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The New York Times] 힐러리가 대통령 되면 걱정되는 빌 클린턴

    [The New York Times] 힐러리가 대통령 되면 걱정되는 빌 클린턴

    케이트 앤더슨 브로어퍼스트 레이디 연구가오는 11월 치러질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 힐러리 클린턴이 당선되면 백악관에는 과거와 전혀 다른 대통령 배우자가 들어가게 된다. 1993

    중앙일보

    2016.08.02 00:01

  • 난 녹차키슈, 부부는 버섯리조토, 우린 딸기오이샐러드

    난 녹차키슈, 부부는 버섯리조토, 우린 딸기오이샐러드

    킨포크 스타일의 식사를 즐기고 싶지만 막상 어떤 음식을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킨포크 스타일의 테이블을 차리는 데 정해진 법칙은 없다. 자신만의 스타일대로

    중앙일보

    2015.01.13 00:01

  • 인원 맞춤형 킨포크 요리

    인원 맞춤형 킨포크 요리

    킨포크 스타일의 식사를 즐기고 싶지만 막상 어떤 음식을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킨포크 스타일의 테이블을 차리는 데 정해진 법칙은 없다. 자신만의 스타일대로

    중앙일보

    2015.01.13 00:00

  • [f ISSUE] 꽃친구 임화공 … 육영수·박영옥 여사 가르친 플로리스트 1호

    [f ISSUE] 꽃친구 임화공 … 육영수·박영옥 여사 가르친 플로리스트 1호

    34년째 살고 있는 서울 통의동 10번지 3층 거실에 선 임화공씨. 50년 넘게 주한 외교사절 부인들을 가르치면서 한복차림이 생활화됐다.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그건 운명이었

    중앙일보

    2011.12.08 04:08

  • “유학·직장 생활 바쁜 요즘…신부 수업 교실, 더 요긴할 것”

    “유학·직장 생활 바쁜 요즘…신부 수업 교실, 더 요긴할 것”

    ‘신부수업교실’이 다시 등장했다. 1970, 80년대 유행했던 강좌다. 당시 YWCA·예지원 등에서는 결혼을 앞둔 여성들을 위해 ‘신부교실’을 만들어 예의범절·요리·집안 장식법

    중앙일보

    2011.10.20 03:20

  • 우리동네 ⑩ 두정동

    우리동네 ⑩ 두정동

    정지용 시인의 ‘향수’를 생각나게 하는 곳. 작은 천이 흐르고, 논과 밭, 과수원의 풍경이 담긴 곳. 그리 오래되지 않은 천안 두정동의 옛 모습이다. 두정동은 천안의 급속한 성장과

    중앙일보

    2010.08.24 00:03

  • [food&] 기독교인 위한 차 한 잔 … 이를 소개하는 책 한 권

    [food&] 기독교인 위한 차 한 잔 … 이를 소개하는 책 한 권

    차의 계절이다. 절기상 곡우(4월 20일 전후)에 극세작을 따기 시작해 5월 하순인 지금은 중작을 거둘 시기다. 대부분의 사람은 차를 불교문화라고 생각한다. 맑은 차 한 잔을 생각

    중앙일보

    2010.06.01 00:44

  • 살림 곳곳 은은히 감도는 자연의 향기

    살림 곳곳 은은히 감도는 자연의 향기

    커피찌꺼기로 염색한 옷을 만드는 윤정연 디자이너, 조각보 박태현 작가, 종이공예 황정자 작가, 김학경 요리연구가, 친환경 브랜드 이새 정경아 대표(왼쪽부터). 먹는 것부터 입는 것

    중앙일보

    2009.10.15 18:00

  • 자연과 함께 사는 사람들

    자연과 함께 사는 사람들

    나무 그릇 위에 사과와 더덕, 금귤로 손수 만든 정과를 가지런히 올린다. 장식은 근처에서 뜯어온 담쟁이 잎. 선명한 초록색이 테이블에 활력을 준다. 매실차는 컵에 담아 삼베로 만

    중앙일보

    2009.10.14 10:23

  • 해학·파격 넘치는 조선 민중의 삶

    해학·파격 넘치는 조선 민중의 삶

    해방 전 일본인이 수집해 간 조선시대의 민화 명품 120여 점이 50~80년 만에 국내에 첫선을 보인다. 조선 민화의 고국 나들이는 '반갑다! 우리 민화'란 이름의 특별전시회로 다

    중앙일보

    2005.08.24 05:45

  • 웨딩부케도 컬러시대

    결혼식장의 신부를 돋보이게 하는 소품은 뭐니뭐니해도 부케다. 최근들어 웨딩드레스도 자신의 체형.개성에 맞게 입으려는 신부가늘어나면서 부케도 이전과 달리 무척 다양해지고 있다.웨딩

    중앙일보

    1995.03.03 00:00

  • 꽃통해 국제우정 가꿔요-서울가든클럽,新年 첫 모임

    서울 가든클럽(회장 일세 핏절린)은 신년 첫 모임으로 원노꽃꽂이 연구가 임화공씨의 꽃꽂이 시범회를 지난 13일 오후 서울서대문구송월동 주한 스위스 대사관저의 30여평 넓은 거실에서

    중앙일보

    1995.01.27 00:00

  • 꽃꽂이모임"이케바나..."서울지부 25돌기념식

    ○…「꽃을 통한 우정」을 모토로 설립된 꽃꽂이 모임인 이케바나 인터내셔널 서울지부 창립 25주년 기념식이 25일 오전 서울 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열렸다.이날 행사에는 회원 정승애씨

    중앙일보

    1994.11.26 00:00

  • 고하수.민희자씨 각각 꽃꽃이 연구서 펴내

    향긋한 꽃향기가 더욱 정겹게 느껴지는 이 가을에 2명의 원로및 중견 꽃꽂이 연구가가 꽃꽂이의 역사와 실제를 담은 지침서를각각 내놓았다. 하수꽃예술중앙회 高霞水이사장이 쓴『한국의 꽃

    중앙일보

    1993.10.11 00:00

  • 손수 만드는 축하 꽃다발

    이제 곧 시작될 각급학교의 졸업이나 입학식에서 진심으로 축하해 주고 싶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정성과「특별한 마음」이 담긴 꽃다발을 안겨줄 수 있다면 얼마나 근사할까. 꽃꽂이 연구가

    중앙일보

    1993.02.05 00:00

  • 푸드 코디네이터 강홍준씨|맛·멋 살리는 식품광고

    한국사회가 갈수록 산업화·전문화·국제화함에 따라 새로운 직종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광고·첨단과학·레서·재테크 등의 관련산업이 번성하면서 생겨난 새로운 아이디어, 특유의 섬세함을

    중앙일보

    1991.07.07 00:00

  • 소서 한복·꽃꽂이발표

    소련 레닌그라드에서 열린 백야문학축제에서 한국의 한복·결혼의상·헤어스타일·꽃꽂이 작품들이 선보였다. 한복디자이너 이리자씨, 웨딩드레스 디자이너 황재복씨, 미용연구가 최운학씨를 비롯

    중앙일보

    1991.07.06 00:00

  • 부산서 시낭송 모임

    문상림 잎사귀회장(꽃꽂이 연구가)은 23일 서울 한국의 집에 이어 25일 부산 서라벌호텔에서 「꽃과 만해 시낭송 모임」을 갖는다.

    중앙일보

    1991.03.23 00:00

  • 「부케 만드는 법」책 출간

    결혼식 등 각종 행사에 자주 쓰이는 꽃다발(부케) 만드는 법을 묶은『웨딩 플라워』가 고급 아트지국판으로 도서출판 승문사에서 나왔다. 총천연색 화보 1백16쪽과 이론 30여쪽 등으로

    중앙일보

    1990.07.08 00:00

  • 생활꽃꽂이 교실 열어

    흥사단 서울지부는 25일∼7월13일(매주 금요일 오후1시) 흥사단 강당에서 생활꽃꽂이교실을 마련한다. 강사는 꽃꽂이연구가 이재은씨. 수강료는 1만5천원. (743)5445.

    중앙일보

    1990.05.23 00:00

  • 『꽃길…』출판 기념회

    ◇문상림 잎사귀 회장(꽃꽂이 연구가)은 28일 오후2시 부산 상공회의소에서 저서「꽃길, 그 길 따라 30년」출판 기념회를 갖는다,

    중앙일보

    1989.12.26 00:00

  • 고하수 씨 출판 기념회

    꽃꽂이 연구가 고하영 씨(63·하수 꽃꽂이 중앙회 이사장)는 74년에 시작된『한국 꽃꽂이 역사자료 연구』를 올해로 총 6집까지 발행하고 그 출판기념회를 13일 오후 6시 잠실 롯데

    중앙일보

    1989.04.11 00:00

  • 알뜰주부가 만드는 소박한 X-마스 장식

    상가에는 벌써부터 불밝힌 크리스마스 트리가 서고, 거리에는 캐럴이 울려 퍼지고 있다. 이제는 종교적 축제일이기보다 전국민적 명절이 돼버린 크리스마스가 되면 대부분의 가정이 집안에

    중앙일보

    1988.12.15 00:00

  • 온기 더해주고 향기 솔솔…과일차

    아직도 시장엘 나가면 늦가을 과일인 향기로운 유자·모과 등을 만날 수 있다. 싸늘한 날씨 속에서 더욱 제 맛이 나는 것이 향기롭고 뜨거운 과일다. 초겨울이면 바쁜 일상 중에서도 잊

    중앙일보

    1988.12.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