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초·중·고 역사교육, 내용도 바로잡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역사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개선하려는 논의가 본격화됐다. 역사학자·교사 20명으로 구성된 ‘역사교육과정개발 추진위원회’(역사추진위)가 어제 역사교육 강화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첫 공청회를 열었다. 초·중·고 역사교육의 틀을 새롭게 짜는 게 정부 공식기구인 역사추진위의 역할이다. 여기서 내놓는 방안이 8월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고시하는 새 역사 교육과정의 근간이 된다. 홀대받는 역사교육을 살리는 막중한 임무를 맡은 역사추진위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다.

 어제 공청회에선 한국사 필수화 문제가 집중 논의됐다. ‘한국사, 필수과목으로 하자’는 중앙일보 신년 어젠다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된 결과다. 사회과목군에 포함돼 있는 역사를 독립과목으로 하거나 수능과 공직자 시험에 한국사를 필수로 하는 등의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고교 교육과정 자체가 선택형인 데다 수능 탐구과목이 2개로 줄어든 상황에서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이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그렇다고 고교 3년 동안 한국사를 전혀 배우지 않고도 졸업할 수 있게 해 고교 역사교육을 고사(枯死)시키는 건 말이 안 된다. 역사추진위가 국민의 염원을 모아 책임지고 지속가능한 한국사 필수화 방식을 찾아야 한다.

 더욱 중요한 건 교육 내용과 방법이다. 역사 교과서의 편향된 내용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올해부터 쓰이는 고교 역사 교과서 6종도 여전히 자학사관(自虐史觀)이 발견되고 좌(左)편향으로 기술된 대목 등 문제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래서는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인식을 심어줄 수 없다. 역사추진위가 역사 교과서 집필기준과 검정기준을 바로 세워 학생들이 역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자긍심, 미래를 내다보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역사교육 방법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 교실을 떠나 현장·인물과 함께하는, 살아있는 역사교육이 되도록 해야 한다. 민족과 국가의 미래를 설계하는 게 바로 역사교육이다. 역사교육이 바로 서야 하는 이유다. 역사추진위와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역사교육의 틀을 제대로 짜는 데 한 치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