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삶의 향기] 잃어버린 1%

    [삶의 향기] 잃어버린 1%

    인요한 연세대 의대 교수·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 선교사의 4대 후손으로 한국에 살면서 많은 변화를 보았다. 역사상 지난 50년 동안 인류가 가장 많은 변화를 경험했다고 하

    중앙일보

    2021.01.19 00:20

  • [이택희의 맛따라기] 농사 지은 콩·깨·채소로 차린 소담·고소한 한 상 ’오현리 두부집’

    [이택희의 맛따라기] 농사 지은 콩·깨·채소로 차린 소담·고소한 한 상 ’오현리 두부집’

    파주시 법원읍 직천리에 있는 ‘오현리 두부집’은 직접 농사지은 콩과 채소·양념으로 두부와 반찬을 만들어 손님 상을 차린다. 식탁에서 끓이면서 먹는 두부찜을 냄비에서 덜어낸 모습.

    중앙일보

    2017.09.15 00:01

  • [cover story] ‘휘게’하는 삶… 삶의 공간을 열었다, 마음이 열렸다

    [cover story] ‘휘게’하는 삶… 삶의 공간을 열었다, 마음이 열렸다

    | ‘행복한 나라 1위’ 덴마크의 휘게 라이프 덴마크식 라이프스타일 휘게(hygge)엔 폭신한 양말 같은 따뜻한 아이템이 필수다. 보 크리스텐센 레고코리아 대표 부인과 두 딸이 서

    중앙일보

    2016.12.07 00:01

  • 그 길 속 그 이야기 경북 영양 외씨버선길

    그 길 속 그 이야기 경북 영양 외씨버선길

    청송·영양·봉화·영월 … 육지 속 섬 연결 우선 ‘BY2C’라는 정체불명의 약자를 알아야 한다. 2010년 지식경제부(지금의 산업통상자원부)가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을 벌이면서

    중앙일보

    2013.12.13 00:05

  • [삶의 향기] 모든 사랑의 발원지는 그대의 첫 눈빛이었다

    [삶의 향기] 모든 사랑의 발원지는 그대의 첫 눈빛이었다

    이원규시인 슬슬 북상하는 봄기운 따라 수분령(水分嶺)을 넘었다. 모터사이클을 타고 2박3일 동안 네 번이나 넘었다. 문학평론가 소종민씨와 소설가 윤이주씨 부부의 초청으로 청주를 다

    중앙일보

    2013.03.05 00:13

  • [home&] 김서령의 이야기가 있는 집 ⑤ 고제순씨의 원주 흙집 ‘흙처럼 아쉬람’

    [home&] 김서령의 이야기가 있는 집 ⑤ 고제순씨의 원주 흙집 ‘흙처럼 아쉬람’

    고제순 선생의 집 전경. 오른쪽 건물은 그가 꼬박 3년동안 지은 살림집이고, 왼쪽에 보이는 작은 집들은 흙집학교 실습을 하며 지은 건물이다. 새는 스스로 집을 짓는다. 벌도 개미

    중앙일보

    2011.07.11 00:07

  • 김서령의 이야기가 있는 집 ④ 안동 ‘탁청정’

    김서령의 이야기가 있는 집 ④ 안동 ‘탁청정’

    이미령 여사가 탁청정종택 옛 부엌에서 나오고 있다. 아기자기한 안마당의 풍경에서 집을 아끼는 이 여사의 정성이 보인다. 낡은 고무신을 화분으로 활용해 꽃을 심었다. 500년 고택

    중앙일보

    2011.06.13 00:26

  • [food&] 2010 보내고 2011 맞으며, 이런 ‘음식친구’ 어때요

    ‘아듀 2010’. 올해가 저물어간다. 이제 올해의 마지막 밤을 위해 어떤 메뉴를 준비할지 고민할 때다. 12월 31일 밤은 아주 길다. 가족들이 모여 덕담도 나누어야 하고, T

    중앙일보

    2010.12.28 00:05

  • [들판에 서서 마을을 보네] 5. 불꽃을 따라서

    예전에 그 숲 속에서 누군가가 자살을 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환청이 아니라면 참으로 이상한 일이었다. 남녀가 약을 먹고 눈 속에서 죽었다는데 소주병과 약이 나왔다고 한다. 남자는

    중앙일보

    2005.08.09 18:11

  • [한국 문화코드 2000] 9.온돌방

    '등 따습고 배 부르니 ~을 한다' 는 말이 있다. 사람은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등 따습고 배부른 기초 욕구가 충족되고 나서 다음 행위를 하는 것이다. 나아가 우리에게는 '등

    중앙일보

    2000.04.29 00:00

  • 구들학회

    미국 보스턴 출신 과학자로서 동양문화에 심취했던 퍼시벌 로웰은 일본 체류중이던 1883년 여름 조선 최초 견미(遣美)사절단의 안내역을 맡아 미국에 건너갔다.임무를 마친 로웰은 다시

    중앙일보

    1996.05.22 00:00

  • 중앙 난방 식이 아닌 10년 전에 지어진 우리 아파트는 겨울이면 늘 추웠다. 지난 여름에 생각하다 못해 아랫목만 구들장을 뜯어내고 연탄 보일러로 집안난방을 바꿨다. 큰 것은 아니었

    중앙일보

    1991.01.18 00:00

  • 서먹한 친정집

    내가 직장생활을 하는 까닭에 작년겨울 이사한 친정 집을 이번 겨울방학에야 두 아이와 함께 찾을 수 있었다. 청주 고속터미널에 내려서 방향 감각을 잃은 듯 멍하니 서있는 나에게『외할

    중앙일보

    1989.02.25 00:00

  • 신춘『중앙문예』희곡 당선작>폭설|정미경

    여인(20대) 사내(30대) 노파(90세 가량 노망기 약간) 허술한 산촌살림을 말해주는 방. 무대 좌측으로는 부엌으로 통하는 쪽문이 하나 나 있고 우측으로는 바깥으로 통하는 여닫

    중앙일보

    1987.01.06 00:00

  • "우리마을 최고야"|"앉은뱅이 술" 별명 붙은 백제 명부 「소국주」

    영양떠난 과거객이 모시고장 비산을 지나치다 타는 목을 축이려 주막에 들렀다. 미나리무침을 안주로 찰찰 널치게 한잔을 받아들이켜니 술이면서 감로수라. 첫잔에 목축이고 두잔째에 취흥이

    중앙일보

    1981.05.12 00:00

  • 미명

    가족이 떠나자 그는 다시 누웠다. 그의 이마 위로 방안의 어둠이 가볍게 덮여 왔다. 들창으로는 상기도 가족의 기척이 느껴졌다. 그의 귀는 가족의 기척옴 밟아 들창을 넘고 있었다.

    중앙일보

    1975.01.01 00:00

  • (2)남풍에 돛을 돌리고 북상하는 화신

    봄바람이 낙동강하구에 살포시 올라섰다. 낙동강 봄줄기가 바다와 맞부딪치는곳. 하단 나루터에 나룻배가 띄워지고 강건너 갈대밭에 봄나들이 가는 두소녀-. 첫손님이 들었다. 뱃사공 최국

    중앙일보

    1968.02.27 00:00

  • (41)김장

    입동이 지나면 김장철. 김장은 우리나라에서 찬이 아니라 겨우살이 식량이다. 입동절이 9월이면 입동전에 담그고 입동절이 10월이면 입동후에 담가야 한다는 옛 할머니들의 가사유훈도 이

    중앙일보

    1966.11.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