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결혼이유 퇴직 강요말라"-여생단체, 투신사여사원사건 개기 철회캠페인

    10일하오1시30분의 서울여의도 D투자신탁본점과 하오3시의 소공동지점. 여성의전화 (원장 김희명) 신윤옥간사및 상담원등 9명이 조용히 영업장에 들어가 그곳 직원및 고객들에게 「D투

    중앙일보

    1987.02.12 00:00

  • (6) 자선모임|뿌리내린 "연말 이웃돕기"

    -올해로 결혼생활 15년째. 어쩌다 최근 처녀때의 과거를 남편에게 고백했다. 그후 남편은 집을 나가 다른 여자와 살고 있다. 어찌하오리까.- -10세된 딸이 3년전 이웃불량배에게

    중앙일보

    1986.12.02 00:00

  • 배우자부정 상담이 으뜸…주부가 23%나

    지난76년 9월 국내최초로 전화상담을 시작, 지난1일로 창립10주년을 맞은 「생명의 전화」는 올해7월말까지 25만3천4백80통의 전화상담을 받았다. 하루평균 약1백통의 전화상담을

    중앙일보

    1986.09.08 00:00

  • 자녀위해 내삶 희생할수 없다

    며칠전 박성자씨(47·서울 관악구 신림동 는 남편과 크게 싸웠다. 새벽 2시, 술에 취해 들어온 남편이 『기다리지도 않고 잠만 잔다』 면서 시비를 걸어온 때문이다. 『남편을 어떻게

    중앙일보

    1986.03.20 00:00

  • "내 순결은 내가 지켜야죠"

    여성단체가 마침내 여성자신이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신술 보급에 나선다. 여성의 전화(이사장 정희향)는 앞으로 근로공단·여성단체·여학교 등을 돌면서 호신

    중앙일보

    1984.06.15 00:00

  • (9)컴퓨터 중매결혼

    서울 을지로 2가 l30 한국가정문제연구소(소장 신혜영) 결혼상담실. 방금 접수창구에 상담료 5천원을 낸 김성활씨(25)는 자기 차례를 기다리는 동안 초조한 빛을 감추지 못하고있다

    중앙일보

    1984.01.30 00:00

  • 6월13일부터『여성의 전화』개통|"여성의 고통 함께 풀어 봅시다"

    『남편의 폭행으로 고통받고 있는 여성은 전화를 해주십시오. 여성이라는 이유 때문에 차별 받고 억울한 일을 당하는 여성들도 전화를 주십시오. 함께 의논하여 해결점을 찾아보십시다.』

    중앙일보

    1983.05.27 00:00

  • 각종정보·궁금증 "앉아서 해결"|물가에서 인생상담까지 …늘어나는 「전화서비스」

    전화서비스는 정보화시대의 도래와 함께 갈수록 넓고 깊게 확대되고 있다. 단순히 일기예보나 시간을 알려주던 것을 떠나서 이제는 식탁에 오르는 물가정보에서 관광지리·숙박안내·투자경영상

    중앙일보

    1983.05.17 00:00

  • 상담소 통한 결혼이 늘고 있다

    결혼상담소를 통한 젊은이들의 결혼이 부쩍 늘었다. 상담소는 한때 나이든 재혼희망자나 찾는 곳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3년 동안 이곳을 찾는 젊은이들 수가 무려 7배 이상이나 늘어난 것

    중앙일보

    1982.11.16 00:00

  • 미에 가정법률상담소 설치 이태영씨

    『국경을 넘은 사랑이라 하더라도 성장과정과 문화수준이라는 남녀끼리의 결합은 많은 난관을 초래합니다. 미국을 방문할 때마다 국제결혼을 한 한국여성들을 위해 상담소를 차려야겠다는 생각

    중앙일보

    1982.11.11 00:00

  • 미혼모(1)빙산의 일각…드러난 실태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은 여자 미혼모-. 유럽이나 아메리카 대륙의 고민으로만 보였던「처녀엄마」문제가 우리들에게도 눈앞에 다가왔다. 우먼 리브, 프리섹스 풍조는 공업단지 주변서부터

    중앙일보

    1981.08.13 00:00

  • 「성문제」를 좀더 건전한 시선으로 보자

    누군가 내게 리얼리티를 알려면 「뒷문」으로 들어가 보라고 하던 것이 생각난다. 터미널 매표실 뒷문, 극장 뒷문, 맥주집 뒷문, 사람…. 바르뷔스의 「지옥」같은 발상이지만 정말 맞는

    중앙일보

    1981.07.17 00:00

  • (4)답답한 일 해결에 도움될 땐 보람|「복지전화」상담 자원봉사자 이해분씨

    『네. 복지전화입니다.』 『어떤 어려움이신 데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몇 분의 간격도 두지 않고 걸려 오는 전화에 응답하고 있는 상담자의 목소리는 진지하다.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중앙일보

    1981.03.18 00:00

  • (12)사회복지관

    서울의 변두리인 영등포구 봉천동34의11 주택은행 봉천동 출장소건물3층에 시립아동복지, 새마을 사회복지관이 자리잡고 있다. 생활보호, 아동복지, 부녀자 선도, 건강 관리사업 등 사

    중앙일보

    1972.12.22 00:00

  • (7)부녀상담소

    남자보다 자립하기가 어렵고 각종 유혹의 손길이 뻗치는 부녀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서울 시내에는 5개소의 부녀 상담소가 있어 부녀자들의 생활상담, 신상상담, 기술보도상담, 구직상담,

    중앙일보

    1972.11.30 00:00

  • 아이들은 조부모를 더 반긴다|미국 핵가족사회의 육아와 노세대

    전통적인 대가족제도로 할아버지와 손자들이 한 가정안에서 생활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핵가족제도로이루어지는 외국의 가정에서는 할아버지와 손자가 같이 지낼수있는시간이적다.미국의소아과의사

    중앙일보

    1971.09.17 00:00

  • 가정법률 상담소를 거쳐간 4만 4천건 문제들

    지난5일로 창립14주년을 맞은 가정법률상담소(소장 이태형)는 I4년간의 활동을 통해 4만4천4백58건(70년7월말현재)의 가정문제 해결에 힘써왔다. 처음에는 2명의 상담원으로 시

    중앙일보

    1970.10.06 00:00

  • 70%가 후회한다

    전국 윤락 여성 가운데 70%가 윤락행위에서 벗어나 사회나 가정으로 복귀할 것을 희망하고 있음이 7일 밝혀졌다. 보사부가 최근 조사한 윤락여성 실태조사에 의하면 전국 2만2천6백7

    중앙일보

    1968.06.07 00:00

  • (9)윤락여성

    ○…반편생의 윤락생활을 청산가리로 끊어버린 여인이 있었다.「타이거·신」이라 불리던 선도지역안의 자치회간부였다. 남긴것은 몇만원의 부채와『마혼일곱의 나이로는 자꾸 쏟아져나오는 젊은동

    중앙일보

    1966.09.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