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낙동강 수질오염원의 82%가 생활하수-마산시 조사

    [馬山=金相軫기자]부산및 경남지역 주민의 상수원인 낙동강 수질오염원의 82%가 생활하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오염원의73%가 경북지방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마산

    중앙일보

    1994.08.16 00:00

  • 낙동강오염 이틀 은폐-대구환경관리청

    [大邱=洪權三기자]환경처와 대구지방환경관리청이 성서공단 폐유유출사고 이틀전인 28일과 29일에도 달성취수장.고령교등에서 기준치(20)의 15~20배에 달하는 디클로로메탄이 검출된

    중앙일보

    1994.07.02 00:00

  • 환경과공해연구회장 김상종 교수

    5일은 제22회 세계환경의 날이자 6월은 환경의 달이다.매년이때를 맞으면 환경보전캠페인을 벌이고 세미나를 여는등의 행사로관심이 높아지지만 그후에는 정부당국이나 기업주들의 관심이 희

    중앙일보

    1994.06.05 00:00

  • 낙동강 오염사실 3일간 은폐 물의

    올초 낙동강 오염파동때 부산시측이 벤젠.톨루엔등 발암물질 검출사실을 3일동안 은폐,영남지역 7백만주민이 이기간중 오염식수를 마셨던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또 대구.부산지방환경청은

    중앙일보

    1994.05.30 00:00

  • 경남 양산군 신도시개발에 식수원 미확보로 계획 차질

    [蔚山]경남양산군이 부산권의 신도시로 개발될 예정이지만 식수원 확보 대책이 없어 개발계획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6일 양산군에 따르면 정부는 양산지역을 오는 2001년까지 인구

    중앙일보

    1994.04.06 00:00

  • 광천음료 수질 성분기준 느슨-消保院서 代案제시

    수돗물등의 음용수 수질기준에 맞춰 보사부가 설정한 현행 광천음료수(생수)수질기준이 너무 느슨해 암모니아성 질소등 12개 유해성분과 95년2월부터 규제될 알루미늄 기준치도 대폭 강화

    중앙일보

    1994.03.31 00:00

  • 사연댐 공사에 주민 반발-울산시

    『생활 터전을 잃고 재산권조차 피해를 보게되는데 반대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울산시.군민들의 식수난을 해결하기 위해 사연댐을 높여 이 물을 식수원으로 바꾸려는 정부 계

    중앙일보

    1994.03.29 00:00

  • 수돗물에 디클로로메탄 검출-부산시,수돗물 오염 파동 재발

    [釜山=許尙天기자]부산시의 수돗물에서 악취를 풍기는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디클로로메탄이 4일 검출돼 부산지역 수돗물 오염파동이 또 다시 발생했다. 부산상수도사업본부는『3일 오전 경

    중앙일보

    1994.03.05 00:00

  • 부산 또 수돗물오염 비상/삼랑진부근/낙동강서 발암물질 검출

    【부산=허상천기자】 낙동강 수질오염으로 부산·경남의 수돗물 암모니아성 질소 오염치가 두달째 음용수 수질기준(0.5PPM)을 초과하고 있는 가운데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디클로로메탄이

    중앙일보

    1994.03.04 00:00

  • “大邱성서공단서 유출”-환경처

    [釜山=許尙天기자]낙동강 수질오염으로 부산.경남의 수돗물 암모니아성 질소 오염치가 두달째 음용수 수질기준(0.5PPM)을초과하고 있는 가운데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디클로로메탄이 삼

    중앙일보

    1994.03.04 00:00

  • 낙동강 수질 계속 악화-암모니아질소 허용치 2배

    [釜山=許尙天기자]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낙동강 수질이 1월초 오염사고이후 좀처럼 호전되지 않고있는 가운데 낙동강 물을 상수원으로 하는 정수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가 허용기준치를 휠씬

    중앙일보

    1994.02.20 00:00

  • 6.태백 탄광촌

    60년대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 시작된 이래 89년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이 시행될 때까지 우리나라 석탄소비량의 70%이상을 공급,국가 근대화의 主동력공급원이었던 단군신화의 고향 강원도

    중앙일보

    1994.02.07 00:00

  • 발뺌에만 급급한 서울시/방원석 사회2부기자(취재일기)

    개방화·국제화의 물결속에 온 공직사회가 몸부림치고 있는데도 서울시는 여전히 변화를 기피한채 고질적인 관료주의가 아직도 판을 치고 있다. 일부 중앙부처에서는 앞다투어 우리나라 공직사

    중앙일보

    1994.02.07 00:00

  • 방류량 줄여 낙동강 수질 다시 악화 수돗물오염 파동 우려

    [釜山=許尙天기자]겨울 가뭄으로 수자원공사측이 낙동강 수량을조절하는 안동.임하.합천.남강댐등의 방류수량을 줄이는 바람에 낙동강의 수질이 다시 나빠져 제2의 수돗물오염 파동이 우려되

    중앙일보

    1994.01.29 00:00

  • 부산시,낙동강유역 상수원 보호 특별대책지역 지정 건의

    [釜山=許尙天기자]부산시는 28일 낙동강 상수원 오염파동과 관련,낙동강유역을 상수원보호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환경처에 건의했다.시는 또 정수시설 개선과 낡은 수도관 교체,

    중앙일보

    1994.01.28 00:00

  • 끝없는 낙동강 수돗물 악취/20여일째 원인도 못밝혀

    ◎칠서정수장 활성탄 투입 늘려도 무위 【부산·창원=허상천·김상진기자】 영남지역 수돗물 악취파동의 원인이 사고발생 20여일이 지나도록 밝혀지지 않은채 상류댐 방류량 증가에도 불구,부

    중앙일보

    1994.01.24 00:00

  • 헌물통에 물붓기

    『여보,약수터에 간다고 했잖아요.벌써 다섯시란 말이에요.』 요일 아침.어깨를 잡아 흔들어 깨우는 아내의 목소리에 그는 대뜸 짜증이 솟는다. 『새벽부터 왜 이래? 아침 먹고 갈게,응

    중앙일보

    1994.01.23 00:00

  • 생수.약수도 안심 못한다

    낙동강 유역의 수돗물 오염 사건 파문으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가중되면서 생수.정수기의 시판이 크게 늘어나고 약수터에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다.서울강남 일부 아파트단지등에서는 생수

    중앙일보

    1994.01.23 00:00

  • “수돗물 못믿겠다”며 찾는사람 늘었지만…/생수·약수도 안심 못한다

    ◎1년에 단한번 검사… 무허업체까지 난립/생수/6.5%가 “부적”… 농약오염등은 조사안해/약수 낙동강 유역의 수돗물 오염 사건 파문으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가중되면서 생수·정수기

    중앙일보

    1994.01.23 00:00

  • 汚水수사 미지근한 검찰

    『악취의 원인이 벤젠이 아닌 것은 밝혀졌고,다른 원인물질이 있는지 계속 수사해 봐야….그러나 갈수기에 강물이 크게 줄었고댐방류량도 줄어든 것으로 미뤄 자연현상으로 인한 악취가 아닌

    중앙일보

    1994.01.21 00:00

  • 수질검사 결과 환경처.지방환경청.보건연구원 제각각 의문

    [大邱=金善王기자]환경처와 대구지방환경청.보건환경연구원등의 수질검사 결과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공신력에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환경처는 지난 14일 낙동강의 수질오염을 국립환경

    중앙일보

    1994.01.21 00:00

  • 마·창시민 「물요구」 관철됐다/시,민관검사·매주공개 수용

    ◎“불복종운동 승리”… 수도료 거부서명 중단 【부산·마산=김상진·김관종기자】 시민운동이 행정기관의 고자세,행정자료의 비공개,비밀주의 등에 쐐기를 박았다. 낙동강 상수원 오염사건과

    중앙일보

    1994.01.20 00:00

  • 낙동강물 악취 원점서 다시 수사-벤젠은 무관 결론

    [大邱=洪權三기자]낙동강 상수원 오염사고에 대한 검찰 수사가악취원인조차 밝혀내지 못한채 원점에서 맴돌아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대구지검 전담수사반(반장 姜濯차장검사)은

    중앙일보

    1994.01.20 00:00

  • 釜山은 수도료 거부 서명 계속

    한편 부산지역에서는 23개 사회단체로 구성된 낙동강 오염사태해결을 위한 시민단체연합 소속 회원들이 이날 오후3시부터 서면태화쇼핑앞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수도료 납부 거부 1백만 서

    중앙일보

    1994.01.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