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아버지의 길' 좇는 자매 문화재위원

    '아버지의 길' 좇는 자매 문화재위원

    25일 문화재청이 위촉한 문화재위원 120명 중에 자매 위원이 탄생해 화제다. 동산문화재분과 김리나(65.(左)) 홍익대 교수와 근대문화재분과 김영나(56.(右)) 서울대 교수가

    중앙일보

    2007.04.27 05:15

  • 휘문고 개교 100돌 맞이 동문 축제 '문화의 밤'

    휘문고(교장 김선규)가 내년 개교 100주년을 앞두고 9일 서울 잠실 올림픽 메인스타디움에서 대규모 전진대회를 연다. 재학생과 동문.가족 등 1만여 명이 모인 가운데 치러질 '휘문

    중앙일보

    2005.10.07 04:09

  • [2004년 떨어진 별 - 국내] 시대를 빛냈던 그들

    [2004년 떨어진 별 - 국내] 시대를 빛냈던 그들

    '고통과 죽음은 인생의 한 부분'이라는 격언처럼 살아 있는 그 누구도 죽음을 피할 길은 없다. 세상을 휘어잡았던 권력가도, 노벨상에 빛나는 학자도, 은막의 전설이라 불리던 스타도

    중앙일보

    2004.12.29 17:50

  • 고 고병익-이기백 선생에 국민훈장 추서키로

    고 고병익-이기백 선생에 국민훈장 추서키로

    정부는 올 5월과 6월에 잇따라 타계한 한국 역사학계의 거목 고병익(左)전 서울대 총장과 이기백(右)전 서강대 교수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키로 했다. 훈장은 오는 7일 유족

    중앙일보

    2004.09.30 21:06

  •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원로 역사학자 이기백 전 서강대 교수가 2일 오전 5시45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80세. 광복 후 역사학계 1세대로서 한국 고대사와 한국 사학사(史學史) 분야를 대표했던 고인은

    중앙일보

    2004.06.02 18:50

  • [사람 사람] 이 시대의 화두를 漢詩에 녹여

    [사람 사람] 이 시대의 화두를 漢詩에 녹여

    ▶ 2001년에 열린 시회에 참석해 시상(詩想)을 가다듬고 있는 회원들. 왼쪽부터 조순.故 고병익.이우성.김동한씨. 사회 각계의 원로들로 구성된 한시(漢詩) 짓는 모임 '난사(蘭社

    중앙일보

    2004.05.27 18:21

  • 고병익 前 서울대 총장 영전에

    고병익 前 서울대 총장 영전에

    "잠깐이야!" 두달 전 선생님께서 혼수 상태에 들어가신 것 같다는 큰 따님(고혜령 박사)의 다급한 연락을 받고 병실로 달려갔을 때 선생님께서 제게 하신 말씀이지요. 아마도 그 순간

    중앙일보

    2004.05.20 18:55

  • [삶과 추억] 고병익 전 서울대 총장 별세

    [삶과 추억] 고병익 전 서울대 총장 별세

    한국 역사학계의 원로 고병익(高柄翊)전 서울대 총장이 19일 오후 3시45분 별세했다. 80세. 고인은 지난 6개월간 투병 생활을 하면서도 역사 연구에 손을 떼지 않아 마지막 저

    중앙일보

    2004.05.19 21:29

  • [week& 클로즈 업] 학계·문화계 왕년의 별 다 모였다

    [week& 클로즈 업] 학계·문화계 왕년의 별 다 모였다

    ▶ 윗줄 왼쪽부터 조순.박영숙.김동진.이규태.이인호.이기백.김백봉.김동길.유현목.한운사.정원식씨.지난 3일 오전 11시쯤의 풍경이다. 서울 서소문에 자리잡은 명지빌딩 20층 세미나

    중앙일보

    2004.03.11 15:45

  • 하멜표류 350주년 국제학회

    하멜표류 350주년 국제학회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서기였던 헨드릭 하멜(1630~1692)의 한반도 표류 3백50주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열린다. 주제는 ‘하멜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17세기 당시 세

    중앙일보

    2003.09.23 20:24

  • '재외동포 교육' 국제 학회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이사장 서영훈)은 7월 29일부터 8월 1일까지 전세계 30여개국의 한글 교사와 한국학 교수 및 전문가 등 2백50여명를 초청, 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 홀에서

    중앙일보

    2003.07.25 08:39

  • 명지학원 '원로 사랑방' 열어

    명지학원(이사장 유영구)은 70세 이상 학계·문화계 원로들을 위한 사랑방인 '태평관 기숙당'을 23일 서울 중구 서소문동 명지빌딩 20층에 열었다. 35평 크기의 이 사랑방은 원

    중앙일보

    2002.12.24 00:00

  • 학술·문화계 원로 위한 사랑방 생긴다 명지학원 '태평관기숙당' 서소문에 세워

    서울 중구 서소문동 명지빌딩 20층에 70세 이상 학계와 문화계 원로들을 위한 사랑방인 '태평관기숙당'이 오는 23일 창립회원 첫 모임을 갖는다. 명지대 학교법인인 명지학원(이사

    중앙일보

    2002.12.19 00:00

  • 本社 권영빈주필 장지연賞 수상

    일제시대 언론인이자 사학자인 위암(韋庵) 장지연(張志淵)선생을 기려 제정한 '위암 장지연상' 제13회 시상식이 1일 오후 7시 한국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

    중앙일보

    2002.11.02 00:00

  • 정운찬 서울대총장의'스승사랑' 조순씨 명예교수로 추대

    조순(趙淳·72)전 서울시장이 애제자인 정운찬(鄭雲燦)서울대 총장에 의해 최근 서울대 명예교수로 추대됐다. 이에 따라 趙전 시장은 1988년 12월 경제부총리를 맡아 학교를 떠난

    중앙일보

    2002.09.18 00:00

  • 명지대 신임 석좌·초빙 교수

    명지대에 유명인사들이 석좌교수로 속속 몰리고 있다. 명지대는 21일 조순(趙淳·74) 전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경제학과 석좌교수로, 김철수(金哲洙·69) 전 서울대 교수를

    중앙일보

    2002.02.22 00:00

  • [성명발표 참가 원로 명단]

    성숙한 사회 가꾸기 모임 '국민들에게 드리는 말씀' 성명 발표 명단-대표 - 김태길 (서울대 명예교수.학술원 부회장) , 강영훈 (전 국무총리.전 도산기념사업회 회장) , 김용준

    중앙일보

    2001.08.14 20:38

  • 국가기록 관리 전문가 키운다…17일 '교육원'개원

    "5월 광주민주화항쟁의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도 관련기록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건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서는 산만하게 흩어진 기록들 뿐 아니라 관련 당

    중앙일보

    1999.05.14 00:00

  • '스승의 기리는 사은의 밤' 행사 개최

    신사회공동선운동연합 (상임대표 서영훈) 이 주최하는 '고마우신 스승을 기리는 사은의 밤' 행사가 12일 오후 6시 서울 힐튼호텔에서 개최됐다. 올해는 각계 인사가 추천한, 국가발전

    중앙일보

    1999.05.13 00:00

  • 6백주년 기념사업추진 자문회의

    성균관대 (총장 丁範鎭) 는 15일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건학 6백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의 제1차 자문회의를 열고 기념사업 자문과 사업추진 경과 및 기념사업 설명보고회를 가졌다

    중앙일보

    1998.01.17 00:00

  • [모임]97 대한민곡 학술원장 시상식

    …97년 대한민국 학술원상 시상식이 19일 오후2시 서울서초구반포동 학술원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대한민국학술원 (회장 李賢宰) 이 주최한 이 행사에서는 인문과학부문에 李敦熙 한국교

    중앙일보

    1997.09.20 00:00

  • 한국 국가기록 '허술' 각계인사 100여명 '재단설립준비위' 발족

    조선시대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선조들의 기록의식에 놀라곤 한다. '조선왕조실록' 을 비롯, '비변사등록 (備邊司謄錄)' '승정원일기 (承政院日記)' 등 역사기술의 기초자료가 되는 국

    중앙일보

    1997.07.15 00:00

  • 제11회 心山상 시상식

    성균관대 초대총장인 심산(心山) 金昌淑 선생의 항일독립투쟁과 반독재 민주통일운동의 정신을 기리고자 제정된 심산상 시상식(제11회)이 6일 오후4시 서울세종문화회관에서 심산사상연구회

    중앙일보

    1997.05.07 00:00

  • 韓.日 역사공동硏 年內 발족 힘들듯

    한.일역사공동연구회의 발족이 한국측 위원 인선문제로 해를 넘길 전망이다. 정부는 한.일 양국 지식인의 과거사 공동연구 모임인 역사공동연구회를 연내 발족한다는 방침아래 고병익(高柄翊

    중앙일보

    1996.12.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