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주목! 이 책] 더 이상 숨을 곳이 없다 外

    [주목! 이 책] 더 이상 숨을 곳이 없다 外

    더 이상 숨을 곳이 없다(글렌 그린월드 지음, 박수민·박산호 옮김, 모던타임스, 335쪽, 1만5000원)=저자는 지난해 6월 스노든에게서 직접 NSA(미 국가안보국) 일급비밀을

    중앙일보

    2014.05.17 01:42

  • 시와 그림 생명으로 통했다 … 이어령·김병종의 동행

    시와 그림 생명으로 통했다 … 이어령·김병종의 동행

    생명. 스러진 눈부신 청춘이 사무치게 아픈 이 봄, 우리에게 이보다 더 귀하고 가슴 저미는 말이 있을까. 이 봄날,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의미와 가치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마음에

    중앙일보

    2014.05.09 01:02

  • 비극과 절망 떨치고 … 날자, 날자꾸나

    비극과 절망 떨치고 … 날자, 날자꾸나

    이상의 집(isang.or.kr) ‘이상의 집’은 이상의 문학적 거점인 서울 통인동 생가 터에 지어졌다. 보수 공사를 마치고 지난달 재개관했다. 이상의 집에서는 이상의 생일(9월

    중앙일보

    2014.04.18 00:01

  • 버림받은 ‘공간’에 새 생명 불어넣어 명예 찾아 줘야죠

    버림받은 ‘공간’에 새 생명 불어넣어 명예 찾아 줘야죠

    아라리오 그룹 김창일 회장이 아티스트 ‘씨킴’으로서 작업하는 제주도 스튜디오 내부 전경. 2014년 들어 아라리오 갤러리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다. 3월 6일에는 아라리오 서울

    중앙선데이

    2014.03.01 01:32

  • [시티맵-대학로] 청춘 살아 있는 문화 백화점

    [시티맵-대학로] 청춘 살아 있는 문화 백화점

    대학로는 스펙트럼이 넓은 동네다. 그저 공연의 메카가 아니라, 그 너머로 꽤 다양한 문화가 겹쳐있다. 마로니에 공원 주변은 대학로 공연 문화의 시작을 함께하며 여전히 건재함을 과

    중앙일보

    2014.02.27 00:01

  • 그에게 건축은 또 다른 자연이었다

    그에게 건축은 또 다른 자연이었다

    제주도 방주교회(2009). 물 위에 떠 있는 배처럼 보인다. 금속재질의 지붕은 제주도의 시시각각 변하는 하늘을 비춰준다. “사람의 생명, 강인한 기운을 투영하지 않는 한 사람들에

    중앙일보

    2014.02.05 00:23

  • [이규연의 시시각각] 우주인 고산, 세운상가 간 까닭

    [이규연의 시시각각] 우주인 고산, 세운상가 간 까닭

    이규연논설위원 1980년 서울 세운상가 3층. 학교에서 ‘빨간책’ 공급책으로 명성을 날리던 친구에게 이끌려 그곳에 당도했다. 좁은 골목에는 수상한 젊음, 수십 명이 어슬렁거리고 있

    중앙일보

    2014.01.24 00:10

  • "한국에는 건축이 없다 … 왜, 이야기가 없으므로"

    "한국에는 건축이 없다 … 왜, 이야기가 없으므로"

    이종건 교수는 “우리 건축의 정체성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 공간 사옥 등 대표적인 건축물이 갖고 있는 장점을 평가하는 작업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많은

    중앙일보

    2014.01.23 00:23

  • 지식인은 경계 밖으로 끊임없이 스스로를 추방하는 자이니 …

    지식인은 경계 밖으로 끊임없이 스스로를 추방하는 자이니 …

    서울 대학로에 있는 승효상 건축가의 ‘이로재’ 사무실은 일터라기보다 공부방이다. 세상의 변화와 함께 호흡해온 그를 닮았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지식인은 경계 밖으로 끊임없이 스

    중앙일보

    2014.01.11 00:20

  • '아라리오 뮤지엄' 서울에서 제주까지 잇는다

    '아라리오 뮤지엄' 서울에서 제주까지 잇는다

    ㈜아라리오가 최근 매입 계약을 체결한 ‘공간’ 사옥의 전경 모습. 미래가 불투명했던 ‘공간’ 사옥이 문화재로 등록 예고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라리오가 매입해 새생명을 얻

    중앙일보

    2013.12.24 00:05

  • [사진] 서울 공간사옥 문화재 등록예고

    [사진] 서울 공간사옥 문화재 등록예고

    문화재청은 20일 건축가 김수근(1931~1986)이 설계한 '서울 공간사옥'(구사옥)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재료, 형태, 공간 등 건축의 기본적 구성요소 전반

    온라인 중앙일보

    2013.12.20 17:04

  • 서울 공간사옥 문화재 등록 예고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구사옥"

      ‘서울 공간사옥 문화재 등록 예고’. 서울 공간사옥이 문화재에 등록될 전망이다. 20일 문화재청은 30일 동안 수렴된 의견을 검토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서울 공간

    온라인 중앙일보

    2013.12.20 16:49

  • [대학의 길, 총장이 답하다] 연구보다 교육중심 표방 덕성여대 홍승용 총장

    [대학의 길, 총장이 답하다] 연구보다 교육중심 표방 덕성여대 홍승용 총장

    북한산 봉우리들이 지척에 보이는 덕성여대 캠퍼스엔 겨울 분위기가 물씬했다.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학교 건물들의 붉은 벽돌이 아직 녹지 않은 잔설과 어우러져 아늑한 느낌을 자아냈

    중앙일보

    2013.12.12 01:11

  • 자식처럼 남긴 국보급 건축물 제대로 보존되길

    자식처럼 남긴 국보급 건축물 제대로 보존되길

    김수근(1931~86·사진)은 한국 현대 건축사를 서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름이다. 한국인이 떠올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한국 건축가 중 하나일 것이다. 1980년 후배 건축

    중앙선데이

    2013.11.30 16:06

  • 공간 사옥 150억에 팔렸다 … 김수근 방·유물 보존

    공간 사옥 150억에 팔렸다 … 김수근 방·유물 보존

    한국 현대건축의 상징물인 서울 원서동 공간 사옥(사진)이 아라리오 갤러리에 매각됐다.  공간종합건축사무소(대표 이상림)는 25일 공간 사옥이 천안 아라리오(회장 김창일)에 150억

    중앙일보

    2013.11.26 00:23

  • 김수근 '공간' 사옥, 등록문화재 된다

    김수근 '공간' 사옥, 등록문화재 된다

    한국 현대건축의 상징물인 건축가 김수근의 서울 원서동 공간(空間) 사옥. 문화재청이 건물 보호를 목적으로 문화재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옥은 김씨가 1971~77년 설계했다.

    중앙일보

    2013.11.20 00:09

  • [기고] 공간사옥을 공공의 손에

    [기고] 공간사옥을 공공의 손에

    승효상건축사무소 이로재 대표 지난 세기의 건축을 논할 때면 롱샹 교회당이나 라투레트 수도원, 베를린 현대미술관 신관 또는 구겐하임 미술관 같은 작품이 반드시 거론된다. 이 걸작들은

    중앙일보

    2013.11.16 00:29

  • [대학생 칼럼] 관객의 볼 권리

    [대학생 칼럼] 관객의 볼 권리

    곽현주동서대학교방송영상전공 4학년 영상 저널리즘을 공부하다 보면 ‘표현의 자유 제한’과 ‘관객의 기회 부여’라는 엇갈리는 두 가지 가치 사이에서 종종 길을 잃고 헤맨다. 물론 대부

    중앙일보

    2013.11.16 00:29

  • 김수근 다시 보기 … 그 빛과 그늘

    김수근 다시 보기 … 그 빛과 그늘

    20여 년 방치됐다가 내년 4월 중순 복합문화예술공간인 ‘KT&G 상상마당 춘천’으로 되살아나는 춘천어린이회관. 건축가 김수근의 1980년 작품으로 날개 모습의 좌우 대칭 형태를

    중앙일보

    2013.10.15 00:43

  • 담백한 우윳빛에 풍만한 몸체 … 절정의 원숙미

    담백한 우윳빛에 풍만한 몸체 … 절정의 원숙미

    국보 제309호인 백자대호. 보름달같이 동그란 아름다운 원형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관련기사 한가위 보름달 닮은 달항아리 가마에서 꼬박 이틀 … 잘 익은 달을 꺼내자 교향악

    중앙선데이

    2013.09.15 00:32

  • 한민족 아득한 뿌리 찾는 100세 문화인의 서사시

    한민족 아득한 뿌리 찾는 100세 문화인의 서사시

    출판사:수류산방 쪽수: 250쪽 가격: 1만8000원 올 1월 신년특집 기사를 쓰기 위해 100세 문화인 박용구(1914~) 옹을 만났을 때 미증유의 경험이 내 생각의 저수지로

    중앙선데이

    2013.08.16 23:55

  • [이훈범의 세상탐사] 친구의 자랑스러운 언론인 아버지

    [이훈범의 세상탐사] 친구의 자랑스러운 언론인 아버지

    중학교에 들어가서 처음 사귄 친구 아버님이 큰 신문사의 광고국장이셨다. 자가용이란 말이 귀에 설던 시절, 번쩍거리는 검정 ‘피아트 124’ 뒷자리에 늠름하게 앉아 계시던 분이었다.

    온라인 중앙일보

    2013.08.04 06:06

  • [이훈범의 세상탐사] 친구의 자랑스러운 언론인 아버지

    [이훈범의 세상탐사] 친구의 자랑스러운 언론인 아버지

    중학교에 들어가서 처음 사귄 친구 아버님이 큰 신문사의 광고국장이셨다. 자가용이란 말이 귀에 설던 시절, 번쩍거리는 검정 ‘피아트 124’ 뒷자리에 늠름하게 앉아 계시던 분이었다

    중앙선데이

    2013.08.04 02:43

  • [책과 지식] 하나의 말을 들으면 하나의 빛을 보는 것이다

    [책과 지식] 하나의 말을 들으면 하나의 빛을 보는 것이다

    독일 화가 그뤼네발트의 ‘십자가형’(1509~1511). 갈기갈기 찢긴 듯한 예수의 최후를 보여준다. 막스 피카르트는 “그림은 침묵과 말 사이에 있다. 그림은 침묵에, 그리고 말에

    중앙일보

    2013.07.06 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