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일요일 서울 -10도, 평창 -14도…전국 비온 뒤 한파특보 온다

    일요일 서울 -10도, 평창 -14도…전국 비온 뒤 한파특보 온다

    14~15일 비가 내리고, 주말부터는 맹추위가 찾아온다. 17일 서울의 최저 기온은 영하 10도를 밑돌 전망이다. 강원도 평창은 영하 14도, 부산도 영하 4도까지 떨어진다. 

    중앙일보

    2023.12.13 13:49

  • "도깨비불, 순식간 200m 날아갔다" 이젠 도심도 위험하다 [르포]

    "도깨비불, 순식간 200m 날아갔다" 이젠 도심도 위험하다 [르포]

     ━  “불씨, 200m 떨어진 산으로 날아가 순식간에 확산”   지난 6일 오전 강원 동해시 묵호동 주변 건물들이 마치 폭격을 맞은 것처럼 잿더미로 변한 모습. 박진호 기자  

    중앙일보

    2022.03.07 17:40

  • '라니냐 하이패스' 타고 온 한파, 다 얼려버릴 듯···8일 정점

    '라니냐 하이패스' 타고 온 한파, 다 얼려버릴 듯···8일 정점

    2021년 신축년 첫 주말인 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변이 얼어 있다. 기상청은 한파가 지속되면서 8~10일쯤 한강에 얼음이 얼 가능성이 있다고 예보했다. 뉴스1  

    중앙일보

    2021.01.06 05:00

  • 모레 올겨울 최강 추위 ‘라니냐 하이패스’ 타고 온다

    모레 올겨울 최강 추위 ‘라니냐 하이패스’ 타고 온다

    강력한 한파가 몰아쳤던 2018년과 비슷한 강추위가 6일부터 시작된다. 기상청은 5일 “8일까지 전국의 기온이 점점 낮아져 8일 서울 아침 최저기온 영하 17도, 낮 최고기온 영

    중앙일보

    2021.01.06 00:02

  • "1%만 분화해도 30만명 탈북"···백두산 폭발하면 벌어질 일

    "1%만 분화해도 30만명 탈북"···백두산 폭발하면 벌어질 일

    영화 '백두산' 한 장면. [사진 CJ엔터테인먼트·덱스터스튜디오] 19일 재난 영화 '백두산'이 개봉됐다. 백두산 화산 폭발이라는 엄청난 재앙에 맞서는 사람들 이야기를 소재로 한

    중앙일보

    2019.12.21 11:00

  • [강찬수의 에코 파일] 백두산 화산이 폭발한다면…

    [강찬수의 에코 파일] 백두산 화산이 폭발한다면…

    백두산 천지 [중앙포토] 지난달 27일 남북 정상회담을 지켜본 과학계에서는 북한과 우선적으로 진행할 공동 연구 가운데 하나로 백두산 화산 연구를 꼽는다. 활화산인 백두산이 분화(

    중앙일보

    2018.05.05 12:00

  • [시론]눈찾아 북극으로?

    올해 겨울에는 유난히 눈을 구경하기 어렵다. 일년 중 가장 춥고 눈이 많이 내려야 할 1월에도 눈다운 눈은 내리지 않고 있어 강원도와 제주도에서 연례행사로 벌이고 있는 '눈꽃축제'

    중앙일보

    1999.01.28 00:00

  • 겨울산행 요령…폭설땐 경사면 아래 야영은 절대금물

    지난 14일 영동지방에 내린 폭설과 눈사태로 20여명의 산악인이 조난을 당해 이중 8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발생했다. 지난해 신정연휴때 설악산에서도 3명의 산악인이 목숨을 잃었다

    중앙일보

    1998.01.22 00:00

  • 남부지방 한겨울에 이례적 폭우

    비좁은 한반도에서도 제주 등 남부지방은 폭우, 강원 영동은 폭설 등 '북설남우 (北雪南雨)' 의 기상현상이 뚜렷해 사람들을 당혹하게 했다. 기상청은 8일 오후까지 제주 성산포에 1

    중앙일보

    1998.01.09 00:00

  • 중부지방 零下圈 25일께 조금씩 풀릴듯

    22일 철원.제천.거창등 중부와 남부내륙지방의 아침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쌀쌀한 초겨울 날씨를 보였다. 기상청은『겨울철의 전형적인 西高東低형 기압배치가 형성되면서 차가운 북서풍의 영

    중앙일보

    1993.10.22 00:00

  • 사신 부른 「마의 북서풍」

    ◎해수면­대기 온도차 큰 9∼10월에 기습/방향·강도 수시 변화… 지자운항으로 대처 『북서풍이 불 때는 돛을 내려라』­. 이번 사고의 한요인이 된 갑작스런 돌풍과 높은 파도는 바로

    중앙일보

    1993.10.12 00:00

  • 서해페리호 침몰사고 死神 부른 魔의 북서풍

    『북서풍이 불 때는 돛을 내려라』-. 이번 사고의 한 요인이 된 갑작스런 돌풍과 높은 파도는 바로서해지역 뱃사람이라면 누구나 두려워하는「魔의 북서풍」이었다.魔의 북서풍은 겨울철의

    중앙일보

    1993.10.12 00:00

  • 하순부터 본격 강추위/영하 15도안팎… 한차례 폭설

    ◎기상청 이달 기상전망 새해 1월에는 중순까지 큰 추위가 없겠으나 하순은 올겨울 중 가장 추운 기간이 될 것 같다. 기상청은 31일 「1월기상전망」을 발표하고 상·중순은 겨울철 기

    중앙일보

    1992.01.01 00:00

  • 올겨울날씨|5년이상 난동 하강곡선

    올 겨울은 8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째 계속돼온 이상난동현상이 지속되겠으나 기온은 다소 내려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상청은 최근 발표한 「올겨울 기상예보(91년12월 ∼92년2

    중앙일보

    1991.11.18 00:00

  • 올겨울 변덕날씨 없다

    올겨울은 이상기상이 없는 전형적인 겨울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동안 사라졌던 겨울날씨의 특징인 삼한사온이 금년에는 제대로 나타나리라는 예상이다. 중앙기상대의 장기예보

    중앙일보

    1987.11.25 00:00

  • 올겨울 한파는 이번이 고비…|강추위는 끝났다.

    올 겨울한파도 대한추위를 고비로 끝날 것 같다. 김진면 중앙기상대장은 22일 우리나라에서 가장 추운때가 소한과 대한사이로 현재 나흘째 맹의를 떨치고 있는 추위가 정상기온을 되찾는

    중앙일보

    1983.01.22 00:00

  • 올겨울 날씨 전형적 「삼한사온」된다

    오랜만에 이변없는 겨울을 보낼것 같다. 최근 5∼6년동안은 혹한과 난동이 번갈아가며 나타나 우리나라 고유의 겨울을 잃어버린듯 싶었다. 이번 겨울은 지금까지 전형적인 한국의 겨울기상

    중앙일보

    1982.12.21 00:00

  • 금년 여름의 불규칙 강우|북극의 변동형 기상 때문

    【동경=박동순 특파원】지난 7월 한 달 동안의 북극기상을 면밀히 관측해 온 일본 기상청은 일본의 날씨를 좌우하는 북극한기를 중심으로 일본 상공의 대기 분포도를 조사한 결과 ①동북「

    중앙일보

    1974.08.08 00:00

  • 「연말」동결…전국에 강추위

    「크리스마스」를 맞은 연말에 혹한이 몰아쳤다. 동지인 22일 하오부터 서울·인천 등 중부지방과 호남·제주지방에 폭설이 내린 뒤로(인천 30년래의 적설량인 30㎝) 24일 아침 수원

    중앙일보

    1973.12.24 00:00

  • (345)난동이변…잃어버린 겨울

    겨울을 잃었다. 「오버」가 무겁기만 하고 동면을 해야할 보리 싹이 웃자라는가 하면 겨울양식 김장이 모두 시어 버렸다. 난동 이변. 사계가 없는 듯한 기상이변은 비단 우리나라 뿐

    중앙일보

    1973.01.25 00:00

  • 울릉중심 동해에 꽁치떼|보리밟기·질소시비토록

    첫 등교길의 국민학교 신입생 책가방 이에 봄이 서려있다. 입춘에서부터 서린 봄기운은 이제 남해에선 완연한 봄철, 한춘섬에는 남쪽섬에서 겨울을 보낸 왜가리 16쌍이 벌써 날아드러 앙

    중앙일보

    1970.03.02 00:00

  • 봄·3월

    햇빛이 환하게 열렸다. 보리밭에 아지랑이가 피어오른다. 3월이 왔다. 학생들은 짤막한 봄방학을 끝내고 새 마음으로 새 학기를 맞는다. 신입생의 새 교복엔 기쁨과 희망이 부푼다. 1

    중앙일보

    1967.03.01 00:00

  • 봄의 문턱에 서서 2월 행사 「메모」

    ○…봄이 열리는 입춘(2월 4일)을 눈앞에 두고 다시 영하 11도의 강추위를 몰아왔다. 요즘 겨울철에 보기 드문 강수현상으로 진눈깨비를 몰고 온 날씨는 아직도 한랭한 대륙성고기압이

    중앙일보

    1967.01.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