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조우석 칼럼] 예술 수호천사, 속깊은 후원자들

    눈 밝은 컬렉터·후원가로 페기 구겐하임이 유명하다. 20세기 초 미국에 현대미술을 이식했던 ‘모더니즘의 여왕’인 그와 함께 영국 광고재벌 출신의 아트홀릭(예술중독자) 찰스 사치도

    중앙일보

    2009.12.25 01:15

  • 盧 전 대통령 초상화 공개

    관련사진 수묵화가 김호석(52)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가 26일 노 전 대통령의 초상화 제작에 얽힌 일화를 소개했다. 노무현 전대통령 서거 특집"사저 옆 장지는 관광지 겸 선산될

    중앙일보

    2009.05.26 09:44

  • 전철 타고 주말 여행 떠나볼까

    불경기 때문에 차를 몰고 멀리 지방으로 떠나는 주말 여행은 엄두가 나지 않는 요즘이다. 그렇다면 전철 타고 떠나는 주말 여행은 어떨까. 충남 아산까지 이어지는 장항선과 양평 국수까

    중앙일보

    2009.02.24 11:37

  • [J-Style] 서양 패션 진화시킨 ‘아시아 영감’

    [J-Style] 서양 패션 진화시킨 ‘아시아 영감’

     “오바마가 미국의 흑인 대통령 후보가 된 것이 그렇게 역사적인 순간은 아니다. 오히려 오바마의 부인 미셸이 민주당 전당대회에 아시아 디자이너의 옷을 입고 나온 것이야말로 경천동지

    중앙일보

    2008.10.01 01:49

  • 생동하는 갯벌과 느림의 미학이 있는 섬, 증도

    생동하는 갯벌과 느림의 미학이 있는 섬, 증도

    가족들의 갯벌체험 전라남도 신안군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1000개가 넘는 섬으로 이루어진 곳이다. 그 수많은 섬들 중에서도 특히 ‘증도'가 최근 들어 생태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중앙일보

    2008.09.15 00:17

  • [귀띔! 문화 내비게이션] 철학, 미술을 만나다

    [귀띔! 문화 내비게이션] 철학, 미술을 만나다

    전시 ◆이기봉 개인전: 젖은 정신(The Wet Psyche)=파란 수조 속에서 유유히 헤엄치는 책 한 권.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다. 흐느적거리는 ‘지성의 상징’을 보며

    중앙일보

    2008.09.08 02:13

  • 대한민국 구석구석 용구혜자의 전남 조도군도

    대한민국 구석구석 용구혜자의 전남 조도군도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이른 새벽. 짙은 해무 사이로 배 한 척이 불쑥 모습을 나타낸다. 상조도 앞바다에서 갈매기 무리와 합류한 뒤, 여명 속에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는 섬과 섬

    중앙일보

    2008.06.12 15:11

  •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순례] 11. 중국 지안(集安)의 고구려 돌무지무덤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순례] 11. 중국 지안(集安)의 고구려 돌무지무덤

    이번 국토박물관 순례는 무대를 잠시 중국 지린성 지안에 있는 고구려 돌무지무덤으로 옮긴다. 사실 나는 국토박물관 순례기를 마치면 뒤이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해외편으로 중국과 일

    중앙일보

    2004.01.29 17:58

  • [방송] 외국인이 진행하는 한글 다큐

    5백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우리의 문자 한글. 우수하고 과학적인 문자라고들 하는데 정말 그런 걸까. 우리 끼리 그저 자기 만족에 빠져 떠드는 것은 아닐까. 유치원생부터 40~50대

    중앙일보

    2003.10.07 17:26

  • [세밑 산행 어디가 좋을까…]

    슬픈 사슴의 전설을 간직한 한라산 백록담(1천9백50m)이 ‘동화속 은빛 세계’로 바뀐다. 백두대간을 따라 불어온 매서운 북서풍이 한바탕 휘몰아 친 태백산의 주목은 흰옷을 걸친 상

    중앙일보

    2001.12.28 00:00

  • [문화 노트] 동양화의 젊은 파수꾼들

    동양화, 혹은 한국화 분야는 쇠퇴하는 장르다. 우선, 세태가 선비정신을 숭상하지 않는다. 그림속에서 문자향이니 서권기(書券氣) 니 하는 고고한 기운을 느낄 감성들이 없다. 1970

    중앙일보

    2001.09.24 07:45

  • [문화 노트] 동양화의 젊은 파수꾼들

    동양화, 혹은 한국화 분야는 쇠퇴하는 장르다. 우선, 세태가 선비정신을 숭상하지 않는다. 그림속에서 문자향이니 서권기(書券氣)니 하는 고고한 기운을 느낄 감성들이 없다. 1970년

    중앙일보

    2001.09.24 00:00

  • [삶과 문화] 색치 (色癡) 문화

    나는 화가라는 직업 때문에 가끔씩 색채문화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질문을 하는 사람 대부분이 '한국은 전통적으로 과학적이지 못한 색채문화를 가졌을 것'

    중앙일보

    2001.09.01 00:00

  • 한국화 채색기법의 뿌리 만난다

    전통회화에 동원됐던 재료들인 채색 안료(顔料) 와 접착제에 관해 포괄적이면서도 세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국내 첫 연구서인 신간 『우리 그림의 색과 칠』은 다소 전문적이다. 때문에

    중앙일보

    2001.07.21 07:55

  • [신간 리뷰] '우리 그림의 색과 칠'

    전통회화에 동원됐던 재료들인 채색 안료(顔料)와 접착제에 관해 포괄적이면서도 세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국내 첫 연구서인 신간 『우리 그림의 색과 칠』은 다소 전문적이다. 때문에 책

    중앙일보

    2001.07.21 00:00

  • [문화가 산책] 한국 여인의 아름다움전

    한국 여인의 아름다움을 사실적인 수묵화로 그리는 젊은 작가 안남숙(安南淑 ·36)씨. 그의 초대전이 대구 수다갤러리(28일까지)와 대구은행 본점 갤러리(16∼28일),창원 대산미술

    중앙일보

    2001.07.07 00:00

  • [미술계 쪽지] 고미술품 전시경매 外

    *** 고미술품 전시경매 24일 열려 ㈜한국미술품경매(02-733-6430)는 오는 24일 오전 11시부터 서울 경운동 수운회관 2층 상설전시장에서 제14회 고미술품 전시경매를 한

    중앙일보

    2000.11.21 00:00

  • 조선시대 문인화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전

    조선시대 문인들은 모임이 있은 뒤 만나는 뜻을 그림으로 남겼고 헤어지는 아쉬움을 시와 글씨로 달랬다. 친구, 관아 동료, 은퇴 관료들은 계모임·시회 후에 계회도(契會圖)·아집도(雅

    중앙일보

    2000.09.02 11:01

  • 조선시대 친목 풍속도 보여주는 '만남과…' 전시회

    조선시대 문인들은 모임이 있은 뒤 만나는 뜻을 그림으로 남겼고 헤어지는 아쉬움을 시와 글씨로 달랬다. 친구, 관아 동료, 은퇴 관료들은 계모임, 시회 후에 계회도(契會圖).아집도(

    중앙일보

    2000.09.01 00:00

  • ['중앙미술대전' 수상.입선작 호암갤러리 전시]

    중앙일보가 주최하고 삼성미술관이 후원, 삼성생명.삼성전자가 협찬한 국내 최고 권위의 미술 공모전인 제21회 중앙미술대전 우수상에 회화 부문에서 한효석 (27) 씨의 '21세기에는

    중앙일보

    1999.06.17 00:00

  • [하이라이트] '아름다운 우리 식탁'展

    '아름다운 식탁' 을 차리기 위해 동.서양의 두 주부가 만났다. 크리스틴 보스워스 주한 미대사 부인과 원로화가 서세옥 화백의 부인 정민자씨. 26일부터 4월1일까지 예술의전당 미술

    중앙일보

    1999.03.26 00:00

  • [추석연휴에 들러볼 만한 전시.공연 현장]

    한가위 연휴에 가족과 함께 한적한 도심에 위치한 가까운 공연장.전시장이나 고궁으로 발길을 옮겨 보면 어떨까. 휘영청 밝은 보름달 아래 우리 가락과 춤사위로 한가위의 정취를 만끽하면

    중앙일보

    1998.10.02 00:00

  • 동숭씨네마텍 이달말까지 단편영화 3편 올려

    문학평론가 김우종 (덕성여대 교수) 씨의 해석 - "장편소설은 확산적이고 태연한 표현으로 현상의 다면성을 재현한다.반면 단편소설은 한 각도에서 파악된 현실의 단면을 표현하려는 경향

    중앙일보

    1998.09.11 00:00

  • 洪一植 고려大총장부인 金相玟씨

    자줏빛 고름의 옥색 한복이 무척 잘 어울리는 김상민(金相玟. 60)여사.훤칠한 키(1m70㎝)에 단아한 자태가 아직 40대마냥 곱기만 하다.6남매 중 맏이인 홍일식(洪一植.59)고

    중앙일보

    1995.06.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