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컬처디자이너] 카톡에 중고생 친구 3000명 넘는 현직 경찰…“사랑·관심 주면 문제학생도 달라져”

    [컬처디자이너] 카톡에 중고생 친구 3000명 넘는 현직 경찰…“사랑·관심 주면 문제학생도 달라져”

      관악경찰서 학교전담경찰관인 이백형 경위가 1일 서울 관악구 남강중학교 정문에서 하교하는 학생들과 대화하고 있다. 한 학생은 이 경위에게 "20년 후 더 좋은 오토바이를

    중앙일보

    2018.10.31 14:50

  • 중고물품 사기 왜 많나 했더니…10대 사기단 검거

     인터넷 중고물품 거래 카페는 유독 사기 사건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허위매물을 올려두거나 계좌로 돈을 송금받은 뒤 잠적하는 식이다. 한 두 명의 잍탈로 보기에는 이같은 사기가

    중앙일보

    2016.06.27 07:32

  • [사건:텔링] 택시서 주인 잃고 … 평택항서 보자기 싸여 눈떠보니 중국

    [사건:텔링] 택시서 주인 잃고 … 평택항서 보자기 싸여 눈떠보니 중국

    거친 손길이 나를 깨운다. 창밖으로 중국어 간판들이 흐릿하게 스쳐간다. 한 남성이 내 몸을 이리저리 살피고 있다. 심드렁한 표정을 짓더니 위안화 뭉치를 진열대에 올려놓는다. 눈치

    중앙일보

    2015.05.18 01:56

  • 하지 않을 자유 외치는 주인공, 공감 팍팍 가데요

    하지 않을 자유 외치는 주인공, 공감 팍팍 가데요

    김윤석은 ‘남쪽으로 튀어’에서 ‘완득이’보다 더 능청스러운 연기를 한다. 그는 “자식들이 무서워하지 않는 아빠 역할 때문에 중고생 팬들이 늘 것 같다”고 했다. [사진 롯데엔터테인

    중앙일보

    2013.01.29 00:33

  • 단신

    ‘2011 전국 청소년 광고공모전’ 개최 한국방송예술진흥원이 ‘2011 전국 청소년 광고 공모전’ 출품작을 11월 25일까지 접수한다. 세부주제는 ▶청소년 음주 및 흡연의 위험성

    중앙일보

    2011.09.26 01:15

  • 자원봉사로 ‘문제아’ 딱지 뗀 학생들

    자원봉사로 ‘문제아’ 딱지 뗀 학생들

    애망장애영아원을 찾은 배효근군이 하시원(3·뇌병변 1급)양에게 밥을 떠먹이고 있다. [김진원 기자]대구시 수성구 파동 애망장애영아원. 1세부터 16세까지, 지적장애와 뇌병변이 있어

    중앙일보

    2010.09.29 00:19

  • [교육마당] ‘제5회 HET 전국 고교 논술경시대회’ 外

    ◆중앙일보가 후원하고 조인스닷컴, 한국지성능력개발원이 공동 주최한 ‘제5회 HET 전국 고교 논술경시대회’에서 강원도 춘천고 3학년 손재일군이 대상을, 포항우성여고가 최우수 단체상

    중앙일보

    2007.06.26 14:59

  • '훈훈한' 검사들… 야학 교사로 변신하고, 딱한 절도범에 후원자

    대검찰청이 연말을 맞아 한 해 동안 전국 검찰청에서 모은 미담 사례를 28일 발표했다. 이 중에는 퇴근 뒤 복지시설에서 학습지도를 해 온 평검사에서부터 5만원을 훔치다 구속된 20

    중앙일보

    2005.12.29 05:26

  • 중·고교 교사들의 겨울방학 추천도서

    서울시내 중고교 교사들로 이뤄진 '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홈 페이지는 겨울 방학을 맞은 중고생들을 위한 도서 목록을 발표했다. 책의 선정은 기왕의 '권위적인 목록'과 달

    중앙일보

    2000.12.23 08:49

  • [중·고교 교사들의 겨울방학 추천도서]

    서울시내 중고교 교사들로 이뤄진 '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 홈 페이지 (http://club.dreamwiz.com/elibrary)는 겨울 방학을 맞은 중고생들을 위한

    중앙일보

    2000.12.23 00:00

  • 중고생 3명중 1명 자살충동 경험

    서울시내 중.고등학생 3명중 1명꼴인 33.2%가 자살충동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0명 가운데 4명 정도는 가출충동을 가졌던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지

    중앙일보

    1998.05.23 00:00

  • 광주서 중고생 3명, 친구어머니 성폭행

    광주시 북부경찰서는 30일 친구 어머니를 성폭행하고 금품을 빼앗은 혐의 (강도강간) 로 朴모 (17.고2).廉모 (17.고2) 군, 金모 (15.중2 중퇴) 양 등 10대 3명을

    중앙일보

    1998.01.31 00:00

  • [화제의 꾸러기 책]'봄바람' 박상률 지음

    지금 어린이들은 텔레비전.비디오등 영상물과 대부분 만화와 삽화로 이뤄진 잡지등 주로 '이미지' 적인 매체를 즐기며 지낸다. 하지만 60년대말부터 70년대까지 '소년중앙' 등 어린이

    중앙일보

    1997.12.21 00:00

  • 복교 중고생 13%가 포기

    중도 탈락한 중.고생들의 복학허용방침에 따라 지난 3월부터 경남도에서 복학한 학생들의 12.7%가 다시 학업을 포기하는등 학교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일보

    1997.08.01 00:00

  • 장성우감독 '나쁜영화' 공륜서 등급외 판정

    실제 가출 청소년들이 등장해 10대 문제아들의 삶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한 장선우 감독의 신작 '나쁜 영화' 가 공연윤리위 (위원장 김상식) 로부터 '등급외 판정' 을 받아 사실상

    중앙일보

    1997.07.25 00:00

  • 여자 중.고생 탈선 적색경보 - 작년 1,320명 늘고 가출이 가장 많아

    남자 중.고생의 탈선은 줄어든 반면 여자 중.고생의 탈선이 늘고 있어 여학생 생활지도 강화가 시급하다. 교육부는 14일 96학년도 탈선 중.고생이 전체 중고생의 1.5%인 6만8천

    중앙일보

    1997.04.15 00:00

  • 家出 中高生에 윤락강요 10개월간 數億 챙겨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10일 가출한 여학생 8명에게 윤락행위를강요해 10억여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윤락행위방지법등 위반)로 박월자(朴月子.39.여.서울은평구진관외동)씨등 2명을

    중앙일보

    1996.09.11 00:00

  • 지난해 중퇴한 부산시내 중고생중 1천명 올9월 복학

    지난해 중퇴한 부산시내 중.고교생중 1천여명이 올 9월부터 다시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된다. 부산시는 19일 지난해 중퇴한 중학생 2천21명과 고교생 4천7백76명 등 6천7백97

    중앙일보

    1996.06.20 00:00

  • 93 월드챔피언 神의손 당구王 이상천씨

    『탁…,다다다닥 타악!』 숨죽이는 탄성과 함께 하얀 상아구가오묘한 조화를 이루며 천변만화의 묘기를 부리는 당구-.고도의 두뇌를 쓰고 몸을 우아하게 움직이는 당구는 무엇보다 매너가

    중앙일보

    1994.01.21 00:00

  • 청소년 73% 가출 충동 경험

    서울시내 청소년들의 상당수가 학교와 가정에 대한 불만이 크고 인생에 비관적이며 가출충동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 YMCA 청소년 상담실이 서울시내 남녀중고생 2천

    중앙일보

    1991.03.10 00:00

  • 초 중고생 장기결석160명중 1명 꼴

    서울시내 전체 초·중·고교생 가운데 1백60명중 1명이 장기결석자이며 특히 고교2학년에서는 61명중 1명이 장기결석자로 나타나 이 시기의 세심한 학생생활지도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

    중앙일보

    1990.07.04 00:00

  • 가출소년 40명 인신매매/취업미끼 어선등에 팔아 넘겨

    ◎일당 4명 구속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27일 남대문시장ㆍ서울역 등을 무대로 가출했거나 지방에서 상경한 중고생 등 미성년자 40명을 유인,새우잡이어선ㆍ염전 등에 팔아넘긴 인신매매조직

    중앙일보

    1990.06.28 00:00

  • 중고생「가출병」번진다|"공부싫다"…학기말시험직전 심해

    중·고생들 사이에 유서까지 써놓고 집을 뛰쳐나가는「가출병」이 크게 번지고 있다. 고3교실에서나 볼 수 있었던 가출현상은 올들어 고입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중3교실에서도 부쩍 늘어나고

    중앙일보

    1986.07.11 00:00

  • 청소년문제의 심각성 반영

    정부가 6일 발표한 「청소년문제 개선 종합대책」은 때늦기는 했으나 뒤늦게나마 발벗고 나선것으로 다행한 일이다. 지금까지도 정부는 청소년대책업무를 추진해왔지만 소극적 부처별 주기적

    중앙일보

    1984.12.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