례 개편

    농수산부는 유신·노풍 등 다수확신품종 벼에 대해 앞으로 통일계라는 이름을 쓰지 않기로 했다. 농수산부가 이처럼 벼의 이름에 신경을 쓰게된 것은 유신·노풍·내경 등 신품종은 재래 통

    중앙일보

    1977.12.05 00:00

  • 올해 쌀 실 수확량 4.170만 섬|쌀 자급률, 내년엔 113%로 늘어

    올해 쌀 실 수확량은 76년 실적보다 5백49만1천 섬 (15.4%), 평년작 (3천83만 섬)보다 1천8백70만 섬 (35.3%)이 증수된 4천1백70만6천 섬으로 최종 집계됐다

    중앙일보

    1977.12.05 00:00

  • 쌀 자급…이제부터가 문제

    농수산부는 주곡의 자급달성이란 정책목표를 최대의과제로 삼아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러나 이제 그 말은 큰 의미를 잃는 것 같다. 자급단계를 지나 재고누증으로 인해 떨어지는 쌀

    중앙일보

    1977.10.31 00:00

  • (100)|신품종 개발(7)-볍씨 「내경」

    72년에 2천7백48만섬이던 쌀 생산량이 올해에는 3천7백53만섬으로 예상되고 있다. 5년 동안 1천만섬의 증수를 기록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획기적인 쌀 증산을 가능하게 한 것은

    중앙일보

    1977.10.04 00:00

  • (99)다각 개발·혁신 영농을 위한 「시리즈」-신품종 개발 보리「수원183·184호」(7)

    지금까지 맥류육종은 그 주된 목표를 조숙·다수성에 치중하여 올보리·강보리·부농 등과 같은 신품종이 개발되어 맥류 증산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다. 맥류의 단보당 수확량은 74년

    중앙일보

    1977.09.07 00:00

  • (97)신품종 개발(6)-올밀

    보리와 밀은 같은 밭작물이기 때문에 서로 경쟁적이다. 게다가 지금까지의 우리의 식성은 밀가루보다 보리쌀 쪽으로 더 기울었기 때문에 보리를 더 많이 심어왔고, 이 때문에 밀 품종에

    중앙일보

    1977.08.05 00:00

  • (95)|신품종 개발 (5)|고구마 「홍미」

    썩음 병에 강해 오래 저장할 수 있고 거기에 수확량도 많은 신품종 고구마 「홍미」가 개발됐다. 농촌진흥청 밭작물 연구관 박근용·성낙춘씨 「팀」에 의해 개발된 이 「홍미」는 저장율

    중앙일보

    1977.07.06 00:00

  • (91)신품종 개발③옥수수 「수원19·20·21호」

    수확량이 재래종(황옥 2호)보다 75%나 증수되고 병충해·도복 등에도 강한 옥수수 신품종이 개발 됐다.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김순권(박사) 연구관 「팀」에 의해 개발. 내년부터 본

    중앙일보

    1977.05.12 00:00

  • (90)신품종 개발②-볍씨|이리327호|수원263호

    늦게 심어도 수확량이 떨어지지 않고 밥맛도 지금까지 개발된 어느 품종보다 나은 새 볍씨 「이리327호」가 개발됐다. 71년 농촌진흥청 호남작물시험장 조수연 연구관 「팀」이 순수국산

    중앙일보

    1977.04.27 00:00

  • 통일벼 등 다수확종 재배 확대

    농수산부는 금년도 보리농사가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게 되자 올 쌀 생산 계획을 대폭 조정, 당초 목표 3천6백50만섬보다 3백만섬이 더 많은 3천9백50만섬을 생산키로 했다. 농

    중앙일보

    1977.04.12 00:00

  • (81)|새 유실수종의 재배와 전망 용인자연농원 주최 「산지개발 신 전략」세미나

    제2회 산지개발 신 전략「세미나」에서는 유실수개발시책과 재배전망, 축산물의 수급전망과 양돈산업시책 등 두가지를 주제로 강연과 토론이 진행됐다. 「세미나」에서는 이 두가지 문제 중

    중앙일보

    1977.03.03 00:00

  • (73)쌀 증산왕 양해섭씨

    『한 때 농사를 포기하려고까지 했다가 농촌지도소의 끈질긴 권유와 영농지도에 힘입어 오늘의 영광을 차지했습니다.』 올해 전국미곡증산 왕으로 선정된 양해섭씨(63·전북 금제군 성덕면

    중앙일보

    1976.12.03 00:00

  • (69) 밀·보리도 연2회 재배할 수 있다|농진청 작물시험장 연구팀, 새「세대촉진법」 개발

    농촌진흥청은 「유신」등 「통일」계 신품종 볍씨 보급에 이어 밀·보리 등 맥류의 다수성 신품종 조기육성을 위한 새로운 세대 촉진법 개발에 성공했다.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맥류 연구「

    중앙일보

    1976.10.29 00:00

  • 증산이 될 수 있는 추곡수매가

    정부는 늦어도 내주 중에는 금년 추곡수매가격을 결정지을 방침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해마다 그러했듯이 올해도 적정수매가격의 기준을 놓고 관계당국간에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는 것

    중앙일보

    1976.10.23 00:00

  • 경제왕래

    지난8월 행정개혁위원회가 상공부 특허국을 특허청으로 승격시키는 대신 공업단지 관리청은 해체, 상공부의 국으로 흡수 개편하도록 하라는 건의를 내어 공단청은 없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중앙일보

    1976.09.29 00:00

  • 다수확성고추 「원교302호」 개발 농촌진흥청…재래종 보다 68%증수

    【수원】재래종 고추보다 평균68%가 증수 되는 다수확성 자주 신 품종 「원교302호」가 수원농촌진흥청에 의해 개발됐다. 9일 농진청이 밝힌 이 고추 신품종(김강용 고추)은 Dα망

    중앙일보

    1976.09.09 00:00

  • 수확기 앞두고 벼 병충해 극성-늦장마로 입은 전국의 피해상황

    철늦은 장마가 한창 익어가는 벼에 각종 병충해를 안겨주어 수확기를 앞둔 각 농가를 애태우게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30일자로 문고병(문고병=잎집무늬마름병), 보통품종에 대한이삭도

    중앙일보

    1976.08.30 00:00

  • 보리 줄이고 밀 재배로 대체 신품종「밀양 5호」적극 권장

    정부는 오는 80년까지 현행 보리 재배면적의 반을 밀 재배로 대체시키기로 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수확성 신품종 밀을 적극 보급키로 했다. 26일 김인환 농촌진흥청장은 쌀 자급

    중앙일보

    1976.07.26 00:00

  • (52)영농기술의 개선(1)

    196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경지면적이 좁고 지력이 척박하며 영농기술이 낙후되어 식량의 자급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식량의 대종인 살의 10α당 수확량을

    중앙일보

    1976.05.07 00:00

  • 올해 보리 파종 면적|모두 99만7천 정보

    금년도 보리 파종 면적은 총 99만7천 정보로 당초 계획보다 2만7천 정보가 늘어났다. 올해 보리 파종 면적이 이처럼 증가 한 것은 신품종 「올보리」 보급으로 보리 재배 한계선이

    중앙일보

    1975.1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