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한국호랑이

    [분수대] 한국호랑이

    조선 순조 24년(1824년) 6월이었다. 함경도 안변 관아에서 군관으로 일하는 김광재의 집에 사나운 호랑이가 들어왔다. 호랑이가 김광재를 물고 나가려 하자 예순이 넘은 그의 아내

    중앙일보

    2009.11.12 21:05

  • 고구려 벽화에도 나오는 ‘얼룩빼기 황소’ 다시 운다

    고구려 벽화에도 나오는 ‘얼룩빼기 황소’ 다시 운다

    박연수 연구사지난 13일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강원도축산기술연구센터. 해발 600m의 제2우사 앞 초지에는 50여 마리의 소가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었다. 이 가운데 30여 마리는

    중앙일보

    2009.10.27 01:42

  • ‘살아있는 보석’흑진주가 남태평양서 영근다

    ‘살아있는 보석’흑진주가 남태평양서 영근다

    남태평양의 도서국가인 마이크로네시아 연방국의 축(Chuuk)주 바다는 유리알처럼 맑다. 그 속에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보기 어려운 흑진주 조개가 살고 있다. 한국해양연구원 박흥식(

    중앙일보

    2009.08.23 19:01

  • 우포늪 따오기 텃새 만든다

    우포늪 따오기 텃새 만든다

    경남도가 20일 경남 창녕 따오기 복원센터 내부를 언론에 처음으로 공개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 중국에서 들여 온 6년생 따오기 수컷 양저우(洋洲·左)와 암컷 룽팅(龍亭). [송

    중앙일보

    2009.07.21 01:40

  • 따오기 복원사업 흔들리나

    따오기 복원사업 흔들리나

    지난해 10월 중국에서 들여 온 6년생 따오기인 양저우(洋洲)·룽팅(龍亭)의 새끼 두 마리가 죽자 복원사업을 추진해 온 경남도·창녕군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경남도·창녕군은 사고

    중앙일보

    2009.07.17 02:03

  • “말 바쳐라” 조정의 독촉에 준마는 다 서울 가고 조랑말만

    /* 우축 컴포넌트 */.aBodyComTit {background-color:#0a6a46; font-size:12px; font-weight:bold; color:#fff;

    중앙일보

    2009.07.10 16:00

  • 種 보전과 질병 연구, 적극적으로 나서야

    세계 각국의 동물원들은 ‘종(種) 보전’을 미래의 화두로 삼고 있다. ‘종 보전’은 멸종위기 동물의 건강한 종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번식관리를 해나가는 것을 말한다. 최종 목표는 희

    중앙선데이

    2009.06.14 01:04

  • 31년 만에 ‘아기 따오기’ 봤다

    31년 만에 ‘아기 따오기’ 봤다

     경남 창녕에 정착한 ‘우포 따오기’의 2세 한 마리가 탄생했다. 수컷 양저우(洋洲)와 암컷 룽팅(龍亭) 따오기 부부가 낳은 알이 껍질을 깨는 진통 30시간여 만인 4일 오후 11

    중앙일보

    2009.05.06 04:12

  • [새로나온책] 한자의 세계 外

    [새로나온책] 한자의 세계 外

    인문·사회 ◆한자의 세계(시라카와 시즈카 지음, 고인덕 역, 솔, 659쪽, 3만5000원)=‘일본 현대 최후의 석학’으로 불린 저자 시라카와(1910~2006)가 갑골문과 금문에

    중앙일보

    2008.11.08 00:44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서 가장 비싼 닭 내놓은 정태한씨

    [커버스토리] 대한민국서 가장 비싼 닭 내놓은 정태한씨

    닭과 놀다 닭과 하나가 됐다. 어깨에 올라 앉은 수탉의 자세가 주인을 닮았다. 그러고 보니 주인의 턱수염은 닭의 벼슬을 닮았다.누런 소만 한우가 아니다. 검은 소도 있고 얼룩빼기

    중앙일보

    2008.08.22 03:30

  • 메이지 유신 때부터 100년 종자 개량한 일본 ‘와규’

    메이지 유신 때부터 100년 종자 개량한 일본 ‘와규’

    일본이 “세계 최고의 품질”이라고 자랑하는 와규(和牛ㆍ사진)도 한우처럼 종자개량의 산물이다. 차이라면, 한우의 종자개량 역사가 25년에 불과한 반면 와규는 1세기에 이른다는 점이

    중앙일보

    2008.07.13 13:18

  • 200만 마리 한우, 아빠 소는 50마리

    200만 마리 한우, 아빠 소는 50마리

    우리나라 한우 200만마리의 '아비'는 몇마리일까. 정답은 50마리다. 이들은 모두 충남 서산의 한 '사관학교'에 모여있다. 농협중앙회 산하 한우개량사업소가 바로 그곳이다. 지난

    중앙일보

    2008.07.13 13:12

  • 메이지 유신 때부터 100년 종자 개량한 일본 ‘와규’

    메이지 유신 때부터 100년 종자 개량한 일본 ‘와규’

    일본이 “세계 최고의 품질”이라고 자랑하는 와규(和牛·사진)도 한우처럼 종자 개량의 산물이다. 차이라면 한우의 종자 개량 역사가 25년에 불과한 반면 와규는 1세기에 이른다는 점

    중앙선데이

    2008.07.12 23:39

  • 200만 마리 한우, 아빠 소는 50마리

    200만 마리 한우, 아빠 소는 50마리

    충남 서산의 한우개량사업소에 있는 ‘보증’ 씨수소들. 귀에 ‘626’ 숫자카드를 매단 소(오른쪽)가 국내 최우수 황제소인 ‘KPN626(등록관리번호)’이다. 최정동 기자 KPN6

    중앙선데이

    2008.07.12 23:36

  • 황금미꾸라지 잡혔다

    황금미꾸라지 잡혔다

    충북 옥천의 금강 지류서 온몸에 황금색을 띤 희귀한 미꾸라지가 잡혔다. 18일 옥천군에 따르면 옥천읍사무소 청원경찰로 근무하는 박일흠(56) 씨가 15일 옥천군 동이면 세산리 금강

    중앙일보

    2008.06.19 01:29

  • 따오기 마침내 한국 온다 … 후진타오, MB에 기증 약속

    따오기 마침내 한국 온다 … 후진타오, MB에 기증 약속

    중국 산시성 양셴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따오기의 모습. 중국은 멸종 위기에 처했던 따오기를 복원했고 현재 양셴 지역에는 1000여 마리의 따오기가 살고 있다. [중앙포토]한반도에서

    중앙일보

    2008.05.29 01:33

  • 태국서 현대판 ‘노아의 방주’ 들어왔다

    태국서 현대판 ‘노아의 방주’ 들어왔다

    체온을 유지하고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담요로 단단히 싸놓았다. 최정동 기자 한국을 처음 찾은 ‘태국 손님’의 주둥이는 고무밴드 수십 개로 묶여 있었다. 그렇게 했

    중앙일보

    2008.01.27 11:34

  • 태국서 현대판 ‘노아의 방주’ 들어왔다

    태국서 현대판 ‘노아의 방주’ 들어왔다

    체온을 유지하고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담요로 단단히 싸놓았다. 최정동 기자 한국을 처음 찾은 ‘태국 손님’의 주둥이는 고무밴드 수십 개로 묶여 있었다. 그렇게 했

    중앙선데이

    2008.01.26 23:20

  • 소통 기다리는 생명체 지하철

    소통 기다리는 생명체 지하철

    대도시는 살아있다지구가 살아있다는 말은 나무든 흙이든 모든 구성 요소들이 서로 관계 맺으며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도시가 살아있다면 그건 바로 이런 의미에서다. 대도시는

    중앙선데이

    2007.11.11 03:52

  • 주일우의 과학문화 에세이-이미지에 걸린 과학

    주일우의 과학문화 에세이-이미지에 걸린 과학

    사람과 가장 가까운 동물로 꼽히는 유인원에는 고릴라·오랑우탄·침팬지, 그리고 보노보가 있다. 보노보는 처음에 침팬지의 아종인 피그미 침팬지로 알려졌다. 하지만 90년 전쯤부터 사람

    중앙선데이

    2007.06.30 19:37

  • 서울대 조사위 발표 요약본

    황우석 교수 연구의혹관련 서울대학교 조사위원회 최종결과보고 -기자회견문 황우석 교수팀의 사이언스 논문에 대해 제기된 의혹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성된 서울대학교 조사위원회는 200

    중앙일보

    2006.01.10 10:59

  • '원천기술' 판정 고심 … 외부 자문 의뢰

    황우석 교수를 둘러싼 의혹이 한 꺼풀씩 벗겨지고 있다.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의 핵심인 맞춤형 줄기세포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은 문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2004년 논문

    중앙일보

    2005.12.30 06:32

  • [내고장화제] 남북한 '통일견' 탄생 임박

    [내고장화제] 남북한 '통일견' 탄생 임박

    충북도 축산위생연구소에서 육성중인‘충북견’. [연합뉴스] 남·북의 개를 결혼시켜 새로운 품종의 남북통일개를 만드는 '충북견' 육성사업이 머지않아 결실을 맺을 전망이다. 충북도 축산

    중앙일보

    2005.12.29 23:07

  • 금붕어, 예쁘고 특이하죠

    금붕어, 예쁘고 특이하죠

    몸이 유선형이 아니라 공처럼 둥근 '진주린( 珍珠鱗)', 두 눈이 하늘을 향한 '정천안(正天眼)', 눈 밑에 풍선 같은 임파액주머니가 달린 '수포안(水泡眼)', 머리에 숫사자 털

    중앙일보

    2005.07.07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