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茶山을 ‘실학의 호리병’에 가두지 말라

    茶山을 ‘실학의 호리병’에 가두지 말라

    사진 신인섭 기자 다산을 둘러싼 오해들다산(茶山)을 다산(多産)이라고 해야 할 만큼 정약용의 저술은 다종하고 방대했다. 그런 만큼 다산에 대한 신간이 줄을 잇는 것도 하등 놀랄

    중앙선데이

    2007.06.23 19:02

  • "1930년대 대만에 최승희 열풍" … 한류 원조

    "1930년대 대만에 최승희 열풍" … 한류 원조

    당대 최고의 무용가로 꼽히던 최승희(1911~67). 일제 강점기 나라 잃은 설움을 딛고 시대를 앞서가는 춤사위를 선보였던 그녀가 당시 대만에 '조선붐'을 일으킨, '한류(韓流)'

    중앙일보

    2007.06.23 05:21

  • 소 ‘몰던’ 世宗, 소 ‘끌던’ 正祖

    소 ‘몰던’ 世宗, 소 ‘끌던’ 正祖

    사진 신인섭 기자 1. 공론정치, 조선 정치의 핵심 이런 가설이 있다. 오늘의 선진화된 유럽 국가는 봉건시대 말기에 하나같이 강력한 절대왕정기를 거쳤으며, 절대왕정기라는 안정된

    중앙선데이

    2007.06.09 17:02

  • [BOOK책갈피] 다빈치도 예술가 대접 못 받았대

    예술의 탄생 래리 쉬너 지음, 김정란 옮김, 들녘, 504쪽, 2만3000원 '예술'의 반대말은 뭘까. 이 책에 따르면 18세기 이전에는 '자연'이었고, 그 이후에는 '기술'이다.

    중앙일보

    2007.05.18 20:38

  • 박사 실업자가 ‘공부 귀신’ 女두목 되다

    박사 실업자가 ‘공부 귀신’ 女두목 되다

    수유리 언저리에서 출발했지만 이제는 용산동에 둥지를 튼 ‘수유+너머’ 카페에 고미숙(오른쪽)씨와 장정일씨가 마주앉았다. 소박한 공부방이 유명한 ‘대중 아카데미’로 쑥쑥 자란 중심

    중앙선데이

    2007.04.26 13:47

  • 거리의 학문 복권시킨 ‘미신업계 박사’

    거리의 학문 복권시킨 ‘미신업계 박사’

    사주팔자, 풍수, 점(占)을 주특기로 가진 강호(江湖) 동양학자 조용헌. 조선시대와 일제와 근대를 거치며 탄압받아온 우리 이야기들을 오늘에 되살린다. 제도권의 눈으로 보자면 미신

    중앙선데이

    2007.04.15 06:48

  • [BOOK꿈나무] "딸은 12살에 결혼했단다, 로마에선 …"

    [BOOK꿈나무] "딸은 12살에 결혼했단다, 로마에선 …"

    딸은 아들이 아니다 비프케 폰 타덴 지음, 이수영 옮김 아이세움, 307쪽, 1만2000원, 중학생 이상 해박한 역사 지식을 가진 할머니가 손녀딸과의 정담(情談)을 통해 귀에 쏙쏙

    중앙일보

    2007.03.30 19:10

  • [문화단신] '문화 유산 교육' 세미나 外

    ◆'문화 유산 교육' 세미나 문화유산시민단체인 ㈔한국의 재발견은 14일 서울 필동 한국의집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이해와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연다. 유네스코 한국위원

    중앙일보

    2006.12.11 20:45

  • [노트북을열며] '나운규 차례상' 빼먹은 충무로

    [노트북을열며] '나운규 차례상' 빼먹은 충무로

    추석 연휴, 극장가에 '풍년가'가 메아리친다. 열흘 가까운 황금 연휴, 충무로가 호기를 놓칠 리 없다. 들판에 떨어진 이삭 하나라도 건지려는 듯 한국 영화의 관객 확보전이 뜨겁다

    중앙일보

    2006.10.04 17:50

  • 이 가을 멋진 뮤지컬 데이트 어때요?

    이 가을 멋진 뮤지컬 데이트 어때요?

    [뮤지컬] 아이러브유 뮤지컬 '아이 러브 유'가 세 번째 시즌을 시작한다. 이 작품은 2004년 초연 이래 31만여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한국 뮤지컬 사상 최고 히트작 중 하나로

    중앙일보

    2006.08.29 13:24

  •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영화로 보는 20세기 전쟁(이성주 지음, 가람기획, 360쪽, 1만2000원)='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밀러 대위는 왜 라이언 일병을 구하러 유럽을 헤매다녔을까. 알고

    중앙일보

    2006.03.24 21:20

  • [분수대] 해서파관

    [분수대] 해서파관

    중국 지도자 마오쩌둥은 역사적 인물을 등장시켜 통치에 활용하곤 했다. 그는 역사서를 놓지 않았던 독서광이었다. 1959년 4월. 마오는 명(明) 왕조의 해서(海瑞)를 띄웠다. 부

    중앙일보

    2006.02.22 20:52

  •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영남을 알면 한국사가 보인다(대구사학회 엮음, 푸른역사, 440쪽, 1만5000원)=박제상.김유신.일연.사명당.이육사.전태일 등 고대부터 현대까지 우리 역사의 주요 부

    중앙일보

    2005.12.23 21:00

  • [Book/차한잔] 공임순씨, 친일 지식인의 자기합리화 다룬 비평서

    [Book/차한잔] 공임순씨, 친일 지식인의 자기합리화 다룬 비평서

    "문학작품 등을 통해 본 해방 이후 한국사는 부끄러움을 없애버린 역사입니다." 최근 '식민지의 적자들'(푸른역사, 500쪽, 1만9500원)을 펴낸 공임순(36.서강대 국문학 박

    중앙일보

    2005.03.04 17:20

  • 獨 '리베라투르' 문학상 수상 소설가 이혜경씨

    獨 '리베라투르' 문학상 수상 소설가 이혜경씨

    소설가 이혜경(44)씨가 지난 27일 독일 라이프치히 도서전시회에서 권위있는 문학상인 리베라투르상 장려상을 받았다. 수상작은 '길위의 집'. 시상식 하루 전인 26일 작품 낭독회

    중앙일보

    2004.03.30 17:20

  • [공연] 연극 '옥단어!'

    극작가인 차범석 예술원 회장의 최근 희곡을 바탕으로 한 연극 '옥단어!'가 연희단거리패의 이윤택씨 연출로 13~20일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무대에 오른다. 일제시대 말부터 해방

    중앙일보

    2003.12.11 17:47

  • [프리뷰&리뷰] '신학철-우리가 만든 거대한 상' 展

    [프리뷰&리뷰] '신학철-우리가 만든 거대한 상' 展

    '신학철'이란 이름은 한국 미술계에서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1980년대 초에 발표한 '한국 근대사' 연작에서 근작 '한국 현대사-갑순이와 갑돌이'까지 지난 20여년

    중앙일보

    2003.11.18 17:03

  • [대중출판] '모던 보이 경성을 거닐다'

    모던 보이 경성을 거닐다/신명직 옮김, 현실문화연구/1만5천원 "행상들이 돈푼이나 모아보자고 땐스홀 허가원을 제출하면 불허가이지만, 요사이 카페서는 공공연하게 땐스가 대유행이다.

    중앙일보

    2003.02.21 17:03

  • "남자다움에 멍들었다" 고달픈 수컷♂

    위대한 Y 염색체 나라의 몰락, 기계 발달로 근육의 힘은 상대적으로 보잘것 없어졌고 현대 남성들은 정체성 위기를 겪고 있는 중…, 그런 까닭에 감성 영역을 주무르는 여성주의는 뜨

    중앙일보

    2002.04.27 00:00

  • "소설가 김정한 親日작품 발견" 박태일 교수

    경남대 박태일(국문학·48·사진)교수가 요산(山) 김정한(金廷漢·1908~1996)이 친일 작품을 썼다고 주장해 파장이 일고 있다. 요산은 36년 일제 시대 소작농의 참혹한 현실

    중앙일보

    2002.04.18 00:00

  • [NIE] 드라마 사극의 허와 실

    '태조 왕건’ ‘여인천하’ ‘명성황후’ ‘상도’ 등 방송 3사의 사극(史劇) 이 인기다. 사극은 교양을 쌓는데 도움이 된다는 순기능도 있지만 특성상 재미를 곁들이는 과정에서 사실을

    중앙일보

    2002.01.29 08:15

  • [NIE] 드라마 사극의 허와 실

    ‘태조 왕건’ ‘여인천하’ ‘명성황후’ ‘상도’ 등 방송 3사의 사극(史劇)이 인기다. 사극은 교양을 쌓는데 도움이 된다는 순기능도 있지만 특성상 재미를 곁들이는 과정에서 사실을

    중앙일보

    2002.01.29 00:00

  • ['극작가' 나는 이렇게 본다] 김방옥 교수

    2000년대에 들어선 연극계의 희망적 조짐의 하나로 젊은 극작가들의 출현을 꼽을 수 있다. 과거 1970년대의 이강백.최인훈.이현화.윤대성.노경식들 이후로 우리 극계는 줄곧 극작가

    중앙일보

    2001.10.10 08:03

  • ['극작가' 나는 이렇게 본다] 김방옥 교수

    2000년대에 들어선 연극계의 희망적 조짐의 하나로 젊은 극작가들의 출현을 꼽을 수 있다. 과거 1970년대의 이강백.최인훈.이현화.윤대성.노경식들 이후로 우리 극계는 줄곧 극작가

    중앙일보

    2001.10.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