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과학으로 세상보기] 이공계 자리와 몫

    며칠 전에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의 좌석 배치도가 언론에 공개되었다. 대통령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자리에 비서실장과 정책기획위원장이 앉고, 그 다음이 정책실장과 국가안보보좌관이었다

    중앙일보

    2004.05.27 18:47

  • [과학으로 세상보기] 오만한 국회 의사당

    로버트 모제스(Robert Moses)는 1930~50년 뉴욕시의 구조와 경관을 디자인했던 건축가이자 행정가였다. 그는 뉴욕의 주위에 여러 공원을 만들었는데, 특이하게도 존스비치

    중앙일보

    2004.05.13 19:0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인터넷 시대의 진실 게임

    영국의 마이클 패러데이는 발전기와 모터의 기본 원리가 된 전자기유도(電磁氣誘導) 현상을 발견한 19세기 저명한 과학자였다. 패러데이가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해 초보적인 발전기를 만

    중앙일보

    2004.04.29 18:32

  • [과학으로 세상보기] 판결의 확률 게임

    서구에는 배심원 제도가 있다. 국민 중에서 무작위로 뽑은 12명의 배심원이 법정에서 피고인의 유.무죄를 판결하는 제도다. 배심원들이 유죄를 판결하면 판사는 형량을 결정한다. 프랑스

    중앙일보

    2004.04.15 18:49

  • [과학으로 세상보기] 기초과학 왜 중요한가

    올해는 전자공학 100주년이다. 영국의 과학자 존 앰브로즈 플레밍이 2극 진공관을 발명한 것이 1904년인데, 이것은 곧 정류.증폭.발진이 가능한 3극 진공관으로, 3극 진공관은

    중앙일보

    2004.03.18 18:32

  • [과학으로 세상보기] '줄기세포 연구' 윤리문제 없나

    "프랑스 사람 중에는 무정부주의자도, 공산주의자도, 허무주의자도 있지만, 반(反)파스퇴르주의자는 단 한명도 없다. 과학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이제 애국심을 의심하는 것으로 변했다.

    중앙일보

    2004.03.04 18:54

  • [과학으로 세상보기] 연극 '코펜하겐'을 보고

    토론토에 들렀다가 연극 '코펜하겐(Copenhagen)'을 보았다. 영국의 작가 마이클 프레인(Michael Frayn)의 작품인 코펜하겐은 1998년 런던에서 초연한 이래 유럽의

    중앙일보

    2004.02.19 18:33

  • [과학으로 세상보기] 신임 과학기술 보좌관께

    1년 전 참여정부가 신설한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은 과학기술계의 숙원이었다. 대통령의 보좌관이라는 자리는 대통령에게 과학기술계의 목소리와 과학기술의 현안을 효과적으로 보고하고,

    중앙일보

    2004.02.05 18:10

  • 무쇠솥 밥 맛있는 이유 있었네

    무쇠솥 밥 맛있는 이유 있었네

    인기 드라마 '대장금'의 주요 '조연'(?)중 하나는 수라간에 등장하는 무쇠솥이다. 무쇠솥에 불을 지펴 밥도 짓고 음식물을 볶고 찌는 등 골고루 쓴다. 그 중에서도 무쇠솥 밥맛은

    중앙일보

    2004.02.04 15:23

  • [칼럼] 확률이 안 통하는 核의 위험

    잘 알려진 확률 게임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전염병이 도는 지역에 6백명의 주민이 있는데, A방법을 사용하면 2백명이 확실하게 목숨을 건진다. 반면에 B방법을 사용하면 6백

    중앙일보

    2004.01.16 09:49

  • [과학으로 세상보기] 확률이 안 통하는 核의 위험

    잘 알려진 확률 게임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전염병이 도는 지역에 6백명의 주민이 있는데, A방법을 사용하면 2백명이 확실하게 목숨을 건진다. 반면에 B방법을 사용하면 6백

    중앙일보

    2004.01.15 18:43

  • 美공학교육인증원 조지 피터슨 사무총장 방한

    "공학은 호기심에 기반을 두고 뭔가를 만들어내는 학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어릴 때 누구나 갖고 있는 공학에 대한 흥미가 나이가 들면서 줄어듭니다. 이공계 기피 현상을 해소하려면 공학

    중앙일보

    2003.11.21 17:43

  • "기술인 공동화 막으려면 공직확대·신분보장 해야".

    국가적 위기로 떠오른 '이공계 엑소더스'현상을 어떻게 하면 극복할 수 있을까. '이공계 공동화 현상의 진단과 대응'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11일 경실련과 한국과학기술인연합 공동주최

    중앙일보

    2003.11.12 18:46

  • [부고] 金賢明 전 기독교 대한성결교회 총회장 별세 外

    ▶金賢明씨(전 기독교 대한성결교회 총회장)별세, 金喜鳳(그리스도신학대 교수).喜俊씨(대광중 교사)부친상=12일 오전 10시 삼성서울병원, 발인 14일 오전 10시, 3410-691

    중앙일보

    2003.11.12 17:26

  • [중앙 시평] 이공계는 왜 손해봐야 하나

    최근 액정표시장치(LCD).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 디스플레이가 수출의 효자로 급부상하고 있다. 사실 이 품목들은 일본이 오랫동안 막강한 기술력으로 세계를 제패하던 것

    중앙일보

    2003.07.09 18:43

  • [사랑방] 김흥주씨 중앙회장 선출 外

    ◇새 의자 ▶김흥주(金興柱) 한국전자정보시스템 대표이사가 최근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제33회 총회에서 제17대 중앙회장으로 선출됐다. ▶이수동(李守東)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가 최근

    중앙일보

    2003.02.25 17:44

  • 옛날 자물쇠라고 얕보다간 큰코 다쳐요

    지난 11월 전통 자물쇠 특별전시회가 열린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잠겨진 전통 자물쇠를 여는 관람객에는 도서상품권을 주는 체험행사가 열렸다. 자물쇠는 1800년대 쓰던 것이었다.

    중앙일보

    2002.12.26 00:00

  • 盧 "軍복무 2~4개월 단축"

    민주당 노무현(盧武鉉)후보는 8일 "일반 현역병의 복무 기간을 현행 26개월에서 24개월로 단축하고 안보 환경과 국민 여론·전력 상황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22개월까지 복무기간을

    중앙일보

    2002.12.09 00:00

  • '과학섹션' 과학문화재단과 함께 만듭니다

    국내 신문 중 유일하게 과학섹션을 내는 중앙일보와 과학 대중화 운동을 선도하는 한국과학문화재단은 7월 31일자부터 과학섹션 중 2개 면을 공동 기획해 만듭니다. 아울러 과학이 미

    중앙일보

    2002.07.31 00:00

  • 사랑방

    ◇추도식=이승만박사기념사업회(회장 홍석현)는 고(故)이승만 박사의 37주기 추도식을 19일 오전 10시 서울 국립묘지 현충관에서 한다. ◇심포지엄=홍성태 한국전략문제연구소장은 1

    중앙일보

    2002.07.19 00:00

  • 새 국립과학관 과천에 짓는다 대공원 옆… 2006년 완공

    새 국립과학관 부지가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 옆 10만평으로 결정됐다. 채영복 과학기술부 장관은 26일 수도권 14개 지자체가 응모한 후보지를 검토한 결과 과천시가 제안한 곳(과

    중앙일보

    2002.02.27 00:00

  • "과학을 고교 필수과목으로"

    "대덕연구단지 연구원인 나도 아이가'이공계에 가겠다'고 하면 '뭐든 들어줄테니 그러지 마라'고 한다." "고교 이과 학생들도 기초과학이나 공학보다 의대를 선호한다." "시·군마다

    중앙일보

    2002.02.25 00:00

  • [청소년 과학교실] 붉은 양배추 '지시약' 만들자

    ◇ 준비물=붉은 양배추.비커.알콜램프.레몬주스.식초.소다수.양잿물 ◇ 실험방법 ①붉은 양배추 잎을 잘게 썰어 비커에 4분의1쯤 채운다. ②물을 비커에 절반쯤 채우고 알콜 램프로 가

    중앙일보

    2001.12.10 00:00

  • 수도권 지자체, 국립과학관 유치 치열

    정부가 추진하는 국립과학관 이전을 둘러싸고 이를 유치하려는 경기도내 각 기초자치단체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장소가 비좁고 전시시설이 낡아 관람객 수용에 어려움을

    중앙일보

    2001.11.01 1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