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첨단 외피 입고 새로 태어난 '조상의 삶'

    첨단 외피 입고 새로 태어난 '조상의 삶'

    은백색 스크린에 나비 한 쌍이 훨훨 날아다닌다. 부부 화합을 표현한 한기창씨의 비디오 아트다. 장자(莊子)의 '호접몽(胡蝶夢)'이 바로 연상된다. 내가 나비일까, 나비가 나일까.

    중앙일보

    2006.06.14 21:00

  • [우리들의 눈] 두 아들에 편지 통한 가르침

    [우리들의 눈] 두 아들에 편지 통한 가르침

    다산은 전남 강진에서 긴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두 아들과 꼬박꼬박 편지를 주고받았다. 그는 편지를 통해 때로 자식을 꾸짖거나 자상하게 타이르며,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덕목을 일러

    중앙일보

    2006.04.17 04:52

  • [생각키우기] 4월 17일

    ①실학이란 무엇이며, 태동하게 된 정치.경제.사회적 배경은? ②실학이 당시 국가 정책에 반영되지 못한 까닭은 무엇일까요? ③실학의 역사적 의의와 후세에 미친 영향을 정리해 보세요.

    중앙일보

    2006.04.17 04:52

  • '부부의 정' 위에 눌러쓴 자식 사랑

    '부부의 정' 위에 눌러쓴 자식 사랑

    다산이 딸에게 준 '매조도'. 봄날 꽃이 활짝 핀 매화가지에 날아와 앉은 새를 그렸다. 시집간 딸이 행복하게 살아가길 바라는 아버지의 마음을 담았다. 다산의 '하피첩'은 여러 모로

    중앙일보

    2006.03.28 05:56

  • [산에들어옛사람을보다] 해남 두륜산과 초의선사

    [산에들어옛사람을보다] 해남 두륜산과 초의선사

    가련봉을 오르기 직전의 만일재엔 사시사철 해풍이 몰아친다.(上)일지암 자우홍련사(紫芋紅蓮社)의 누각에 놓인 다구(茶具)와 눈보라가 들이친 다탁. 겨울 향취가 진동한다. 거인이었다.

    중앙일보

    2006.02.24 17:32

  • [즐겨읽기] 조상님들 풍류에 '노름'이 없을쏘냐

    [즐겨읽기] 조상님들 풍류에 '노름'이 없을쏘냐

    다산과 연암, 노름에 빠지다 유승훈 지음, 살림, 252쪽, 1만 2000원 요새 '올인(All In)'이란 말을 많이 쓴다. 자기가 믿는 것에 '다 걸기'라는 뜻이다. 옛날에도

    중앙일보

    2006.01.13 21:02

  • [NIE] 속마음 보여주는 편지 글쓰기에도 도움

    [NIE] 속마음 보여주는 편지 글쓰기에도 도움

    평소에는 편지를 배달하는 집배원들이 산타클로스 복장을 하고 불우이웃에게 선물을 나눠주기 위해 우체국을 나서고 있다. [중앙포토]다산 정약용의 친필 편지 30여년 동안 제자들을 편지

    중앙일보

    2005.12.12 05:00

  • [Book] '뼈대' 있는 가문, 뭔가 다른 교육

    "그래, 애들 공부는 잘 되고 있니.""말도 마세요. 학원비가 얼마나 비싼지.""그래도 허리띠를 조일 수밖에 없겠지." 고향이든, 서울집이든 한자리에 모인 가족들의 주관심사는 교육

    중앙일보

    2005.09.09 20:38

  • 다산이 그린 지도, 추사와 함께 쓴 글 …

    다산이 그린 지도, 추사와 함께 쓴 글 …

    ▶ 추사가 다산에게추사가 쓴 글씨의 일부. 다산이 추사와 함께 다산의 제자인 황상(1788~1870)이 머문 산방을 찾아 하룻밤을 지내면서 ‘남원 노규 조절 동곡 황량 야용(南園

    중앙일보

    2005.07.19 05:26

  • 정약용 친필 편지 첫 공개

    정약용 친필 편지 첫 공개

    전남 강진군(군수 황주홍)은 15일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1830년께 쓴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 한 점(사진)을 공개했다. 강진에서의 18년간

    중앙일보

    2005.07.16 06:00

  • [책꽂이] 인문·사회 外

    [책꽂이] 인문·사회 外

    *** 인문.사회 사유란 무엇인가(마르틴 하이데거 지음, 권순홍 옮김, 길, 348쪽, 2만원)=현대 철학의 뿌리로 일컬어지는 저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열쇠를 제공. 호모 노마드,

    중앙일보

    2005.03.18 17:41

  • [Book/이슈읽기] '공부(study)'

    [Book/이슈읽기] '공부(study)'

    초등학교에서 일제고사를 치르게 한다해서 화제가 되었다. 본디 시험이란 배운 것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확인하기 위해 시작됐다고 한다. 그러던 것이 배운 이들간에 서열을 매기고, 당락

    중앙일보

    2005.02.04 18:03

  • [내 생각은…] 마음이 오가는 선물 주고받자

    해마다 명절 때가 되면 어김없이 사무실에 도착하는 편지가 있다. 이른바 유통업체 사장님들로부터 오는 '선물 안 주고 안 받기'서한이다. 윤리경영을 지향하는 회사로서 어쩌면 당연하고

    중앙일보

    2004.12.16 18:34

  • 박석무씨 다산학술상 받아

    박석무씨 다산학술상 받아

    박석무(62) 다산연구소 이사장이'제5회 다산학술상' 공로상을 받는다. 이 상은 다산학술문화재단이 다산 정약용 선생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 우수한 다산학 연구자들을 발굴하자는

    중앙일보

    2004.11.23 18:36

  • [고은의 세상월령가 10월] 나의 가을 이야기

    [고은의 세상월령가 10월] 나의 가을 이야기

    ▶ 이종구 작 ‘풍경’, 57x45c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04. 국토의 가을은 찬란하다. 지난 여름의 모진 고온다습이 만들어낸 것인가. 벌써 산마루 잎새는 아기의 피처럼 새

    중앙일보

    2004.10.05 17:14

  • [이달의 책] '미쳐야 미친다'

    미쳐야 미친다/정민 지음, 푸른역사, 330쪽, 1만1900원 미쳐야 미친다고? 무슨 뜻인가? 도무지 모를 일이다. 책의 제목에서 내용을 유추했던 시절은 아득히 사라졌는가 보다.

    중앙일보

    2004.05.29 09:37

  • [사람 사람] "5.18 정신, 인권·평화운동으로 이어갈 것"

    [사람 사람] "5.18 정신, 인권·평화운동으로 이어갈 것"

    "5.18 정신을 세계의 정신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 13, 14대 국회의원과 한국학술진흥재단 이사장을 역임한 박석무(朴錫武.62)전 의원이 올해로 창

    중앙일보

    2004.03.23 18:11

  • 다산 정약용 글씨 '가짜' 논란

    다산 정약용 글씨 '가짜' 논란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이 지난 21일부터 열고 있는 특별전'조선 성리학의 세계'에 출품된 글씨 가운데 진위가 의심되거나 연대 표기가 틀린 작품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같

    중앙일보

    2003.10.26 17:30

  • '국토 박물관 순례기' 연재하는 유홍준 교수

    문화유산 답사로 이름을 날린 유홍준(54.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겸 명지대 문화예술 대학원장이 다시 펜을 들었다.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 이후 5년 만이다. "전공 공부에

    중앙일보

    2003.10.09 18:11

  • [정일근의 여름나기 편지] 태극기를 달면서

    광복절 아침 태극기를 답니다. 일제 36년을 경험하지도 않았고 전쟁의 아픔을 겪지 않은 젊은 전후세대지만 태극기를 다는 광복절 아침 제 가슴이 뜁니다. 저 태극기를 다시 찾기 위해

    중앙일보

    2003.08.14 17:54

  • 가족대화 많아야 행복 '넘실'

    가족들끼리 대화하는 시간이 하루 1분도 안되는 가정이 적지 않다. 자녀들은 학원·과외 공부에 내몰리고, 부모는 자녀들의 교육비를 대느라 바쁘다. 대화가 없으면 서로의 기대와 요구를

    중앙일보

    2003.05.06 10:45

  • [NIE] 가족대화 많아야 행복 '넘실'

    가족들끼리 대화하는 시간이 하루 1분도 안되는 가정이 적지 않다. 자녀들은 학원·과외 공부에 내몰리고, 부모는 자녀들의 교육비를 대느라 바쁘다. 대화가 없으면 서로의 기대와 요구를

    중앙일보

    2003.05.05 16:18

  • [생각 뉴스] 정약용의 편지

    다산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두 아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 속에 들어있었던 다산이 평생 품어온 두 글자, 근(勤)과 검(儉). 조선후기의 실학자 이익. 가을걷이 열두섬으로 근근이 입

    중앙일보

    2003.04.20 21:09

  • [독자 인터뷰] 다산 전문가 박석무씨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국가적으로 '개혁'이 화두(話頭)인 가운데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茶山)정약용(丁若鏞)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천하가 이미 썩어 문드

    중앙일보

    2003.02.18 1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